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15

        227.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i-Gum-Bu(義禁府) is regarded as a key organization that reflects the power of the royal authority, mainly because it directly obeys the king’s command and retains the power to punish or pardon government officials for severe crimes such as treason or significant breach of Confucian ethics. For this reason, Ui-Gum-Bu held a higher place in the organizational hierarchy of the government than other similar offices such as Hyung-J o(刑 曹), Sa-Heon-Bu(司憲府) and Po-Do-Cheong(捕盜廳). This characteristic of Ui-Gum-Bu is also evident in the architectural style and composition of the office building. The figures of the Ui-Gum-Bu office is depicted in detail in the paintings listed in Gum-Oh-Gye-Cheop(金吾契帖, a record of Ui-Gum-Bu office meetings, and descriptions in the code book Gum-Oh-Hun-Rog(金吾契帖), both written in 18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overall transition process of the Ui-Gum-Bu office building from the beginning until its demoli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Based on research materials of 18th century, its architectur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will be dealt in detail.
        4,300원
        22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 동중국해 북부해역 (32°N~33°N, 124°E~127° 30ʹE)에서 수괴에 따른 미소플랑크톤에 속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섬모충류 현존량의 공간분포 및 저차영양단계의 생태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2019년 8월 3일부터 8월 6일까지 21개 정점의 표층과 Chl-a 최댓 층 (CML)을 대상으로 채수하였다. 결과 북부해역의 수괴는 크게 중국연안수 (CCW) 및 쓰시마난류 (TWC)로 구분 되었다. CCW는 고온, 저염의 환경특성을, 그리고 TWC는 고온, 고염의 환경특성을 나타내었다. 수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은 CCW가 중국의 대형하천에서 공급되는 영양염류에 의해 다양한 군집구조를 보인 반면, TWC는 남방의 빈영양 외해역에서 발원하여 북상하고 있어 단조로운 군집특성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과 섬모충류의 현존량은 CCW에서 매우 높았고, TWC에서 낮은 특성을 보였다. 특히 TWC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높은 섬모충류의 현존량을 보이는 것에서 세균 등을 먹이원으로 하는 미세먹이망에 의한 저차영양단계의 에너지흐름 이 자원생물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여름 동중국해의 생태구조는 수괴에 따라 CCW가 bottom-up system 구조라면, TWC는 top-down system 구조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900원
        22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메모리얼 공간은 역사의 어두운 면과 잊혀지는 사람들을 기억하고자 하며 기억을 고착화 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 개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오늘의 가치관과 감흥을 확인하게 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둔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에 조성된 사건을 기념하는 현대 메모리얼 공간의 특성을 고찰한다. 현황분석의 내용은 공간의 구성방식, 관람자 체험유형, 도입요소 등으로 분류되며, 지향해야 할 방향성과 발전가능성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메모리얼 공간에서 형태적 특성과 기념의 의미가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념성을 외부공간에 녹이는 표현방법에서 전통적 공간 구성방식과 도입요소를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어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국내 메모리얼 공간에서 변화가 없는 점은 현대인의 변화한 기념에 대한 자세와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적절한 응답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독립운동, 항일운동, 그리고 민주화운동 등 저항을 통해 역사를 지킨 사람들과 과거의 사건을 기리는 방식이 권위적인 형식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역설적인 부분이다. 메모리얼 공간은 이전과 다름없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발전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도 역사 고증을 바탕으로, 설계단계에서부터 심층적인 고민을 통한 감각적이고 풍부한 메모리얼 공간을 표현해낼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며, 추후 조성될 국내의 현대 메모리얼 공간설계를 위한 종합적 단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23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프리즘이 적용된 안경이 편측공간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확인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서울에 위치한 M병원에서 실시하였으며, 뇌졸중 환자 중 연구 선정 기준에 부합되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게는 10 △과 15 △ 프리즘 안경을 적용하였 으며, 편측공간무시는 알버트 검사, 별지우기 검사, ‘ㄹ’지우기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가 10 △과 15 △이 적용된 프리즘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알버트 검사에서는 19.00±3.94점에서 15.70±5.68점과 11.60±6.17점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0). 별지우기 검사에서는 32.68±9.19점 에서 46.07±10.64점과 54.64±12.91점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0), ‘ㄹ’지우기 검사에서도 18.30±5.14점에서 23.50±7.58점과 27.0±5.76점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0). 프리즘이 적 용된 안경 착용하였을 때 모든 검사에서 편측공간무시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프리즘이 적용된 안경은 편측공간무시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프리즘 안경을 적용하면 편측공간무시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3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displacement response to seismic loads was analyzed after installing TMD in spatial structures and high-rise buildings. In the case of a spatial structures, since it exhibits complex dynamic behavior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vibration modes,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seismic response by installing only one TMD, unlike ordinary structures. Therefore, after installing eight TMDs in the structure, the correlation between displacement response and mass ratio was examined while changing the mass. The TMD must be designed to have the same frequency as the structure frequency so that the maximum response reduction effect can be exhibit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s to select the optimal TMD mass in order to install the TMD on the structure and secure excellent control performance against the earthquake loa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MD mass ratio,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a mass ratio of 0.4% to 0.6% is preferable. In spatial structures, it is desirable to select a mass ratio of 0.1% to 0.2%. Becau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based on numerical analysis, in order to design a TMD for a real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selec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safety of the structure.
