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8

        20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시스템 사고가 과학 자기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인 자기 조절 효능감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시스 템 사고를 설정하고, 시스템 사고가 자기 조절 효능감을 매개로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 였다. 광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중 이공계열로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20문항과 과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 중에서 자기 조절 효능감을 알아보는 11문항과 자신감을 알아보는 8문항, 총 39문항을 투입하였으며 성실하지 못한 응답지 22부를 제외한 188부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는 20문항이 모두 의도한 요인에 적합한 결과가 나왔으며, 자기 조절 효능감은 8문항이, 자신감은 4문항 이 적합한 결과가 나왔다.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한 모델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시스템 사고 5개 요인 중 학생 개인의 사고과정을 살펴보는 시스템 분석, 개인숙련, 정신모델 3개 요인이 자기 조절 효능감 및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모델의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여주었다(χ 2 =344.498, df=242, TLI= .921, RMSEA= .044). 또한 시스템 분석, 개인숙 련, 정신모델 중 시스템 분석과 정신모델이 직·간접적으로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신모델의 경우 자기 조절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 사고가 과학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과학 학 습에 대하여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202.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arametric statistical procedures are typically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a sample distribution is statistically identical with its population. In reality, investigators use inferential statistics to estimate parameters based on the sample drawn because population distributions are unknown. The uncertainty of limited data from the sample such as lack of sample size may be a challenge in most rehabilitation studie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ootstrapping method to overcome shortcomings of limited sample size in rehabilitation studies. Methods: Articles were reviewed. Results: Bootstrapping method is a statistical procedure that permits the iterative re-sampling with replacement from a sample whe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is unknown. This statistical procedure is to enhanc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population being studied and to determine estimates of the parameters when sample size are too limited to generalize the study outcome to target population. The bootstrapping method would overcome limitations such as type II error resulting from small sample sizes. An application on a typical data of a study represented how to deal with challenges of estimating a parameter from small sample size and enhance the uncertainty with optimal confidence intervals and levels. Conclusion: Bootstrapping method may be an effective statistical procedure reducing the standard error of population parameters under the condition requiring both acceptable confidence intervals and confidence level (i.e., p=.05).
        4,000원
        20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과학기술의 윤리적 함의에 대한 학제 간 교육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분석한다. 직무(학생, 강사)와 전공(과학 전공자, 비과학 전공자)에 따라 학제 간 교육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한다. 학제 간 교육 에 기반한 과학기술윤리교육과정은 정답이 이분법적으로 결정되지 않는 사회적 질문들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준다. 반면 생각의 차이를 좁힐 수 없는 문제에 대한 인식으로 인한 갈등은 종종 자동적으로 해소되지 않으며, 이는 과학 전공자와 비과학 전공자 간의 상호 신뢰를 저해할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해 과학기술윤리교육의 교수법과 정책에 대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의제를 1)기획 2) 평 가의 측면에서 제시한다.
