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뿌리응애류는 양파, 마늘, 생강, 백합 등의 뿌리를 가해한다. 최근 백합재배지에서는 질경이모자이크바이러 스(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PLAMV)에 의한 잎의 괴사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태안 백합재배지에서 PlAMV 가 감염된 백합을 채집하여 구근을 조사한 결과, 식물체 당 뿌리응애 100개체 이상이 발견되었으며 Rhizoglyphus robini로 동정되었다. 이 종이 PlAMV의 보독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채집된 R. robini에서 RNA를 추출하여 RT-PCR로 진단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PlAMV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뿌리응애가 백합 구근 뿌리를 먹으면서 만든 상처를 통해 PlAMV가 전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화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로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미나리총채벌레, 파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고사 리그물총채벌레(Hercinothrips femoralis)가 보고되었다. 특히 꽃노랑총채벌레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와 국화줄기괴저바이러스(CSNV)를 매개, 확산시켜 국화 품질저하, 생산성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한편 고사리그 물총채벌레는 국화과, 장미과, 백합과, 사초과, 앵초과, 협죽도과, 후추과, 두릅나무과, 쐐기풀과, 천남성과, 꿀풀과, 선인장과 등 여러 식물을 가해하는 하는 것으로 국외에서는 이미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되고 있지 않다. 2018년 전북 완주군 이서면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국화 시험온실(무농약)에서 꽃노랑총채벌레와 고사리그물총 채벌레가 발견되었다. 해충이 없는 국화에 꽃노랑총채벌레와 고사리그물총채벌레를 각각 정착시켜 피해 증상을 비교한 결과, 2종의 총채벌레가 가해한 국화 잎에서 각각 다른 피해 양상이 나타났다.
        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누에는 약제, 면직, 식용, 동물 사료 등에 활용도가 높아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육되어 왔다. 뽕잎을 먹고 자란 누에가 사료를 먹고 자란 누에보다 생장주기가 일정하고 더 건강하게 생장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동물 장내 미생물이 동물의 면역과 생장에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뽕잎에 존재하는 미지의 미생물이 누에 생장과 면역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뽕잎 내생균을 분리하기 위해 뽕잎을 5mm 크기로 잘라 표면살균 후, 배지에 치상하여 자라나오는 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100개 이상의 뽕잎 절편으로부터 동일한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Pss)로 확인되었다. 또한, 뽕잎을 섭식한 누에의 장 속과 분변에서 이 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누에에 병을 일으키는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Pss의 항진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 Cordyceps militaris와 식물병원성 곰팡이 Botrytis cinerea, Fusarium graminearum을 대상으로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 생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이 50% 이상 감소되었다. 특히, 다량의 포자를 생성하여 곤충에 치명적인 병을 야기하는 B. bassiana의 균사 생장이 C. militaris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Pss의 배양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 bassiana의 포자 발아가 지연되었다. 앞으로 누에 장 속에 안착한 Pss가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면역력과 누에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계획이며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정적인 누에 사육에 활용될 수 있는 미생물 제제를 만들고자 한다.
        1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olygonum multiflorum Thunb. is a herbaceous perennial belonging to the Polygonaceae family. And is an herbal medicine which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food, which is excellent in immunity enhancement, vocalization and blood trans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utility of the P. multiflorum. Also, we fermented P. multiflorum by mushroom mycelial, and analyzed for general components and amino acids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Methods and Results : The moisture content of P. multiflorum and fermented P. multiflorum by mushroom mycelial (FPM) were 7.35% and 59%,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cont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crude fat, ash and crude fiber content of FPM were lower than P. multiflorum. The content of soluble nitrogen free extract of P. multiflorum (79.7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PM (31.05%). Six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P. multiflorum, and the major amino acid was determined the arginine. The content of arginine and glutamic acid were 586.67 ㎎%, and 283.78 ㎎%, respectively. Six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FPM,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determined the arginine (654.68 ㎎%) and threonine (591.18 ㎎%).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P. multiflorum and FPM were 3,469.03 ㎎%, and 3,630 ㎎%,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ntent of crude fat, ash, crude fiber, and soluble nitrogen free extract of FPM were lower than the P. multiflorum,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different in two samples. Total amino acid content of FPM was higher than the P. multiflorum. As the mushroom fermentation progresses, it is confirmed that the amino acid content is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o develop the product using the P. multiflorum fermented with mushroom mycelial.
        11.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ltivessel spontaneous coronary artery dissection is extremely rare. There are no guidelines regarding optimal treatment of spontaneous coronary artery dissection. The treatment depends on clinical symptoms, extent and location of the dissection, and the hemodynamic status of the patient. Althoug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might be required for all of the dissecting arteries, this cas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an appropriate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ies for spontaneous coronary artery dissection.
        17.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ereal grains are rich in phenolic compounds that give beneficial effect in human health. Although several research works have been reported on the effects of phytochemicals of plant origin, such as fruits, vegetable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whole cereal gra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80% ethanolic extracts of cereal grains by testing the ability of the extracts to inhibit UV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vitro using linoleic acid in comparison to well-known antioxidant such as ascorbic acid and tannic acid.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cereal grain (80% ethanolic extrac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varied from 2.1 mg/g (wheat cv. Olgeurumil) to 10.4 mg/g (barely cv. Seodunchalbori).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tal pheno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Whe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investigated extracts were measured with application of same quantity of phenol compounds, oat grain extracts showed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of barely cultivars. However, barely extract appeared as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of inhibition of UV -induced lipid peroxidation. This indicated that factors such as phenolic compound composition and their individual antioxidant activity could playa crucial role in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cereal g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