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6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사람과 동물에게 여러 심각한 병원체를 전달하는 주요 매개체로, 한반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H. longicornis는 Rickettsia spp., Borrelia spp., Francisella spp., Coxiella spp., 그리고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 바이러스 (SFTS virus) 등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H. longicornis의 미생물 군집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한반도 내 다양한 지역에서 채집된 H. longicornis의 미생물군집 다양성을 지역별, 성장 단계 및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질병관리청 권역별기후변화매개체감시거점센터 16개 지역에서 채집한 H. longicornis의 16S rRNA 유전자 V3-V4 영역을 PCR로 증폭 후 Illumina MiSeq 플랫폼으로 시퀀싱하였다. Qiime2를 활용한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통해 총 46개의 샘플에서 1,754,418개의 non-chimeric reads를 얻었으며, 평균 126개 의 operating taxonmic unit (OTU) 을 식별하여 총 1,398개의 OTU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Coxiella sp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oxiella endosymbiont는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Coxiella burnetii와 계통 발생 학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각 지역의 H. longicornis 미생물군집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미생물군집의 특이성을 식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H. longicornis에 의한 질병 전파 연구와 이를 통한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속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매개 곤충을 통한 다양한 신종감염병이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매개질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질병을 매개하는 매개체에 대한 정보와 지속적 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제3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근(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및 라임병(Lyme disease) 등의 매개체로 알려져 있는 참진드기를 대상으로 충남 당진 일대에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총 6년, 4월-11월의 기간동안 월 1회 4개의 환경(무덤, 산길, 잡목림, 초지)에서 드라이아이스 유인트랩을 사용하여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18년 16,996마리, 2019년 16,698마리, 2020년 6,417마리, 2021년 7,380마리, 2022년 3,451마리, 2023년 3,465마리로, 총 54,407마리가 채집되 었으며, 초지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참진드기는 2속 3종으로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개피참진드기(H. flava), 일본참진드기(Ixodes nipponensis)이며, 작은소피참진드기 (H. longicornis) 가 42,489마리(78.09%)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으며, SFTS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NA 추출 및 Nested RT-PCR 단계를 걸쳐 전기영동을 수행하였으나 양성 검체는 0건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SFTS의 주요 매개 체인 참진드기 발생 양상 파악 및 매개 질병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기상연구소의 보고에 의하면 최근 한반도의 기온 상승으로 인해 온대내륙성 기후형에 속했던 지점은 온대해양성 기후형으로, 온대해양성 기후형은 아열대습윤 기후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반도의 기후 변화는 환경 변인에 민감한 질병 매개 곤충의 분포와 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철새도래지 내 발생 및 유입될 수 있는 모기와 관련 바이러스 감염률을 확인하기 위해 충남 당진의 철새도래지에서 BG-sentinel trap 및 LED trap을 사용하여 2021년부터 2023년까지 4-11월간 월 2회 수행하 였다. 채집된 모기는 총 3,723마리로, 4속 16종을 확인하였다. 그 중 금빛숲모기 (Aedes (Aedimorphus) vexans nipponii) 가 1,711마리(45.96%)로 가장 높은 우점도를 나타냈으며, 흰줄숲모기 (A. (Stegomyia) albopictus) 와 큰검 정들모기 (Armigeres (Armigeres) subalbatus) 각각 588마리(15.79%), 빨간집모기 (Culex (Culex) pipiens pallens) 269마리(7.23%)로 나타났다. 채집된 모기의 Flavi-virus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NA 추출 및 RT-PCR을 통해 확인하였으나,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기후변화에 맞추어 변화하는 감염병 매개 모기 의 발생 현황을 감시·예측하는데 유의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모기 매개 질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털진드기 유충 (Acari: Trombiculidae)은 쯔쯔가무시증을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이다. 털진드기 유충의 발생량 은 가을철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환경 및 시기에 따라 발생 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충남 예산의 털진드기 발생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36-51 주차 (9-12월)에 걸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논, 밭, 수로, 초지에 5m 간격으로 털진드기 트랩을 환경별로 5개씩 설치하여 채집하였다. 그 결과 총 3,257개체로 2017년 1,104마리, 2018년 785마리, 2019년 650마리, 2020년 160마 리, 2021년 139마리, 2022년 233마리, 2023년 186마리 채집되었다. 동정 결과 5속 12종이 확인되었으며 둥근혀털 진드기(Neotrombicula tamiyai)가 1,882개체(57.78%)로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발생 양상에 관한 연구는 매개 질환의 예방 및 관리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ngladeshi medicinal plants (BMP) have a history of traditional use in treating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but a BMP bark’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remain largely unexplored. This study assessed methanolic extrac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from the bark of 15 medicinal plant species native to Bangladesh. The methanol extracts of BMP bark were evaluated for their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ability to counteract inflammation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in RAW 264.7 macrophages. Among the 15 bark extracts from BMP, Albizia odoratissima (A. odoratissima), Engelhardia spicata (E. spicata), and Shorea robusta (S. robusta)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s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effectively scavenging free radicals. In particular, these three bark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LPS-induced inflammatory cytokines and enzymes inducible by inflammation in macrophages. Also, the mRNA expression of NADPH oxidase 2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three bark extracts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t of the 15 bark extracts obtained from medicinal plants in Bangladesh, the extracts from A. odoratissima, E. spicata, and S. robusta exhibit substantial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efficiently scavenging free radicals and also inhibit LPS-induced inflammation in macrophages.
