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8

        18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 활동이 생태계의 훼손과 생물다양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35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의 교란정도를 알 수 있는 귀화식물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대상지에 대한 토지이용 현황도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경관생태학적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의 경관지수와 귀화식물 분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경관지수는 공간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은 Urbanization Index와 Naturalization Inde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귀화율과 패치밀도, 귀화율과 가장자리밀도, 귀화율과 면적가중평균형태지수 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귀화율과 핵심면적백분율, 귀화율과 평균핵심지역 등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800원
        18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익산시는 KTX역세권,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도지정 등에 의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도시경관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종합적인 경관계획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익산시에 내재되어 있는 경관자원을 도출하여 자원의 보존, 연계방안을 설정하고, 둘째, 시가지 환경개선과 지역특색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바람직한 경관계획을수립하며, 셋째, 주민과 함께하는 경관계획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는 도농통합시 익산의 중심시가지인 15개 동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자원을 도출하고 자원의 가치및 중요도를 펑가한 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관유형은 자연경관, 시가지경관, 가로 및 철도경관으로 구분하였다.자연경관에서는 배산, 탑천, 대간선 수로의 보존 및 녹지의 네트워크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및 KTX 역세권에 대해서는 주요 지역에 대한 특정경관계획과 건축물 및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설정하였다. 가로 및 철도경관에서는 하나로, 송학로의 선형공원화를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였으며 철도변 경관저해요소 제거방안을 제시하였다.계획의 실행은 경관사업과 병행하여 주거지 경관정비는 주민 주도형 경관협정을, 탑천, 폐선부지, 하나로의 공원화사업은용도지구 지정을, 배산, 역세권, 대학로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함으로서 규제 및 인센티브가 상호 보완적으로 나타날수 있게 하였다.
        4,500원
        18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피아리는 자연 그대로의 식물을 여러 가지 동물모양으로 자르고 다듬어 보기 좋게 만드는 기술 또는 작품을 일컫는다. 17~18세기에 유럽에서 유행하였는데 한국의 경우 1990년대 이후 꽃박람회 및 화훼전시 공간에 토피아리를 활발하게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피아리 경관구성 유형별 이미지 표현 및 소재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토피아리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연구방법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외 박람회 및 화훼전시 공간, 식물원, 정원 등에 도입된 토피아리를 사진으로현지촬영하여 2010년 10월 20일부터 2010년 11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토피아리 유형은 단독배치형과 조합배치형으로 구분한 후 「캐릭터형」,「식물형」,「동물형」,「사람형」,「조형물평면형」,「조형물입체형」,「글씨형」,「정원형」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소재는 ‘수목’, ‘첨경물’, ‘이끼’, ‘초화류’ 등으로 분류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250부를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토피아리에 대한 이미지는「인상적인」,「재미있는」,「신기한」,「아름다운」,「정교한」,「자연스러운」,「조화로운」 등의 이미지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토피아리 유형에 대한 선호도는 1개를 배치한 단독배치형보다 2개이상으로 구성되는 조합배치형을 선호하였다.셋째, 토피아리 이미지 표현에 있어 소재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인상적인」,「신기한」,「정교한」 표현을 할 경우 ‘이끼소재’가 효과적이며, 「재미있는」 표현을 할 경우 ‘첨경물’, 「아름다운」,「자연스러운」,「조화로운」 표현은 ‘수목’을 소재로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넷째, 토피아리 연출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표현방법은「인상적인」이미지 표현으로 ‘이끼’를 소재로 사용하여 ‘사람형’으로 구성하여 ‘조합배치’ 하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4,000원
        18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관심의제도가 보다 효율적 추진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전라남도의 총 대상으로 시 ․ 군의 경관계획수립 및 경관심의 위원회 운영현황, 경관심의 사례와 시 ․ 군경관조례에서 규정하고 있는경관관련 위원회의 명칭과 기능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목포시, 순천시, 나주시, 담양군, 구례군, 영암군 등6개 지자체의 경관조례 및 제정, 경관계획 수립현황과 형성조례와 경관 유형별 개발 인 ․ 허가 운영지침을 검토하였다.또한 최근 이루어진 경관심의 가운데 여수시와 순천시, 보성군과 장흥군 기본경관계획과 완도군의 특정경관계획 심의사례를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경관심의제도의 효율적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첫째, 경관법 개정을 통해 경관심의제도 자체의 개선 필요성과 함께 시 ․ 군 경관계획의 수립 ․ 변경, 승인은 시 ․ 군자체적으로 심의 ․ 자문할 수 있도록 현실화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둘째, 경관조례와 공공디자인 조례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경관조례와 공공디자인조례의 일원화를 통해 경관이라는큰 틀에서 공공디자인 문제를 취급하는 시스템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셋째로, 시 ․ 군 경관계획 수립과 관련한 도 경관심의와 시 ․ 군 경관심의를 차별화하거나 폐지하는 방안의 검토가요망된다.넷째로, 전라남도 경관조례 제13조에는 경관지구 및 미관지구 이외의 지역에서의 대규모 개발 행위시 경관관리계획수립 및 조치를 이행하도록 하는 조항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현실적 조치가 필요하다. 해당되는 개발행위에 대해서는경관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행정감독을 이행할 필요가 있기에 대규모 개발 행위 시 경관관리계획수립 및 조치를 이행하도록 해야 한다.다섯째, 다소 주관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경관심의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경관심의 가이드라인혹은 체크리스트 등을 작성하여 행정과 심의위원, 그리고 사업자가 공유하는 경관심의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여섯째, 경관심의제도가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대규모 개발행위에 있어서 경관관리계획 수립 지침의 마련, 경관상 시상 등 정책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4,600원