        4,000원
        233.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lanning acumen led by the crown prince stands out during the banquets that were held continually 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around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27 to 1929. If we examine the changes in banquet space during the period that Crown Prince Hyomyung ruled by proxy, the Jagyeongjeon(慈慶 殿) in Changgyeonggung Palace, which was built during the time of King Jeongjo was repaired after the in 1827 during the reign of the crown prince and appeared in its changed form in Muja Jinjakin 1828. It is believed that the Jagyeongjeonwas expanded and repaired 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to conduct banquets for important guests. Jagyeongjeon which was repaired during the crown prince's reign, is a space where banquets were continuously held during the three years that he reigned, and we can see that it is an important space for royalty where the authority of King Sunjo, Queen Sunwon, and Crown Prince Hyomyung was reflected. Yeongyeongdan(演慶堂) was a structure built in 1828, which is after the period when the Jagyeongjeonwas changed in 1827, and it is a space that emerged during the reign of the crown prince. Hwanchwijeong(環翠亭), which was constructed during the time of King Seongjong was changed after 1827 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and appeared in its changed form in Muja Jinjakin 1828. Hwanchwijeongwas the place where the Crown Prince Hyomyung stayed and planned banquets and it was repaired along with Jagyeongjeonin 1827. During his reign, the political intent of the crown prince was reflected not in superficial political spaces but in spaces where banquets were held and accordingly the main spaces for banquets and their related royal palace locations were changed or newly established. You need to briefly explain what this and Muja Jinjak are. New information is not provided in this paragraph. You have already established why the crown prince renovated the banquet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first two paragraphs. You could just add “Jagyeongjeon(慈慶殿), Yeongyeongdan(演慶堂), and Hwanchwijeong(環翠亭) in Changgyeonggung Palace during his reign were changed and renovated during the time when the royal banquets of the 19th century were getting established. It was spaces that reflected the royal family and royal authority” to the end of the second paragraph and it would convey your intended meaning.
        4,000원
        23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ducted a seasonal field survey to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a phytoplankton community and biological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Geum river estuary in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nsisted of 58 genera and 116 species, showing a relatively simple distribution. It was controlled by diatoms at 70.2%, a low number of species in winter and spring, and a high number in summer and autumn. The phytoplankton cell density ranged from 10.0 to 2,904.0 cells mL-1, with an average layer of 577.2 cells mL-1, which was low in autumn and high in winter.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was mainly centric diatoms from winter to summer, including Thalassiosira nordenskioeldii, Cerataulina bergonii, and Skeletonema costatum-ls in winter, S. costatum-ls and C. bergonii in spring, and Eucampia zodiacus and Th. nordenskioeldii in summer. However, the autumn species depended upon the regions, with the inner bay dominated by the centric diatom, Aulacoseira cf. granulata, the mixed areas by S. costatum-ls, and the open sea by the dinoflagellate, Lingulodinium polyedra. According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inflow and expansion of freshwater, including high nutrients, which are introduced annually through the rivermouth weir in Geum river estuary. However, the estuary, which is strongly affected by annual freshwater, was limited to areas near Geumran Island, which is adjacent to the river-mouth weir.
