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산림총서」 및 언론보도,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http://www.nktech.net/) 등의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1960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 산불의 시공간적 발생경향과 산불 분야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북한의 산불 발생이력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대외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하였으며, 산불 보도건수는 산림율과 정의 상관관계를, 인구밀도 및 산림황폐화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기적으로는 봄과 가을, 지역적으로는 동해안 지역에 산불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해안 지역에 산불 발생이 집중되는 이유는 높은 산림율과 낮은 인구밀도로 인해 감시와 통제에 자유로운 방화가 북한지역 산불의 주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산불 관련 논문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다수 발행되었으며, 김정은 집권시기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행되었다. 연도별 논문 발행편수는 산불 보도건수(n-3년 및 n-5년 이동평균)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산불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불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면서 관련 연구가 수행되었던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불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에 있어 산불 공동 관리·대응 역량 및 상호 협력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인기 정사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초미세 고해상도 3차원 공간 모델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델을 이용하여 개체목의 수고와 흉고직경을 추정하는 기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봉화군 일대 잣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무인기 정사영상을 촬영하였으며, SfM 기술을 이용해 촬영영상에 대한 3차원 수고 모델을 추출하였다. 유역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해 개체목을 선별·추출하였고, 개체목별 수관면적에 따른 흉고직경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추출된 수고모델과 현장에서 측정한 수고는 평균 제곱근 편차에서 1.492m (R2 = 0.3401) 차이를 보였으며, 오차율이 가장 적은 수고모델 추출 방법은 지형분석지점 사양이 각도 20°, 이격거리 1m, 격자크기 60m 이었다. 개체목 추출율은 75.4% 이었으며, 수고가 높은 우세목의 추출율은 85.2% 이상이었다. 추출된 개체목의 수관면적과 흉고직경의 상관성은 두 변수 사이에 유의 수준(P<0.01)에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적합도 77.05% 수준에서 수관면적이 커질수록 흉고직경도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북 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연료의 수직적 구조, 수관연료밀도를 파악하고, 여러 가지 변수를 이용한 수관층 각 부위별 연료량 추정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관층 연료의 수직적 분포 형태는 방추형으로 상대적 높이 비율 0.6~0.8 구간에 가장 많은 연료가 분포하였으며, 0.4 이하의 수관 하단부에는 주로 고사된 가지가 분포하고 0.8 이상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연료가 적어지는 형태를 보였다. 전체 수관에 대한 연료밀도는 평균 0.38kg/㎥이었으며, 이 중 산불 발생 시 쉽게 탈 수 있는 연소가능한 연료의 밀도는 0.21kg/㎥이었 다. 수관 특성 중 수관길이와 수관폭을 이용하여 수관층 연료량 추정식을 개발한 결과 조정결정계수(R2adj)의 범위는 0.56~0.79이었으며, 수관길이와 수관폭을 변수로 함께 사용하였을 경우 조정결정계수(R2adj)가 더 높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목에 대한 산불 연료적 관점에서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수관층 연료량을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품종 선택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설향’ 품종을 선택하였다. 자료는 2016년 6월 30일부터 10월 12일까지 산청, 진주, 논산 등 딸기 주산지역 농가 177명으로 부터 수집하였다. 딸기 재배농가의 품종 선택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위하여 첫째 9개의 변수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Kaise-Meyer-Olkin(KMO) 검증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하여 9개의 변수 중 6개를 선택하였다. 둘째, 재배 편리, 병해충, 수량, 판매용이, 소비, 소득의 6개 문항을 활용하여 중요도 만족도(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량과 소득은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높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나가야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병해충 요인은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낮아서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할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재배편리는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장기개선영역으로 나타났다. 판매용이, 소비는 중요도는 낮지만 만족도는 높아서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다른 분야에 투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기법의 하나인 연관규칙 분석법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구매하는 신선식품 간의 상호 연관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농촌진흥청의 「농식품 소비자 패널조사」에서 가공식품을 제외한 신선식품의 구매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전통시장,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에서 나타나는 연관규칙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소비자를 2011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30, 40, 50대로 구분한 후에, 연령대・구입장소별로 도출된 연관규칙 을 매년 등장한 규칙, 빈번하게 나타난 규칙, 새로 생성된 규칙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연도별로 나타난 공통된 연관규칙에서 향상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장바구니에서 나타나는 연관 구매의 동태적인 변화 패턴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소매점포가 묶음상품을 개발하거나 매대를 구성할 때 또는 소비자에게 발송할 상품 홍보용 전단지를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4,300원