        4,000원
        9.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olsong Unit 1, a domestic heavy water reactor nuclear power plant, was permanently shut down in December 2019. Accordingly, Wolsong Unit 1 plans to prepare a Final Decommissioning Plan (FDP), submit it to the government by 2024, receive approval for decommissioning, and begin full-scale decommissioning. One of the important tasks in the decommissioning of Wolsong Unit 1 is to determine the decommissioning strategy. It is necessary to decide on a decommissioning strateg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and variables, secure the technical background, and justify it. The selection of a decommissioning strategy is best achieved through the use of formal decisionmaking assistance techniques, such as considerations related to influencing factor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asic decommissioning strategy alternatives and whether sufficient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situations where only a single unit is permanently shut down in a multi-unit site like Wolsong Unit 1, while the remaining units are in normal operation. As a process for selecting a decommissioning strategy, first, all considerations that could potentially affect decommissioning presented in the KINS Decommissioning Safety Review Guidelines were synthesized, influencing factors to be us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ere determined, and the concept was defined. In order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decommissioning strategy by considering various evaluation attributes of possible decommissioning alternatives (immediate dismantling and delayed dismantling), the Wolsong Unit 1 decommissioning strategy was evaluated by reflecting the AHP decision-making technique.
        10.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NPP (nuclear power plant), boric acid is used as a neutron absorbent. So radioactive boric acid waste are generated from various waste streams such as discharge or leakage of reactor coolant water, floor drains, drainage of equipment for operation or maintenance, reactor letdown flows and etc. Depending on KHNP, 20,015 drum (200 L drum) of concentrated boric acid waste were stored in KOREA NPP until 2019. In previous study, our group suggested the waste upcycling process synthesizing B4C neutron absorber using boric acid waste and activated carbon waste to innovatively reduce radioactive wastes. Radioactive activated carbon waste was utilized in off gas treatment system of NPP to capture nuclide such as I-131, C-14 and H-3. Activated carbon waste is treated as low-level radioactive waste and pre-treatment system for removing nuclide from the activated carbon waste is needed to use B4C up-cycling process. In this study, microwave treatment system is suggested to treat the activated carbon waste. Activated carbon waste was exposed to microwave for a few minutes and temperature of the waste was dramatically increased over 400°C. Nuclide in the activated carbon waste were selectively removed from the waste without massive production of secondary off gas waste.
        11.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t the end of 2022 there were 439 nuclear power reactors in operating around the world, including 25 nuclear power reactors of Korea.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NPPs) continuously produc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LILW) and spent nuclear fuel (SNF). As amount of radioactive waste is increasing and interim storage facilities meet limitation of their capacity, radioactive waste need to be transported. Consequently, the demand for radioactive waste transportation is increasing and the importance of Radiation Risk Assessment Codes (RRACs) for radioactive waste transportation is also on the rise.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where all NPPs are located on seaside, the radioactive waste transportation by ship is inevitable and the its risk assessment is very important for safety. Although various researches on radioactive waste transportation risk assessment is being actively conducted, research on domestic radioactive waste maritime transportation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MARINRAD and KM-RAD were used to review on the radioactive waste transportation risk assessment. The result of reviewing shows that MARINRAD used SNF as transporting radioactive materials and ‘SAND87-7067 (1987)’ as nuclide database, whereas KMRAD used LILW and ‘IAEA Technical Report Series-422 (2004)’. To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we present an modernized integrated database by updating data and covering the radioactive materials from LILW to SNF.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RACs for domestic radioactive waste maritime transportation.
        17.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oporphyra kitoi Ma. Abe, N. Kikuchi, Tamaki, Tom. Sato, Murase, Fujiyoshi & Mas. Kobayashi has been known as an endemic species in Japan. Its high temperature tolerance suggests that it could be advantageous for cultivation. In this study, we collected it from the Ulleungdo island, Korea and transferred it into Pyropia for a new combination, identified as Pyropia kitoi (Ma. Abe, N. Kikuchi, Tamaki, Tom. Sato, Murase, Fujiyoshi & Mas. Kobayashi) D.J. Kim, T.O. Cho & B.Y. Won comb. nov.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Pyropia kitoi is also reported as a new record species in the list of Korean macroalgal flora. Although we didn’t observe the emergence of new blades from the rhizoidal cells, which is a key character for this species, our molecular analysis of rbcL revealed that our samples from Korea were congruent with “Neoporphyra kitoi” from Japan and were nested within the clade of Pyropia. The gene sequence divergence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samples was 0-0.2%.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