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0

        221.
        200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iciency of in vitro regeneration of four clones of Populus euramericana, Canada blanc, Eugenii, I-45/51, and Wisconsin #5, was examined. Cytokinins and the combinations with auxins affected the rate of regeneration from the explants of root segments, stem internodes, and leaf discs. Overall, BA and the combination with auxins were effective in root segments and leaf discs of the Canada blanc clone, whereas zeatin and the combination with auxins were important in stem internodes of the Wisconsin #5 clone. The highest number of shoots averaging 17.6 ± 0.47 from root segments in the Canada blanc clone,18.2 ± 3.0 from stem internodes in the Wisconsin #5 clone, and 17.8 ± 1.92 from leaf discs in the Canada blanc clone were obtained with 2.0 mg/1 BA, 2.0 mg/l zeatin combined with 0.2 mg/l IAA, and 0.5 mg/l BA combined with 0.05 mg/l 2,4-D,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2,4-D into cytokinin medium promoted shoot proliferation.
        225.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용담을 대상으로 실시한 체세포배의 형성, 재분화 체계의 확립 및 multiple shoot의 형성 등의 대량증식에 관한 일련의 실험의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큰용담의 잎절편을 2, 4-D 2 mg/ l 에 배양한 경우 callus 형성율이 90%, embrogenic callus 형성율이 70% 로 높은 형성율을 나타내었으나 실제 형성되는 체세포배의 발생 숫자를 조사하였을 때 2,4-D 단독처리시 보다 2, 4-D 0.5 mg/ l 와 BAP 0.5 mg/ l이 조합처리 시 잎절편체 당 18.8 개의 높은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큰용담의 줄기와 마디를 배양한 결과 캘러스의 형성은 단독처리시 20~30%의 캘러스 형성율을 보인 반면 고농도의 2,4-D에 TDZ를 조합처리 하여 줄기마디를 배양한 경우 50% 이상의 우수한 캘러스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분화식물체는 단독처리에서 MS medium 에 BAP 2 mg/ l 처리한 줄기마디 배양에서 7개의 재분화 식물체를 얻음으로 해서 가장 높은 shoot 분화율을 나타내었다. 큰용담에서는 TDZ, BAP를 조합처리한 결과 TDZ 1 mg/ l 와 BAP 1 mg/ l 조합처리하였을 경우 multiple shoot를 형성하였으며 explant 당 70~80개의 식물체가 분화되었다. 식물체의 각 치상조직을 배양한 결과 정아 마디 줄기 순으로 식물체 많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조직에서는 새로운 신초는 유도되지 않았다. 배양기간에서 대한 차이는 배양한지 30일 경과한것 보다 60 일이 경과한것에서 거의 모든 조직에서 2배 이상의 신초형성을 보였다.
        226.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 vitro culture of rice panicles is a culturing technique only panicle without other organs in culture solution containing organic substance, so that would be useful to study how assimilate supply affects grain development and maturation. To find the optimum stage for in vitro culture, rice panicles grown in greenhouse were sampled periodically after anthesis and cultured in nutrient medium. The panicles older than 1 weeks after anthesis had produced normal grains. Grain-filling was apparently dependent upon sucrose concentration (8-12 %) in medium, but not affected by nitrogen concentration supplied with glutamine. As far as rice panicle was supplied with sucrose and N in nutrient medium, grains continued accumulation of dry matter and maturation regardless to light condition. Considerably, grain-filling was improved when panicles were positioned horizontally inside flask, so that each grain was partially submerged to nutrient medium.
        227.
        199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was established by using in vitro plantlets of germinated seedlings from different cultivars of lettuce (Lactuca sativa cv. Chongchima, Chongchuckmyun, Jeokchima, Jeokchuckmyun). Shoot formation were observed from all cultivars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NAA and 0.5 mg/L BA. In all cultivars, when cotyledon was cultured, the number of shoot per explant was more greater than that hypocotyl and leaf disc were cultured. Shoot formation rate (91.7%) was high in a cotyledon culture of cultivar, Chongchukmyun. The growth of multiple shoots derived from the cultivar, Chongchukmyun, was most effective on medium containing 0.5 mg/L BA and 1.0 mg/L GA3. When shoots were transferred on MS medium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s, roots were effectively differentiated. Rooted plantlets were acclimated on pots for further propagation.
        228.
        199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oe in vitro culture was attempted to induce callus and regeneration ability from different explant sources onto MS medium with 0.5mg/l NAA plus 1.0mg/l BA. Anthers that no developed any callus and plant regeneration, while only four out of 274 filament explants induced calli at cut edge without regenerated plants. Twenty ovary explants regenerated four direct plantlets without via callus from the base of epidermal tissues. Regenerated plants on the root tip gave 2n=14 of chromosome numbers.