        6.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산물 직거래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면서 중간유통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대안적인 유통경로이다. 이러한 역할때문에 최근 온라인 농산물 직 거래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농산물 직거래는 중간유통단계를 생략하는 것이기 때 문에 생산자가 그 역할을 대신하여야 하기에 다양한 장애요인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거래를 추진하고 있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직거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직거래 활성화를 위하여 농촌진흥청에 서 수행하고 있는 e-비즈니스 교육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할지에 대하여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프로그램 보완, 개인역량 강화, 협업화, 농업인들이 희망하는 교육 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식품산업의 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클러스터에 대한 논의가 세계 각국에서 활성화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경남지역의 식품산업이 클러스터로 형성 및 발전이 가능한지를 분석하였다. 클러스터의 잠재성 평가는 2차 자료로 측정이 가능한 5가지 지표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평가지표로는 클러스터의 절대적 규모, 상대적 규모, 전문화, 지배력, 집적도가 사용되었다. 측정지표의 분석결과 경남의 식품산업은 클러스터 조성시 경제적 효과의 창출이 가능하며, 경쟁력 뿐 만 아니라 지역전문화와 지배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어 잠재적 클러스터 기준에 합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림지식검색 전문포털사이트인 그린넷은 농림분야의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류하여 농업인 등 농업정보 수요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농업․농촌정보화의 촉진과 정보 격차 해소에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IT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지식검색시스템의 계속적으로 변화, 발전, 진화해 가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앞으로 그린넷의 지속적인 컨텐츠 개발과 양질의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종합탐색형 검색위주의 서비스제공에서 벗어나 농업정보 수용자 그룹별로 보다 실용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검색서비스나 주요 농림정보 및 사안에 대한 기획검색서비스 제공 등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농업정보 수요자가 키워드 검색시 더욱 정제된 디렉토리 검색 결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농림유관소속기관 및 공공기관의 DB 유치 또는 연계를 통하여 농림지식정보의 공유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4,600원
        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monitor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of PCDD/DFs between the gaseous phase-particulate phases in the ambient air of urban area in Korea. This monitoring is evaluated by using the Junge-Pankow model and the Koa absorption model with the application of the Octanol-air partition coefficient. In this study, the ambient air samp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congener group of the PCDD/DFs by HRGC/HRMS, which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past 5 years. In the results, the annual variation in the concentration level of ∑PCDD/DFs in TSP was increased from 1588 fg/㎥ in 1998 to 5123 fg/㎥ in 2002, and from 31 fg I-TEQ/㎥ to 94 fg I-TEQ/㎥ in the ∑I-TEQ. In the case of PUF of gaseous phase sample, their variation was increased from 1615 fg/㎥ in 1998 to 2237 fg/㎥ in 2002, and in the ∑I-TEQ from 12 fg I-TEQ/㎥ to 17 fg I-TEQ/㎥. The relative coefficient between the gas phase concentration of PCDD/DFs and the temperature was a value of 0.744; the contributive rate of the temperature to the gaseous phase concentration was 0.554.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ttern of the coefficient of distribution based on log PL0 is similar to the ambient air of the urban areas.
        10.
        200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were investigated in soil and pine needle samples taken from 16 sites of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s in Changwon, Korea to assess their distribution levels and to suggest the influence of industrial activities. PCDDs/DFs levels in the soil samples ranged from 0.57 to 20.79 pg I-TEQ/g dry weight with a mean value of 4.20 pg I-TEQ/g dry weight. PCDDs/DFs levels in the pine needle samples ranged from 0.39 to 8.75 pg I-TEQ/g dry weight with a mean value of 4.09 pg I-TEQ/g dry weight. In both soil and pine needle samples, the PCDDs/DFs concentrations in the industrial area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residential area sites. Homologue profiles in pine needle samples showed different patterns compared with soil samples. Based on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t was confirmed that pine needles reflected a direct influence from local potential sources of PCDDs/DFs, showing a much higher degree of reflection than in soils. Pine needles are very useful as an indicator for monitoring or estimating the contamination of PCDDs/DFs in other areas which have been impacted by point pollution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