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5

        181.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work between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and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wenty four students (14 Korean students and 10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Chen and Starosta’s (2000)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was implemented with Paradigm Software to measure the participants’ resolution latency time while they were responding to the surve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s of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 and interaction confidence. Also, apart from the response value, the analysis of resolution latency time showed other aspects of participants’ cognitive lev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Thus, this study indicates that a multi-round analysis can give a more in-depth insight beyond the mean value of the survey’s response.
        182.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역량의 함양과 신장에 목표를 둔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명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비추어볼 때 다양성 교육 혹은 다양성에 지향을 둔 간문화 교육은 학습자가 내러티브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안내해줄 필요가 있다. 둘째, 세계화와 개인화, 대중매체의 보편화와 디지털화, 이주와 문화적 다원화는 점점 더 증가하는 다양성의 전제조건이면서 동시에 거꾸로 그 결과이기도 하다. 셋 째, 다양성 교육의 목표와 과제를 고려하는 데 있어서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거나 다양성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려는 시도 및 이와 관련된 내러티브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차이·다양성의 증가는 학교교육에서 다양한 내러티브, 다중관점, 다양한 해석이 반영될 것을 보다 더 많이 요구한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성 교육은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의 과제는 구분된 기억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이와 동시에 공유된 기억을 탐색하는 데 놓여 있으며, 공유된 기억의 가능성을 전달하거나 학습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바람직한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다양성 교육을 통해서 내러티브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취급함으로써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면, 이는 결국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83.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의 변화에 대비하여 농특산품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농업인 역량 범위가 생산에서 가공 및 유통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농촌 관련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농업인 역량 범위 확대에 속하는 포장 및 브랜드 등 농산물 가치를 높이는 디자인 관련 교육이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한계성이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의 요구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참고하여 브랜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기초설문을 통해 브랜드 디자인 교육 필요성 및 요구도가 높음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농업인(10인)과 전문가(10인)로 나누어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농업인 의견과 전문가 의견으로 비교 분류하여 종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디자인 및 교육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3회차를 통해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단계, 수준, 역량 정의, 교육시간, 방식, 커리큘럼, 세부내용 등을 구성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정부기관과 연계하여 시범 적용을 실시하여 실용화하였다.
        18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국내외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다문화 역량을 측정하는 55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조사의 연구대상은 309명의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이다. 최종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내적 합치도와 반분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 척도는 다문화 관계기술, 다문화 관계회피, 다문화 인식의 3개요인, 3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내적 합치도와 반분신뢰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를 통하여 청소년 다문화 역량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 역량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으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교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척도를 통하여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을 평가하고, 이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8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중문화역량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144명의 설문지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이중문화역량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이중문화역량은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이들의 우울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즉,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역량은 조절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크더라도 높은 수준의 이중문화역량을 지니고 있으면 이들이 경험하는 우울의 수준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논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186.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교사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글로벌 교육역량을 구체화하고, 해외교육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과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이다.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은 국내 사전교육과 해외교육실습으로 구성되었다. 국내 사전교육으로 예비교사들은 글로벌 특강,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및 시연, 영어 회화 수업을 수강했으며, 해외교육실습은 미국 중서부와 서부 지역에서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2~3주간 실시되었다. 참여한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는 설문지와 예비교사들의 학습일지 및 소감문 자료, 영어 의사소통능력 변화는 사전, 사후에 실시한 영어 의사소통능력평가 결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한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 조사에서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은 모두 상승하였으며, 각 요인간 상관관계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은 20명 중 17명이 1단계에서 4단계 까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어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전후에 글로벌 교육역량의 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교육이 해역량, 글로벌 교수능력,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평균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187.