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6

        181.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만인과 당뇨병환자들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특용식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급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게 유기농현미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고 각종 기능성 요소가 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 50여종의 식품원료를 조성으로 한 분말형 식이를 급여한 후 혈장 glucose 농도 및 지질구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당뇨유발 후 28일동안 각 처리별 식이를 급여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당뇨유발군 모두에서 감소했다. 당뇨유발군중에서는 특용식이 100% 처리군에서 체중감소가 가장 많았다. 혈장 중성지질총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용식이 처리군 모두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특용식이 50%, 100%에서는 정상군의 수준을 나타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용식이 50%, 100%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HDL-cholesterol량은 전 처리군에서 30mg/dl 대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각 처리에 따른 일정한 변동경향을 볼 수 없었다. LDL-cholesterol량은 특용식이 100%처리군에서 최저치를 나타내어 정상군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여타 처리군들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혈장glucose량은 특용식이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 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특용식이 100%처리군에서는 120mg/dl의 수치를 나타내어 정상수준의 범주였다.
        183.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잎에 대한 일반성분과 tocopherol 동족체를 분석하였으며,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보다 더 정제하기 위해 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및 물층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분획물을 이용하여 자외선 (UV 308, 350 nm) 차단효과와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성분의 분석 결과 수분이 67.5%로 가장 높게 나타났
        185.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pool size of carbohydrates under drought stress, white clover (Triforium repens L.) were exposed to -0.04 Mpa(well-watered, control) or to -0.12 Mpa (drought-stressed) of soil water potential during 28 days. Dry weight of leaves in drought-stressed plants was remarkably decreased by 45% within 14 days and 74% within 28 day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lucose concentration in drought-stressed plants was increased, while that of control was slightly decreased or remained at same level throughout experimental period. Fructose and sucrose concentrations in leav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for drought-stressed plants, but those of the cont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plant after 14 days. Fructose and sucrose concentrations in stolon of control plants were sharply decreased, while that of drought-stressed plants was less varied. Those concentrations in roots were generally increased in drought-stressed plants. The concentration of total soluble sugars at 28 day was 438.0 and 632.6 mg g-l dwt. in control and drought stressed plants, respectively. Starch concentration of stolon and roots of control plan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2.0 and 1.4 times of initial level,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drought stressed plants was nearly same level or slightly decreased compared to initial level.l.
        186.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our protein content and SDS sedimentation volume were measured for 128 wheat varieties bred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llelic variation of glutenin, one of seed storage proteins, was also identified by SDS-PAGE to measure the effect of HMW-GS (hig
        187.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역에서 파종기이동(4월 25일, 5월 10일, 5월 25일, 6월 10일, 6월 25일)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9년 4월 25일에서 6월 2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시험하였다. 1. 초장은 4월 25일 파종구에서 278.6 cm 였던 것이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져서 6월 25일 파종에서 초장은 205.7 cm로 짧아졌다. 엽수, 고엽수, 경직경, 분지수 및 개체당 무게는 초장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2. 생초, 건초, 단백질 및 TDN수량은 4월 25일 파종구에서 각각 98.5MT/㏊, 20.7MT/㏊, 2.9MT/㏊, 11.6MT/㏊로 가장 높았으나 만파할수록 점차적으로 감수되어 6월 25일 파종에서 생초수량은 45.9MT/㏊, 건초수량은 8.2MT/㏊, 단백질수량은 1.3MT/㏊, TDN수량은 5MT/㏊로 감수되었다. 엽과 경의 생초, 건초, 단백질 및 TDN수량도 만파할수록 감소되었다. 3. 파종기가 4월 25일에서 6월 25일로 지연됨에 따라 엽의 단백질 함량은 21.5%에서 24.4%로, 조지방 함량은 5.2%에서 6.1%로, NFE 함량은 39.9%에서 41.2%로, TDN 함량은 64.3%에서 69.7%로 증가한 반면에 조섬유 함량은 엽에서 20.8%에서 17.5%로, 조회분 함량은 7.9%에서 7.0%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경의 조단백, 조지방, NFE, TDN함량은 만파 할수록 증가되었으나 조회분 및 조섬유 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주도 기상, 토양의 환경조건하에서 양마의 파종적기는 4월 25일로 판단되었다.
