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3

        18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emergence of sociolinguistic approach in second language learning, instructors have begun to acknowledge the native language (L1) as a legitimate tool with the potential to facilitate second language (L2) learning mainly in output-based tasks.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use of L1 by L2 learners affects their task achievement. Two communicative tasks were used, and tasks were carried out by 32 high school students in L2 only, or in L1 and L2 during group test sessions held on different days. Tape-recorded transcripts of learners when performing the task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o investigate effect on the use of L1. The findings suggest that during performing the tasks, learners used their L1 to complete their tasks for a variety of functions. Through the L1, they explained and negotiated the task each other, or checked their understanding or compared answers to the task against their peers. To allow the learners to use of their L1 was even more effective than to urge them to use L2 only in a foreign language class using task. Further investigation indicates that, if one of goals of output-based introduction is considered as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task, the learners’ use of L1 may be beneficial to attain the goal when performing completely in L2 is impossible or beyond the learners’ linguistic ability.
        6,400원
        182.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전통적으로 잘 알려진 호두를 이용한 손 운동이 대뇌 피질에서 활성화되는 정도와 부위를 분석하여, 손의 운동 기능과 관련된 뇌 부위를 자극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정상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호두 돌리기, 나무구슬 돌리기, 맨손 운동과 같은 손의 숙련된 조작이 요구되는 세 가지 운동을 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촬영을 통해 대뇌피질의 활성화되는 부위와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개별적으로 활성화된 영상을 집단으로 합산한 결과, 손 운동에 주로 관련된 일차운동감각영역, 전운동영역, 보조운동영역에서 활성화를 보였으며, 관심 영역 내 총 활성화된 정도가 호두 돌리기에서 가장 높았고, 나무구슬 돌리기, 맨손 운동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호두 돌리기는 뇌에 많은 감각적 자극을 제공하고, 손안에서 이루어지는 복잡하고 숙련된 동작의 수행으로 대뇌 피질의 다양한 운동 관련 부위를 활성화하고, 그 활성화되는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두 돌리기는 손의 감각운동기능과 관련된 뇌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183.
        200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18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wo task-processing conditions (10 minutes of pre-task planning time and content familiarity of the task) on spoken performance in terms of the fluency, complexity, and accuracy in a narrative task. The subjects were 20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 high language proficiency. The results of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lanning and familiarity of the MANOVA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pause length. The univariate test of familiarity in an unfamiliar condition for subordinate clauses in the MANOVA test was significant. The study also found a trade-off effect between complexity and accuracy in terms of the effects of planning time in planned and unfamiliar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formance of learners could be varied depending on the different combinations of task-processing conditions even in a single narrative task.
        5,800원
        185.
        200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ability of training on the acquisition of motor skill of closed loop type tracking task using Rotary Pursuit, an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bilateral transfer effect to the non-dominant hand following practice with the dominant hand. Twelve healthy volunteer students (5 males and 7 females, aged 25 to 37)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constant practice group and a variable practice group. A photoelectric rotary pursuit apparatus with stop clock and repeat cycle timer by Lafayette Instrumentation Co. was used for this study. Rotary pursuit is a closed loop task in which a subject attempts to keep a photoelectric stylus on a lighted target in motion. Subjects performed the clockwise circular pursuit task while standing. Experimental procedure was divided into three sessions, namely, pre-test, training, and post-test. The constant group practiced all 60 trials at 30 rpm. Variable practice group did a varied practice session with 15 trials at speeds of 20 rpm, 26 rpm, 34 rpm, and 46 rpm. No one in either group practiced with their non-dominant arm. A Mann-Whitney test and a Wilcoxon Signed Ranks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no different training effect between groups on the post-test with the dominant hand. However, bilateral transfer effect of rotary pursuit task between hands was demonstrated. Possible mechanisms are discussed.