        18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량 중에 장대교량을 대표하는 현수교에 대한 설계 시 고려요소인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변화에 따른 경관선호도를 파악하고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 설계요소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를 SD법을 적용하여 교량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량경관에 대한 경관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교량의 중앙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호하는 새그비의 범위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새그비를 선호하며,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경관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에서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새그비의 속성에는 "안정성" "조형성" "심미성"과 모두(+)상관관계에 있지만 "조형성"의 영향이 미비하였다. 설계요소와 이미지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요인에는 "안정성"이라는 요인과 더 관계되어 있었으며, 새그비가 낮아질수록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 결과, 경관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특성 중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조형성"의 이미지특성의 부각을 위해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비례요소가 아닌 균형과 대칭의 요소의 변화를 주어 보완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3주탑현수교와 새그의 좌우대칭이 다른 현수교가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더 부각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추후에 현수교의 경관설계를 할 때 비례요소뿐만 아니라 균형과 대칭의 요소도 고려하여 설계 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4,200원
        189.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omorphological landscape of the border region in Gangwon province can be divided by coastal area in the east, mountainous area in the middle and east, and plain area in the west along DMZ (Demilitarized Zone). According to this landscape, various geomorphological units such as mountain landform, river landform, coastal landform and volcanic landform are surveyed. Because there are unique cultural, historical, and ecological heritages, the region has the potential for a global attraction. Therefore, the geopark as one of institutions of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in UNESCO is alternatives to the activated program for DMZ where has undergone a conflict of value betwee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to the preservation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in the border region.
        4,000원
        19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은 극한상황의 극복을 위해 상상력을 동원하게 되고 이는 곧 절대자에 대한 제의적 행위의 발생을 가져오게 된다. 인간은 이를 종교로 발전시키고 종교는 상징적 언어나 이미지를 사용하여 공간속에 내재된다. 이러한 과정은 오랜 세월특정다수의 집단에 의해 그 가치와 문화 그리고 제의적 관습이 축적된 종교적 경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을 종교적 경관이라정의한다. 연구의 목적은 특정종교가 그 종교의 본질을 전파하기 위해 경관에 사용한 종교적 상징은 무엇이며 어떤 방법으로표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연구의 결과는 종교적 경관의 구조는 내/외부적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종교적 경관이 내포하는 상징은 중심, 통로,경계로 대별된다. 종교적 경관에 나타난 상징의 표현방법은 물리적 외관에 의한 방법, 환경과 결부된 행위에 의한 방법,그리고 환경에 부여된 의미에 의한 방법으로 나누어진다.물리적 외관에 의한 방법은 수평/수직적 형태에 의한 방법과 영역성, 그리고 중심성을 통한 방법이 있으며, 환경과 결부된방법으로는 제의적 행위를 통한 방법, 그리고 환경에 부여된 의미에 의한 방법으로는 명명, 유출, 입지와 방위에 의한 방법이있다. 이러한 상징표현을 위해서 수사학적 기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4,000원
        19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주인이 될 현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통주거 ‘한옥’ 교육에 기여하고자,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옥 경관의 이미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한옥 경관 이미지는 문헌에 사용된 형용사 어휘와 청소년이 사용하는 어휘를통해 추출하였다. 청소년의 한옥 경관 이미지 평가는 쌍극 형용사를 5점 리커르트(Likert)척도로 평가하는 SD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한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김동수 한옥 사진을 보조적으로 제시하였다. 청소년 조사대상은 전주시의 4개 중학교의 남녀학생 각 120명씩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미비한 자료를제외한 236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문헌과 청소년 조사에서 추출한 한옥 경관 이미지는 41쌍의 쌍극 형용사였으며 그 속성은 자연미,절제미, 공간감, 정서감, 기능성, 외형성, 정체성에 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요인분석한 결과 30쌍의형용사로 한옥경관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 속성은 심미성, 기능성, 정서감, 공간감, 수수함, 조화성, 안정감, 사회문화성,시민성의 9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의미분별척도법에 의한 청소년의 한옥 경관이미지 평가결과, 심미성, 기능성,정서감, 공간감은 명확한 이미지였으나 수수함, 안정감, 사회문화성, 시민성에 관한 한옥 경관이미지는 다소 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한옥의 경관이미지 속성은 전통이라고 하는 시대적 특성을 담는 이미지와더불어 평범한 인간미를 갖는 수수함, 정서감, 시민성의 특성으로 현대 주택과 차별화 되는 것이다.