        188.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혀의 분얼최성기의 관수스트레스 시 탁도(청수, 반탁수, 탁수) 및 관수시간에 따라 반응하는 단백질, 지방산 조성 및 지질과산화(malodialdehyde)를 정량하여 관수에 따른 생육장해 및 그 작용기작을 구명하여, 관수에 따른 생화학적 대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관수스트레스에 의해 가용성단백질은 약 20%가 감소하였다. 특히 탁도가 높고 관수시간이 경과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관수 36시간부터 감소량이 크게 나타났다. 단백질 전기영 동패턴은 관수스트레스에 따라 생성이나 소멸한 펩타이드는 없었으나 약 53Kd부위의 폴리펩타이드는 관수초기부터 함량이 증가하였고, 약 28Kd는 48시간, 54시간에서만 함량이 증가하였다. 관수스트레스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정도는 약 150%가 증가하였고, 탁도처리에서 청수와 반탁수간의 차이는 작은 경향이었지만, 관수 60시간에서 약 160-180%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탁수에서는 관수초기부터 malondialdehyde함량이 높았고, 36시간이후부터는 약 190-20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Catalase는 탁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경과할수록 활성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관수 48시간을 기준으로 catalase 활성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지방산조성의 변화는 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특히 불포화지방산 중 monounsaturated은 증가하였고 polyunsaturated의 상대적인 조성비율은 감소하였다. Double bond index는 탁도가 높을수록 관수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폭은 커서 불포화정도가 떨어짐을 나타냈다.
        189.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나리즙 투여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장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prague-Dawely계의 횐쥐를 I(정상군)과 II(대조군:고지방식이급여군), 그리고 미나리즙의 처리수준에 따라 III(고지방식이급여군+미나리즙(1.0 ml) 과 IV(고지방식이급여군+미나리즙(1.5 ml)의 4군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종료일의 체중은 고지방식이 급여로 모두가 정상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그러나 대조군과 미나리즙군 간에는 미나리즙군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식이섭취량 및 효율은 각 처리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Total-cholesterol도 미나리즙 투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HDL-cholesterol은 미나리즙(1.0 ml)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GPT는 처리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GOT활성은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Lipid peroxide는 고지방식이 급여군에서 증가하였으나(p>0.05), 미나리즙의 투여는 lipid peroxide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191.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ur introduced forage rape (Brassica napus) cultivars, 'Akela', 'Ramon', 'Sparta', and 'Velox' and a leading rapeseed cultivar, 'Hallayuchae' were grown at nitrogen (N) rates of 0, 100, 250, 300, 350, and 400 kg/ha to (i) select forage rape cultivars adapted best to Cheju area, and (ii) determine the optimum N rate for the best cultivars. Days from seeding to flowering across the cultivars increased 190 to 195 days as N rate increased from 0 to 400 kg/ha. Average days to flowering of six cultivars ranged from 182 to 198 days. Plant height increased as N rate increased up to 300 kg/ha and then decreased with a further increase in N rate and ranged from 159 to 174 cm among the cultivars. The optimum N rate for the greatest dry matter yield of five cultivars ranged from 222 to 258 kg/ha. Sparta showed the greatest dry matter yield (35.79 Mg/ha), followed by Akela, Hallayuchae, Velox, and Ramon. As N rate increased, crude protein content linearly increased but crude fiber content declined curvilinearly. Akela and Sparta had higher protein content than the other cultivars did. The forage cultivars had lower crude fiber content than the oilseed cultivar Hallayuchae did.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Sparta was best adapted to Cheju area and the optimum N rate for Sparta was about 220kg/ha.
        19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추출조건에 따른 지골피의 몇가지 물리적 성질 및 화학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1. 고형분과 총당함량은 물추출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나 반면에 탄닌산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2. 지골피 물추출물이 탁도와 갈색도가 에탄올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색도 중 적도와 황색도는 유사하였다. 3. 용매별 분획추출결과 수율은 물 > n-부탄올 > 에틸에텔 > 초산에 틸 분획순으로 증가하였다.