        4,000원
        186.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로자, 산업재해근로자 및 직업훈련생, 장애인의 기능능력평가도구 및 작업단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도구로 쓰이는 작업모의 평가도구 미국인의 작업수행을 기초로 개발된 발파작업표본평가 중의 하나인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한국 정상인들의 수행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발파작업표본평가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직무 적합성과 작업율을 한국인에게 적용하여 직무적합성판정과 직업복귀 프로그램(작업단련프로그램)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는 20대 일반인 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2회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발파작업표본평가 #2 에서 제공하는 직무에 대한 적합성(적합하지 않음A, 적합하지 않음 B, 적합함, 월등히 적합함)판정비율과 첫 번째 수행과 두 번째 수행에 있어 직무적합성 판정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15명(50%), 적합함이 14명(47%), 적합하지 않음(A)이 1명(3%)로 대상자의 97%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3명(15%), 적합함이 14명(70%), 적합하지 않음(A)이 3명(15%)로 대상자의 85%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발파작업표본평가 #2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적합성 기준과 작업율을 근거로 한 직업단련 프로그램대상자 결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발파를 포함한 이외의 작업표준 평가도구에 대한 특성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직업복귀 프로그램의 팀원의 일부로 참여한다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업복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해근로자의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4,300원
        187.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8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fatigue characteristic of upper limbs, this study analyzed RMS(root mean square) and MPF(mean power frequency) value between initial and terminal stages of each experiment condition. And the effect of intermittent endurance time was eva
        4,300원
        189.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90.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9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ask-based approach to second or foreign language pedagogy aims to provide learners with a natural context for authentic language use. While learners are performing real-world or pedagogical tasks, they have opportunities not only to get a rich and comprehensible input of real language, but also to produce target language items to exchange meanings. Interaction in doing the tasks is thought to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process. Thus, one of the important things that teachers have to do first for their task-based English classes is to design tasks for target language items reflecting native speakers’ authentic language use.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can communicate with foreigners using the prescriptive target language items outside the classroom.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if non-native English teachers would be able to make accurate predictions about target language items in terms of language forms and lexical phrases that would naturally occur when English native speakers carried out two types of tasks (closed tasks and open tasks).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language items predicted by non-native English teachers did not appear in the recorded data by English native speakers, especially for open tasks. Thus, this research called into question the practice of setting tasks at the end of a PPP cycle (presentation, practice, and production), to allow students to put into use target language items that has previously been practised.
        5,100원
        193.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아동에게 심부압박 자극의 한 방법인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시켜 과제 수행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주의력결핍 장애로 진단을 받은 남아 2명으로, 연령은 8.2세와 6.5세였다. 연구설계는 ABA 개별실험연구를 사용하였고, 대상자 1은 11회기를, 대상자 2는 9회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주의산만행동 빈도와 과제 집중률로 하였고, 모든 치료기간 동안에 아동에게는 20분의 인지과제를 실시하여 행동을 관찰하였다. 치료기간에는 1.5kg의 무게를 첨부한 조끼를 착용하고 인지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분석은 회기별 변화정도를 시각적 그래프와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 1의 주의산만 행동의 평균빈도는 기초선A에는 35.3회, 치료기간B는 13.6회, 기초선 회귀A’는 25.6회로, 대상자 2는 기초선A 38.7회, 치료B 10회, 기초선 A’ 16.3회로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 하였을 때 주의산만 행동빈도가 감소되었다. 주의집중 정도는 대상자 1은 치료기간 동안 기초선에 비하여 평균 18.3%, 대상자 2는 24.7%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무게감 있는 조끼를 이용한 심부압박 자극이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아동의 문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고, 조끼는 심부 압박자극을 지속적으로 간편하게 줄 수 있어 임상적으로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추천할 만 하다.
        4,000원
        194.
        200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195.