        4,000원
        19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주시의 문화경관과 그 의미를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주의 역사적 문화경관의 역할은 호남지역에 대한 관문역할을 한 것으로 마한시대, 백제시대,후백제시대,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부터 담당해 왔다. 이 지역의 지형적 형국은 동쪽의 승암산, 기린산에서 출발하여 우측의건지산, 좌측의 남고산과 완산칠봉에서 서쪽의 서산으로 뻗어가는 모습을 하고 있다. 북쪽의 허한 곳을 보완하기 위하여여러 종류의 비보풍수를 채택하고 있는데 숲정이, 덕진지 등이 그러한 예가 된다. 또한 전주는 ‘풍패지도’라는 이름으로 유명한데이것은 나중에 영조대에 읍성의 4대문 이름으로 차용되었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문화경관 요소들은 전주시의 개성을높이는 역할을 해 왔다.
        4,300원
        19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관설계는 환경의 문화적, 생태적, 인위적인 요소들을 고려한 물리적 변화를 통해 외부공간을 창조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경관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조경분야에서 이루어져 오면서, 설계와의 연관성 또한 중요하게 자리매김 하였다.하지만 경관설계 과정에서 많은 요소들의 생태적·사회적 가치에 높은 비중이 실려 반영되어온 반면, 다양한 미적경험 및개념에 올바른 이해와 이들을 측정하는 기준 및 척도에 관한 부분은 체계적으로 고찰되지 못한 점 또한 주목해야할 부분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미학 이론과 척도들에 관한 고찰을 통해 경관설계의 이론적 근거와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이를 위해 인지요소와 감정요소의 특성을 고찰하고 각 요소들 간의 상호관계를 측정하는 심리학적 척도를 이용하여 물리적환경과 인간의 경험과 행위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간이 환경을 지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각 자원에 대한평가와 감정의 동요는 환경의 미적 질을 측정하는 골자이며, 궁극적으로는 행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용자와 방문객들의장소에 대한 선호도와 보다 나은 행태를 유발하기 위해서 설계자나 연구자들이 숙지해야 할 사항이기도 하다.이는 또한 경관설계에 관한 연구가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기능적인 측면에 주안점을 두며 발생하는 문제점, 즉 환경의보전과 인간에게 활동공간의 제공이라는 두 가지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켜줘야 한다는 패러독스를 해결하기위한 초석이기도하다.현대 경관설계는 외부공간의 질 향상과 생태적·사회적 기능제공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 발생하는갈등의 해소를 위해 학제 간 연구 등 다양한 접근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그런 점에 착안할 때, 설계가와 연구자들은 환경의미적 질과 이용자 경험이나 반응과의 상관관계가 개인의 삶의 질이나 웰빙 등의 생태적·사회적 가치, 인간의 행태, 나아가도시 재건 등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점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4,300원
        19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제성장과 함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도로 계획 및 설계분야에서도 기능 중심의 설계에서 이용자들의 시각 및 심리적 특성인 감성을 고려한 경관 중심의 설계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조사된 감성형용사들을 개인의 감성인지 특성 차이를 최소화 하면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추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어의구별법(Semantic Differential)의 5점 척도에 의해 조사된 감성형용사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요인분석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판별분석을 통해 감성형용사를 추출하고 상관 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감성형용사를 추출한 후 수량화 I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수량화 모형을 이용하여 만족도를 예측한 후 실제 관측 만족도와의 쌍체비교 검증을 통하여 판별 및 상관분석에 의한 방법이 실제 관측 만족도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어 연속적인 도로경관 설계시 판별 상관분석에 의해 적용가능한 감성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198.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숲을 경관생태학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모형 개발과 적용을 통해 평가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가지표는 층위구조, 입지상태, 활엽수구성비율, 식생구성종수 등 17개이다. 평가지표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높은 관계성을 가진 것은 임령(X8)과 공간형성기간(X10)으로 상관계수가 0.684로 나타났으며, 부(-)의 상관성을 가진 지표들은 층위구조(X1)와 위험성(X13)으로 상관계수가 -0.412로 분석되었다. 평가모형구축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10개의 모형이 도출되었으며, 총 17개 변수 중 층위구조(X1), 식생구성종수(X4) 등을 제외한 입지상태(X2), 활엽수구성비율(X3) 등 10개의 변수만이 유의확률 9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형의 회귀식과 합산평가 매트릭스법과 비교분석 결과, 모형 3의 회귀식이 정확도 91.7%로써 전체 10개 모형 중 가장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평가모형에 대한 정확도 증진기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