        4,300원
        20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코칭학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 이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의 국내의 코칭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칭 학의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하는 코칭관련 학회의 활동내용과 실제 코칭학이 현장에서 적용되 고 있는 코칭산업계의 동향 및 코칭학에 기대하는 사회적 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대한 가치 기준이 바뀌 고 있고,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 등으로 인구․사회 구조 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코칭에 대한 사회적 요구(Social needs)가 더욱 증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코칭산업계가 현재 학계의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는 코칭효과의 객관적 검증방법, 세분화되고 있는 코칭유형에 따른 적합한 프로세스의 구축, 코치 의 역량 증대,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코칭 모델의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 학문 으로서의 코칭학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인근 학문들과의 융합적 연구가 인문학 분야와 뇌 과학분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뇌괴학 분야에서의 연구결과들은 코칭의 효 과에 대해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코칭학이 사람 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내면 체험과 통찰을 촉진함으로써 변혁적 성장을 이루어 내는 데 매우 유용한 융합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6,900원
        206.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기의 판 구조론에서 지각 판은 연약권 위에 떠서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수동적인 모습으로 그려졌 고, 자연히 해령에서 발산되는 힘이나 암석권 하부의 맨틀 견인력(drag force)이 판을 움직이는 주된 원동력으로 묘사되 었다. 하지만 최근 여러 연구들은 판의 이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맨틀의 대류보다는 섭입대에서 침강하는 판이 만드는 섭입판 인력(slab pull)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학계는 무거운 해양판과 주변 연약권의 밀도 차이가 섭입판 인력의 핵심 이라고 설명한다. 해양판의 높은 밀도는 중력에 의해 판이 해구에서 맨틀 속으로 가라앉는 원인이 되며, 이것이 판이 움직이는 가장 큰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최근 수십 년 간의 서술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차 교육과정 이래로 지금까지 거의 대 부분의 고등학교 교과서가 맨틀 대류를 판 이동의 주 원동력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교 교 재가 개정판을 통해 새로운 학설을 꾸준히 제시해온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더욱 정 확한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같은 새로운 판 구조론 내용이 해당 교과서 관련 단원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4,900원
        20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possibilities of applying growth curve models, such as Logistic, Log-Logistic, Log-Normal, Gompertz and Weibull, to three specific technology areas of Fishery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ir technology level between Korea and countries with the state-of-the art level. Technology areas of hazard control of organism, environment restoration, and fish cluster detec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Expert panel survey was conducted to construct relevant panel data for years of 2013, 2016, and a future time of approaching the theoretical maximum technology level. The size of data was 70, 70 and 40 respectively. First finding is that estimation of shape and location parameters of each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lack-of-fit test using estimated parameters was statistically rejected for each model, meaning all models were good enough to apply for measuring technology levels. Second, three models other than Pearl and Gompertz seemed very appropriate to apply despite the fact that previous case studies have used only Gompertz and Pearl. This study suggests that Weibull model would be a very valid candidate for the purpose. Third, fish cluster detect technology level is relatively higher for both Korea and a country with the stateof- the-art among three areas as of 2013. However, all three areas seem to be approaching their limits(highest technology level point) until 2020 for countries with the state-of-the-art. This implies that Korea might have to speed up her research activities in order to catch up them prior to 2020. Final suggestion is that future study may better apply various and more appropriate models respectively considering each technology characteristics and other factors.
        4,900원
        208.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ogic premise and discipline foundation of the construction of Chinese graphology are the unique attributes of the Chinese character system. The most basic feature of the Chinese character is “single character”. The number of “single characters” is as many as hundreds, and their long-history uninterrupted use makes the standardiz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quite essential. The essence of Chinese characters system is ideographic .While the function of single characters or isolated language structure, as recorded in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using history, is sometimes to differentiate, which can be taken as a complement with grammatical means. Based on this, Chinese graphology has its independent research object and scope that is the structure ontology and the structure use. This provides that the Chinese character is not only a basic discipline, but also an applied discipline. Under certain historical conditions, it can even become a “famous school”. The research of Chinese characters will inevitably involve two levels, the body and the use of the characters. Phonography does not have such attributes as Chinese characters, so it can not be a specific object of study. As a phonetic character, the number must be very limited, and can be marked for all words. The defini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character is unclear, and the object and scope of study is vague, which makes the study of the relations between “Chinese character” and “words” a problem during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study.