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AI 기기를 영어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의 하나로 대표적인 AI 챗봇(chatbot)인 Mitsuku와 Cleverbot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7단계로 구성된 다양한 과업을 제시하고 2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 챗봇과 채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먼저 두 챗봇 모두 대화에서 구사하는 어휘의 90% 이상이 상위 3,000단어 이내에 포함되어 대화 시 학습자들이 챗봇의 표현을 이해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다. Mitsuku와 Cleverbot의 기능 비교에서는 실제 대화의 양상과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볼 때 Mitsuku에 대한 평가가 훨씬 긍정적이었다. Mitsuku는 맥락 파악에 다소 한계를 보이기는 했지만 대화 구사에 큰 무리가 없었고 Mitsuku 자체의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뛰어넘는 내용에 대해서는 웹검색을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Cleverbot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챗봇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실험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영어 구사의 기회와 영어 입력을 제공한다는 점, 그리고 무엇 보다도 인간 대화와는 달리 부담 없이 어떠한 민감한 대화 주제도 꺼낼 수 있고 채팅 시 나타날 수 있는 영어 오류에 대해 신경이 덜 쓰인다는 점을 챗봇 활용의 장점으로 꼽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 밖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188.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CEO characteristics are main factor influencing firms’ prosperity as well as performance. So it is quite natural that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factors of CEO that matters. In this research, CEO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apabilities and skill or special knowledge necessary to run the business are invested for manufacturing firms. Precedent studies reveal that CEO characteristics such as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desire to succeed, tendency to take risks, personal factors including age, year of running business, and task related factors including managing capability, communication skills, network influence firm performance for manufacturing firms. However, these studies simply verify whether or not those factors affect firm’s managing performance. This study, however, goes further to investigate how is the affecting process from CEO’s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to firm’s core competence, and from core competence to advantages, and from advantages to managing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make a questionnaire and surveyed manufacturing firm CEO’s in Gyeonggi-do area.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ntrol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SPSS 2.0 Win, version was used. Results – The CEO characteristics including basic capability, task capability,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ffect core competence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core competence affect both price advantage and differentiation advantage at the significant level. Some unique finding is that while differentiation advantage affects both financial achievement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price advantage does not affect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And firm characteristics mainly measured by CEO characteristics of skills has control effects on the trace from core competence to price advantage. Conclusions –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CEO characteristic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firm’s prosperity. For manufacturing firms, whether CEO has the skill or special knowledge to run the firm is critical factor.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EO’s for manufacturing firms put importance on price and price advantage which seems to be familiar to them. However, the price advantage does not influential to financial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firms’ CEO’s should make effort to improve other aspects of advantages to be more competitive.
        189.
        2018.10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길림성 Y시 S사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32명으로,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신체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의 또래 유능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또래 유능성 검사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도성과 친사회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사교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준 것이라고 판단되며 하위요인 중 주도성과 친사회성에는 영향을 주지만, 사교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90.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유형,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문화간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조사대상은 중학교 교사 23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결과, 학교조직문화요인들 중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적합한 모형이었다. 그러나 수직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만 다문화교수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문화간감수성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95%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중학교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반영한 수평적인 개인주의 또는 집단주의 조직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대해 논의하였다.
        191.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시간에 지각된 학습환경과 수업참여간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유능 감, 성취목표 및 정서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모형의 타당 도를 검증한 후에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 그리고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다중 매개효과를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중학생 419명(남학생 234명, 여학생 185명)이며, 본 조사는 예비조사에 참여한 중학생들을 제외한 3개교 중학생들 가운데 학년별로 두 학급씩을 선정하여 전체 18개 학급 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질문지는 Park, J. G., & Moon, I. S. (2013)가 중학교 체육상황에서 신뢰 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Shen 등(2012)의 체육 과제참여 질문지(Task Engagement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가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지각된 유능 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는 지각된 학습 분위기와 수업참여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도전적이고 위협적이며 경쟁적인 학습 분위 기는 지각된 유능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 중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수업참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시간에 긍정적인 학습환경 조성이 중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유능감 지각, 접근목표,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임을 시사 한다.