        193.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ur introduced forage rape cultivars 'Akela', 'Ramon', 'Sparta', and 'Velox' and a leading rapeseed cultivar Hall-ayuchae were seeded on 1 October 1994 on 20-cm rows at seeding rates of 3, 5, 7, 10, 13, and IS kg/ha to select the best adapted forage rape cultivars and to determine the optimum seeding rate in the Cheju area. Days to flowering of each cultivar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seeding rate. Average plant height increased from 151 to 164 cm as seeding rate increased from 3 to 10 kg/ha and then decreased to 156 cm at 15 kg/ha. Stem diameter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eeding rate. The optimum seeding rate for the greatest dry matter and protein yields of five cultivars ranged from 10.7 to 11.8 and 10.8 to 14.4 kg/ha, respectively. Dry matter yields of five cultivars ranged from 7.72 and 22.01 Mg/ha. Sparta produced the greatest dry matter yield, followed by Akela, Ramon, Hallayuchae, and Velox. Crude protein yields of five cultivars ranged from 0.29 to 1.08 Mg/ha. Sparta produced the greatest crude protein yield, followed by Akela, Ramon, Velox, and Hallayuchae. As seeding rate increased, crude protein content linearly increased but crude fiber content linearly decreased. The forage cultivars had higher crude protein and lower crude fiber than the oilseed cultivar Hallayuchae.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parta was the best adapted cultivar to Cheju area and the optimum seeding rate for Sparta was about 10 kg/ha.
        194.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자생종인 광릉쥐오줌풀의 재배법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무처리, 6, 9, 12kg/10a 등 4수준으로 처리하여 생육 및 뿌리 수량을 조사하고 정유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오줌풀의 생육 및 뿌리 수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3당 9kg 시용한 구에서 가장 높았고, 비료효율은 질소 > 칼리 > 인산 순이었다. 2. 추출물 및 정유 함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3당 9kg 시용한 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외 처리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3. 정유성분 조성은 시비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주요 성분의 조성은 대체적으로 각 비료당 9kg/10a시비수준에서 높았고, 그 이상 시용량이 증가되면 감소되었다.
        195.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개간 토양을 성토한 호남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서 석회시용 유무와 유신근비료 시용을 달리하여 콩의 생육, 수량 및 종실 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개간지 적황색 식량토 (pH 4.9)에서 토양산도를 중화량으로 교정하면 종실수량에서 32%의 증수효과를 보였다. 2. 토양산도 교정에 따른 유산근 비료의 수량증수효과는 과인산석회 31%, 유안 11%, 석고 3%의 순이었으며 교정치 않았을 경우에는 고토석회 47%, 과인산석회 22%, 석고 15%의 순이었다. 3.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석회무시용구보다 석회시용구에서 많았으며 함황비료의 시용효과도 인정되었으나, 지방함량은 큰 차이를 인정 할수 없었다. 4. 석회 시용구에서 유산근 비료의 효과가 큰 것은 과인산석회와 유안이었으며 개량제로는 석고가 좋았고, 석회무시용구에서는 고토석회와 과인산석회가 우수하였다.
        196.
        198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답리작과 전작 유채재배에서 지방산조성이 개량된 품종을 공시하여 시비량을 달리했을 때의 토양화학적 성질, 종실의 유분함량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분함량은 전작재배에서보다 답리작재배에서 높았고 지방산조성에서는 Palmit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은 답리작재배에서 높았으며 Stearic과 Oleic acid는 전작재배에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질소시용은 많을수록 함유율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15kg/10a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인산과 가리는 모두 증가할수록 함유율이 증가하였다. 3.양질 지방산인 Oleic+Linoleic acid의 함량은 답리작보다는 전작재배의 경우 평균 2∼5% 더 높아서 유질이며 우수하였다. 4.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은 질소의 증시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며 인산과 가리에서는 전작인 경우 8kg/10a까지는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답리작에서는 인산, 가리의 증시효과가 없었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