        5,500원
        20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기술 수용자는 과학기술 변화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이해관계자이다. 하지 만 이들이 과학기술이슈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토 픽모델링을 활용해 온라인 토론장에 게시된 글을 분석하여 한국인의 원자력발전에 대한 인식 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것은 거시이슈들이 일반 과학기술 수용자 인식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 치며, 변화된 인식구조의 지속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빅데이터를 이용해 실시간 으로 특정 과학기술이슈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파악한다면, 과학기술 수용자(일반인)와 공 급자(전문가) 집단 사이의 인식간극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6,100원
        21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천문 수업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8학년 과학 교사의 천문 단원 수업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수업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시스템 사고 위계 구조를 수정하여 개발한 시스템 사고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분석 후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 면담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참여 교사들은 천문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의 위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학생 중심의 교수 지향을 지녔다 하더라도 시스 템 사고의 교수 실행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수업의 교수 실행에서 시스템 사고가 부족하게 나타나는 것은 공간적 사고에 보다 집중하는 것과 지구과학 비전공 교사로서의 천문 내용 및 형성 평가 지식 부족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천문 수업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사고의 도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5,200원
        21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 중요성, 과학 동기 사이에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내용을 다루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는 K 대학 부설 과학영 재교육원 소속 중등 융합과학반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 과학 동기를 분석할 수 있는 설 문지를 투입하고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 하였다. 그 결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은 과학 동기에 상관계수 .656으로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반면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은 과학 동기와 .387로 다소 낮은 상관이 나왔다. 높은 상관을 보여준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과학 동기의 회귀분석을 통해 그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과학 동기의 총 변화량의 43%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이 설명함을 나타내었다. 분 석 결과를 토대로 지구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과학 영재 학생들의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면 과학 동기의 유발과 함께 학습 동기와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21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ur professors and teachers have been cooperated with professors and researchers of National Sciences Museum of Korea for the project of “Biodiversity of Mongolian” since 2012. This project is to study for Mongolian biodiversity by Mongolian and Korean scientists and to support advanced training for our professionals, to increase capabilities and training new methodologies for students and to publish articles from the conducted research. Our researches conducted following areas such as in Ikh Nart Nature reserve area in 2013, Khan Khentii strictly protected area in 2014, our university’s Shatan research camp in 2014, and Kherlen Toonot Nature reserve area in 2015. From these studies, we published articles of “Biodiversity of Ikh Nart Nature reserve” and “Biodiversity of Shatan area” in Korean journals. Our teachers anticipated for publishing guidebook “Methods to preparing natural taxidermy and herbarium” in Mongolian prepared by Korean scientists to useful for students in laboratory and field. Teachers are visited in National science museum of Korea, such as Mr. J.Ariunbold studied in 2013 and Dr. M.Munkhbaatar visited for 14-30 days to develop samples collected from field research. Our teaching assistant G.Onolragchaa is enrolled as doctoral student for Chunnam University in 2015 according to this project grant. Also Mr. P.Erdenetushig and one student are planning to visit in October for developing collected samples. In 2015, School of Mathematics and Natural Sciences is willing to establish “Mongolian and Korean monitoring center”, it’s in compromise of both side, and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s prepared a room for this center. Коrean colleague provided USD 10.000 worth of new equipment such as electric motor, boryoscope, tent trap, Sherman trap, aquatic net, sweep net, glass vials and bottles for research and teaching of MNUE. Framework of Mongolian-Korean cooperative research project “Biodiversity of Mongolia” was held a conference topic on “Biological resource management and remote sensing survey” in Ulaanbaatar 2014 and 2015. Our scientists are planning future collaboration with scientists of Korean ocean research institut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 Korea Institute of Environmental Ecology. Official cooperative agreement with MNUE To cooperate with teachers of MNUE for maintaining Mongolian Natural History Museum and public education To initiate Korean- Mongolian cooperativ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To implement a project for public outreach (forest and animal breeding) To establish long term monitoring site in special protected area Genetic research on problems of plant and animal classification; To train graduate students for modern research methods Genetic study on less studied or rare species of museum specimen Genetic and morphological study on vertebrates Scale up biodiversity study and do monitoring (already done Ikh Nart and Shatan) To extend research projects in Mongolia and do long term monitoring study