        19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과 그에 대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그들의 직무역량 향상에 대한 정책 수립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9개 역량영역과 18개 역량군의 유치원 초임교사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직무역량과 지 원의 중요도와 보유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최우선순위 직 무역량은 생활지도의 부적응지도, 생활지도의 생활습관지도, 교육과정운영의 교수활동으로 나타 났다.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요구가 높게 나타난 지원 사항은 양성과정에서의 실무연수 강화, 멘 토링, 입직 후 직무안내 및 교육, 교육활동을 위한 시간적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중요도에 비해 보유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 하여 직무역량 교육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최우선순위 교육 요구 직무역량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현장에서의 유치원 초임교사의 효과적인 입직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입직교육 관련 정책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직원 인력배치, 교 사경력단계별 적정학급규모, 근무시간에 대한 지원 요구도가 높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교원의 인 권보장에 대한 법리적 문제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19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4~6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가정 아동 343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내적합치도,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여학생 집단은 남학생 집단보다 다문화 수용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 6학년 집단은 4학년 집단보다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개방성의 수준이 높았으며,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에서는 5학년 집단이 4학년 집단보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 집단은 남학생 집단보다 사회적 능력(책임감과 개방성)의 수 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접촉경험이 있는 아동은 경험이 없는 아동보다 주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수용성 4개 하위요인들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은 사교성과 책임감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가정 아동이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관계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사회적 관계에서 필수적인 사교성과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역량을 기반으로 재구성되어 실현되는 양상을 교육과 정 문서와 현장 교사 면담, 수업 관찰을 통해서 역량 개념의 교육과정 재구성 적용 의의, 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과 특징,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쟁 점사항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초등학교 3곳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 는 6명의 교사와 이들 학교의 교육과정을 수립 및 운영하는 관리자, 장학사, 학생, 학부모와의 면담 및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의 직접적 실천자인 교사들은 학습자 의 총체적인 능력의 발현 형태로 역량을 인식하고 지식 전달중심의 교육의 대안적인 형태로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재구성하여 운영 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생의 삶,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 학생의 특성에 중점을 둔 수업, 관찰 평가, 교육공동체의 확장 등의 특징을 지녔으며 교사 각자의 다양성과 전문지식을 살리고 구성원 끼리 협력과 공유의 과정을 거쳐 교육과정 실행자이자 개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높은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역량증진에 대한 평가 도구에 대한 모호성, 기존 교육과정 재해석의 어려움, 학교 구성원 간의 이견, 현행 입시제도 에 적합 여부에 대한 부담 등이 존재하였다.
        19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학교가 역량기반 교육을 도입하고 운영하는 상황에서 대 학교육의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자 대학교수자의 역량기반 수업 운영 경험을 살펴보고자 했다. 근래에는 대학교육에서 학생역량강화를 위해 다양한 수업방식을 적용하는 등 수업 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대학교의 교수역량강화 사업 ‘역량기반 수업 재설계’에 참여한 교수 1명의 역량기반 수업 운영 경험과 개인적 지식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이해하고 수업 질 개선의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는 이론에 충실하고 창의적으로 응용 할 수 있는 사람이며, 이를 양성하는 것이 실질적인 교육이라고 보고 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학생들의 성실한 학습을 이끌어내는 것이 성공적인 교육의 지름길이라고 보고 있다. 흥미와 재미, 그리고 참여하는 수업을 구상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성실하게 학습하 도록 교육의 절차와 엄격한 규율을 강조한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팀워크와 협업능력을 바탕으로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수업 설계를 해야 한다고 본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수업 운영의 원칙으로서 학생의 모든 노력을 정당하게 인정하여 평가에 반영하는 것과 학생이 문제를 제출하고 토론을 통해 과제를 하도록 한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는 학생들에게 제 공하는 과제를 철저하게 지도하고 완전학습 하도록 수업을 운영한다. 이러한 연구 참여 자의 수업 운영에 대한 신념과 원칙을 볼 때, 수업 운영은 전공학문의 특성, 교수학습 방 법, 교수와 학생과의 관계, 학습문제에 대한 관점, 학습자에 대한 이해, 학습자에게 요구 되는 자세 등과 밀접하게 연관이 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대학교수자의 수업 질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196.