        200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196.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기와 물의 순환 개념에 대해 과제 상황(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에 따른 지식의 출처와 응답에 상황 의존성이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황 의존성과 학습자의 인지 양식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과제 상황에 따른 지구과학적 문제 해결 검사지와 인지 양식 검사지(GEFT)가 사용되었다. 지구과학적 문제해결 검사 문항은 동일한 개념에 대해 과학적 상황 10문항, 일상적 상황 10문항으로 총 10쌍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검사 문항은 지식의 출처를 선택하는 하위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상황에 따른 학생들의 지식의 출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과학적 상황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학교에서 과학수업시간’을 그리고 일상적 상황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이 주된 지식의 출처였다. 둘째, 과제 상황에 따른 응답의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상황에서 일치하는 응답 수를 일치 점수로 나타내어 비교한 결과, 불일치 점수가 일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p〈.01). 따라서 과제 상황에 따른 응답은 일관성 없으며 상황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의존형 학생은 장독립형 학생에 비해 일치 점수가 낮음을 보였는데 이는 인지 양식에 따라 상황의존성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97.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learning behavior through teaching,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competent and less competent teachers' teaching practices. Furthermore,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various w
        4,200원
        19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forming cooperative small groups for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using ICT. To achieve this goal, the two experimental classes composed of 73 middle school 2nd graders were taught in a task-based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ICT for 12 weeks. Throughout the 12-week period, two types of grouping models were applied to the students: Experimental class A consisted of differentiated heterogeneous group based on the regular English examination marks, and experimental class B was made up of a differentiated heterogeneous group based on the ICT skill standard for student (ISSS). The study discovered the small group based on the ISS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 results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information-using skills. The ISSS could be used as an additional criterion in forming small groups for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In fact, the study shows that it creates better results than the traditional grouping based on learners' English grades if the lessons are given in using ICT.
        6,100원
        19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교육이라 함은 다른 법률에 의한 학교교육을 제외하고 국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개인 또는 공동체 생활의 상황 흐름 속에서 즉각적으로 가치화되고 있는 학습을 생산하는것이다. 이 범주에는 방송과 언론 매체를 활용한 것과 사회(평생) 교육원, 사설 학원 등의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것, 학습지와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한 것 등이 모두 포함되는데 다만 조직성․의도성․체계성이 미약한 우연적 교육과 무형식 교육은 제외된다. 시청각자료를 통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환기시키고 그들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학습자의 질과 양의 폭을 넓혀서 학습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학습 결과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볼 때 방송 매체를 활용한 한자․한문 교육은 사회 교육 차원의 한자․한문 교육의 목표를 성취하는 데 더없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다만 교육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한자․한문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조직될 필요가 있으며, 정규 교육 과정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경우 한문과 교육 내용 체계를 고려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짜여졌으면 한다. 평생(사회) 교육원은 많은 성인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확대하여 그들의 지적․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직업적․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평생(사회) 교육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자격증 취득 과정에 개설된 한자(한문)지도사과정과 四書나 『古文眞寶』등의 동양 고전을 내용으로 한 교양 강좌가 있다. 그러나 교양 강좌는 학습자의 수준이 다르고 요구 사항이 달라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강의를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자격증 취득 과정은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대 時數부족으로 효율성에 회의를 갖게 하였다. 까닭에 명확한 교육 목표를 설정과 교육 목표를 달성을 위한 보다 체계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私設機關의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된것도 있고 각각의 독자적 프로그램도 있다. 체계화된 이들 프로그램은 사회 교육 차원에서의 한자․한문 교육의 역할을 비교적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몇몇 프로그램의 경우 수업 방식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데 이를 잘 보완한다면 정규 교육의 보완 형태로 훌륭한 역할 수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 교육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개인이나 공동체 생활 속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집단에게 즉각적 가치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정규 교과 과정의 보완이라는 현실적 상황도 도외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까닭에 이를 교육하는 당사자나 학습하는 사람은 한문과 교과 내용 체계에 대한 이해와 한자․한문 교육을 통해 이루게 될 실제적 가치를 아울러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9,000원
        20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concerns on a multiprocessor task scheduling problem with precedence relation, in which each task requires several processors simultaneously Meta-heuristic generally finds a good solution If It starts from a good solution In this paper, a tabu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