        21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 신산업 등장과 성장 및 2015년도 온실가 스 거래제 시행 등으로 산업체 및 관련기관에서 기후변화전 문가의 인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Eco기후환경 융합 인력 양성 사업단은 기후환 경변화와 관련한 기본 및 응용 교육과 현장 훈련을 통한 관련분야 융합지식을 갖춘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 및 산업체 등 현장 실무형 전문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과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산학협력 가족회사와 연계한 현장실습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을 통한 현장 적응형 인재를 양성하고, 산업사 회에서 요구하는 전공지식을 습득하여 적응능력을 향상시 킨다. 그리고 현장실습과 연계하여 취업하도록 장려하고 있 다. 또한 취·창업, 학술동아리 활동, 캡스톤 디자인 등을 운 영·지원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 고, 취업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취업률 향상에 기여하고 있 다. 또한,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학습을 통하여 학교와 기업체간 상호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iroshima Astrophysical Science Center (HASC) was founded in 2004 at Hiroshima University, Japan. The main mission of this institute is the observational study of various transient objects includ- ing gamma-ray bursts, supernovae, novae, cataclysmic variables, and active galactic nuclei by means of multi-wavelength observations. HASC consists of three divisions; the optical-infrared astronomy divi- sion, high-energy astronomy division, and theoretical astronomy division. HASC is operating the 1.5m optical-infrared telescope Kanata, which is dedicated to follow-up and monitoring observations of transient objects. The high-energy division is the key operation center for the 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 HASC and the high-energy astronomy group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science at Hiroshima University are closely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 to promote multi-wavelength time-domain astronomy. We report the recent activities of HASC and some science topics pursued by this multi-wavelength collaboration.
        3,000원
        21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VA (KVN and VERA Array) is a new combined VLBI array composed of KVN (Korean VLBI Network) and VERA (VLBI Exploration of Radio Astrometry). Here, we report the following two issues. (1) We review the initial results of imaging observations of M87 at 23 GHz following Niinuma et al. (2014). The KaVA images reveal extended out ows including complex substructures such as knots and limb-brightening, in agreement with previous VLBI observations. KaVA achieves a high dynamic range of ~1000, more than three times better than that achieved by VERA alone. (2) Based on subsequent observations and discussions led by the KaVA AGN SubWorking Group, we set monitoring observations of Sgr A* and M87 as our Key Science Project (hereafter KSP) because of the closeness and largeness of their central super-massive black holes. The main science goals of the KSP are (i) testing the magnetically- driven-jet paradigm by mapping velocity fields of the M87 jet, and (ii) obtaining tight constraints on physical properties of the radio emitting region in Sgr A*. Towards KSP, we show the first preliminary images of M87 at 23 GHz and Sgr A* at 43 GHz with the bandwidth of 256 MHz.
        3,000원
        21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teachers’ perception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A total of sixty-eight teachers from ten school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five days. Data are collected from three main sources including (1) pre and post concept maps probing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ngineering discipline, (2) a pre and post survey measuring teachers’ self-efficacy of teaching science/mathematics within the engineering context, and (3)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or) mathematics lesson plans and teaching reflections. This study utiliz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the data we have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science and math teachers thought that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provided valuable outcomes, i.e., promoting students’ learning about engineering and improving their interest in science or math through real-world problem solving exercises. Participants also felt more comfortable about integrating engineering in their teaching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also imply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s of engineering become more concrete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also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advantages of teaching engineering in K-12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rooms.
        4,900원
        21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대학 입 학 후 2015학년도 1학기까지의 평균평점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정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 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성취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대학생활적응(r=.320)이었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의 요인 중 흥미와 재능(β=.356, p=.012)이었고, 전공만족도는 교과만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미했으며, 대학생활적응 요인 중에서는 학업적응(β=.367, p=.032)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β=.292, p=.047)이었다. 유의미한 변수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인 전공만족도(β =.465, p=.002)와 전공에 대한 인식만족도(β=-.415, p=.003)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학업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과 전공만족도 증진에 필요한 안 경광학과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220.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프레임을 조사하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75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275명의 고등학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단어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은 문제해결능력과 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 중심의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 고등학생들은 교사들이 충분한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고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두 집단은 모두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인지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특히 두 집단은 융합 또는 통합이라는 요소를 그들의 인지프레임에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고, 여러 과학 분야의 내용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현직 연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