        5,100원
        23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door air pollutants of children’s facilities in libraries. The indoor pollutants, which were managed under the “Indoor Air Quality Control Standards” and “Environmental Safety Standards for Children’s Activity Zones,” were measured within five months. The new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phthalates and pesticides were also measured. The pollutant-measuring device was installed in children’s spaces in libraries and children’s libraries of the metropol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indoor pollutan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fungus and floating bacteria had low distributions due to the use of air purifiers in all libraries. The concentration of HCHO and TVOCs was also measured lower than the environmental standards in well-ventilated libraries. On the other hand, phthalates and pesticides were detected in all libraries. In the case of heavy metals, they were mainly found in the finishing materials of the library walls and floors. As a result, indoor pollutants are managed under court receivership. On the other hand, phthalates and pesticides, which are not regulated by environmental standards should be managed because they were detected in all libraries.
        4,000원
        23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석재의 고갈로 인해 인조암은 자연암의 대체소재로서 200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다. 인조암을 이용한 폭포는 다양한 형태로 바위연출이 가능하며, 인공지반에 설치시 자연암에 비해 구조 자체에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구조 설계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인조암폭포는 외부공간에서 입면적으로 도드라지는 시설물로서 자연암과 유사한 경관조성과 지속가능한 유지관리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인조암폭포를 자연암과 유사한 경관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형태, 질감, 색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형태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입체감 있는 매스분할, 모서리의 각이 돋보이는 형태, 자연스러운 크랙 표현이며, 질감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다양한 기법에 의한 질감표현, 음영에 의한 입체감 표현이며, 색채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자연암에 유사한 색상연출, 인조이끼 활용이다. 부가적으로 포트에 의한 식재, 인접 녹지에 덩굴성 식물 식재, 미스트분수의 활용으로 인조암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입주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변색, 녹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변색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자연스러운 변색을 위해 도트기법에 의한 도색이 필요하며, 백화발생 구간에는 인조이끼 처리가 필요하다. 인조암을 활용하여 폭포와 연계된 수조경계부, 수조바닥면을 일체화하여 조성할 경우 녹조 발생시에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경관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계획은 인조암폭포의 품질편차를 줄이고 입주민의 선호도가 높은 특화시설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설계 및 시공 단계별로 고려해야할 세부적인 내용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4,500원
        23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축가 왕슈의 수안산거(水岸山居) 작품에서 나타나는 그의 외부공간의 디자인 철학을 알아보고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점, 동선, 재료 등의 요소와 연계된 외부공간을 분석하여 왕슈 건축에서 보여지는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왕슈의 건축배경 및 원리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여 그의 건축 이론과 작품에 나타난 건축공간의 특징, 동선, 외부공간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한다. 분석은 왕슈의 수안산거 건축 작품을 대상으로, 그의 작품집, 수필집, 인터뷰 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할 것이다.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방법을 제시하고 그의 작품, 건축설계과정, 주요 디자인 어휘를 근거로 분석의 틀을 제시하여, 이 틀을 기준으로 수안산거 건축에 구현된 외부공간의 시점, 동선, 재료 등의 3가지 측면으로 분석·정리한다. 왕슈의 건축에는 3가지 특성이 나타나는데, 첫째, 시점에 의한 외부 공간의 표현으로 이용객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다양한 풍경이 펼쳐지는데, 단일시점이 아닌 3개의 다양한 관점(앙시, 심원, 평원)으로 외부공간을 구성하였다. 둘째, 외부공간의 다양한 동선은 이용자의 다양한 시각변화와 공간적 경험을 유도한다. 셋째, 외부공간의 재료구성은 전통을 근거로 아이디어를 추출하여 현대건축 재료와의 조화를 통한 대응 방법을 찾아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중국 건축계의 대표적인 왕슈는 수안산거에 구현된 외부공간을 통하여 본인의 건축디자인과 조경 및 도시를 결합하여 시대적인 가치와 지침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