        2017.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모국어 습득의 연구 성과를 이용하여 문법번역과 직업번역 간의 구별을 검토하였다. 문법번역은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 학습을 보조하는 도구이다. 하지만, 직업번역은 두 언어 사이에서 교제하는 도구이다. 이 두 가지 다른 성질을 가지는 번역 사이에서 대응 관계와 모국어 습득은 발전 단계상 유사점이 있다. 언어 습득 및 번역 기능 습득을 이해하는 과정은 학생 번역자에게 이성적으로 번역 전략을 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197.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paper will go deep into the analysis of Korean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ultural value of cultural product, competitive product lines and mature Market Mechanism are core competences of Korean Cultura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a case study in the era of knowledge based economy, Cultural industry has become a new increasing point of economic development. Cultural industry, commonly regarded as an industry with high-ended value, is occupying more important role in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welfare promotion process. Results - Moreover the increasingly important role of cultural industry will hopefully help to promote industrial upgrading process and finally become a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During the process of cultural development, improving core competence of Cultural industry is a key consideration to help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in a positive way. Conclusions - From the study above, we find that in order to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emphasis should be put on finding and improving core competence. Core competence of Korean Cultural industry is important and inspiring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and regional integration in the East Asian area.
        198.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effects of two tele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asynchronous (ATL) and synchronous telecollaboration learning (STL),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xie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 To evaluate the 27 participants’ motivation and anxiety level,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administered and the motivation level and the anxiety level were compared between the ATL and the STL group. On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to examine their ICC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with questions constructed based on five objectives of Byram’s intercultural compet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rease their motivation level. However, when examining in more detail, the participants in ATL increased their instrumental motivation while those in STL increased their integrative motivatio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At last, (3) regarding ICC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both in the ATL and in the STL greatly improved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but ATL participants, compared to STL participants, demonstrated relatively limited changes in their critical cultural awareness. Implications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ICC by telecollaboration are suggested.
        19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 관련 직무 종사자의 제도화된 인종주의가 종사자의 문화적 역량과 직 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진다. 분석결과, 제도화된 인종주의 가 문화적 역량에는 부적(-)으로, 직무스트레스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적 역량 증진 방안 모색과 실천서비스의 질적 향상, 종사자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제도 화된 인종주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관련 직무 종사자의 문화적 역량 강화 교육 및 각종 훈련프로그램 등에 제도화된 인종주의 개념이 추가될 필요 가 있으며, 보이지 않는 차별이 가해지고 있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민과 함께 제 도화된 인종주의의 개선방법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
        200.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이중언어 사용능력(한국어, 모국어)이 적응유연성과 문화정체감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에 거주하는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의 자녀 중 초등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적응유연성 과 문화정체감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출신국의 언어가 비국제어보다 국제어에서 다문화 아동의 모국어 사 용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어 사용능력은 어머니의 출신국의 언어에 따른 영향이 없었다. 둘째, 한국어 사용능력은 적응유연성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고, 모국어 사용능력과 어머니의 출신국은 적응유연성에 영향이 없었다. 셋째, 모국어 사용능력은 한국 문화정체감 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고, 한국어 사용능력과 어머니의 출신국은 한국 문화정체감에 영향이 없었다. 넷째, 한국어 사용능력은 모국 문화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고, 모국어 사 용능력은 모국 문화정체감에 부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출신국은 모국 문화정체감 에 영향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 사용능력이 우선적으로 뒷받침 되어 야 이중언어 사용능력을 통한 적응유연성과 문화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 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아동의 이중 문화정체감을 성공적으로 통합하고 적 응유연성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이중언어 교육을 마련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