        230.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직배양에 의한 패모(Fritillaria thuubergii Miq)의 대량번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써 인편배양시 오염을 감소에 미치는 모구의 표면살균방법, 항생제처리 효과, 모구의 조온처리 기간이 자구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장재배한 패모를 수확한 후 인편 배양하였을 경우 외측인편이 내측인편보다 오염율이 현저히 높아 배양재료로는 부적합하였고, 내측인편은 70% 에탄을에 30분간 침지후 4~5%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10~15분간 표면살균함으로써 오염율을 줄일 수 있었다. 2. 배지내 항생제, 살균제 및 lncytetm첨가가 세균성 오염을 줄이는 데는 효과가 있었으나 곰팡이에 의한 오염은 방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오염정도를 지연시키는 효과는 있었다. 3. 건조 저장시에는 10℃에서 2~4주, 습윤저장시에는 4~6에서 자구 형성이 양호하였으며, kinetin첨가는 대조구에 비해 자구형성수를 크게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건조저장시 4주 이후에는 구가 마르면서 고사하는 현상을 나타내어 건조 저장이 패모의 저온처리 방법으로 적당하지 못하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습윤 저장 6주후 kinetin 3~5mg/L첨가구에서는 배양절편체당 10개 이상의 자구가 형성되었다.
        231.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산약(山藥) 경절편(莖節片)의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을 위해서 적정배지(適正培地)가 선발(選拔)됨에 따라 이에 적합시(適合時) 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활성탄(活性炭)의 처리농도(處理濃度)를 구명(究明)함으로서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에 의(依)한 증식율(增殖率)를 높이코져 무기강기성(無機강基性)이 낮은 1/8MS, White에 IAA와 NAA를 1~4mg / l 로 하고 활성탄(活性炭)을 0, 1, 3, 6g / l 수준(水準)으로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8MS 배지(培地)의 경우 1~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3g / l 첨가(添加) 하므로서 Shoot 유기(誘起)와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률(再分化率)이 모두 100%에 달하는 효과(效果)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效果)는 NAA처리시(處理時)에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6g / l 첨가처리(添加處理)와 NAA 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 만이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율(再分化率)이 l00%에 달하였으나 그 외(外) 처리(處理)에서는 대부분(大部分) 저조(低調)하였다. 3. 발육상태(發育狀態)를 보면 1/8M /S 배지(培地)의 경우 IAA 2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油處理)와 NAA 4mg / l, Kinetin 2mg / l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 하므로서 모두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2.7개(個)이고 발육상태(發育狀態)도 활성탄(活性炭)0g / l, 3g / l, 6g / l 처리(處理)보다 양호(良好)하였다. 4. 그러나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4mg / l, NAA 1~mg / l 그리고 Kinetin 2mg / 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 / l+Kinetin 2mg / l+활성탄(活性炭) 1g / l 이였으며, White+NAA 4mg / l+Kinetin 2mg / l+활성탄(活性炭)1g / 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232.
        199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each stage in apical meristem culture for mass propagation of Zanthoxylum piperitum var. inerme Makino. The source material, shoot tip segments were taken from three-years old graft trees. Apical meristems were cultured in vitro on basal MS, GD, WS, half strength MS(1/2MS) and half strength GD(1/2GD)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for growth regulators(BA, IBA) and inorganic nutrients. The results summarized are as follows: 1. In culture establishment stage, ratio of culture establishment was 96.7% and the best resuit was obtained usin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l BA and 0.2mg/l IBA. 2. In shoot multitication stage, both shoot multiplication and growth were achieved in average 5.6cm. These results were obtained on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l BA and 0.2mg/l IBA. 3. In roothing stage, phloroglucinol(PG) acted as IBA synergist in root initiation. The most faverable combinations for root development was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62mg/l PG and 0.2mg/l IBA, and ratio of rooting was 58.0%. 4. In Vitro formed plantlets were transplanted to paper pots in greenhouse with 85% of relative humidity. 96% of survival rate was obtained from artificial soil mix having same volume of sand, vermiculite, peat, and soil.
        233.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산수유(Cornus officinalisis)의 기내육종을 위한 기초 연구로 액아배양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 가성을 검토한 결과, 1) 액아 배양에 적합한 배지로는 MS 배지와 DKW 배지가 77%의 신초형성율을 보여 가장 양호하였고 WPM과 GD배지는 다소 저조하였다. 2) 얻어진 기내 Shoot의 증식에는 DKW가 6.8개의 신초를 형성하고 신초장이 4.5cm, 엽수도 10.8개로 가장 우수하였고 B5 〉 GD 〉 MS 〉WPM의 순이었다. 3) Shoot 증식에 적합한 sucrose의 농도는 MS배지의 경우 3%가 좋았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신초의 기내 생육에 제한적이었으며, 활성탄의 영향으로는 배지내 농도가 2 g / l 까지 증가할 수록 개체의 생육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4) MS배지의 경우 무기염류의 농도는 2MS에 비하여 1/4MS까지 낮아질수록 기내 생육에 적합하였다. 5) Shoot증식을 위하여 BA 0.5mg / l에 auxin을 종류별로 혼합 첨가한 결과 2,4-D 첨가구의 경우 Callus의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Shoot 증식에는 극히 제한적이었고, IAA와 IBA 처리는 Callus가 전혀 유기되지 않는 반면 multiple shoot가 형성되었으며, NAA에서는 Callus형성과 Shoot증식 이 모두 이루어졌다. 6) 신초의 기내 발근유도 시험에서는 MS매지에 NAA 0.5mg / l 와 BA 0.5mg / l를 첨가한 처리에서 신초로부터 정상근이 분화 되었으나 5% 비율로 낮았다.
        234.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하(襄荷)를 대양번식(大量繁植) 하고자 경정부위(莖頂部位)의 기내배양(器內培養) 방법(方法)을 확립(確立)하기위하여, 경정부위(莖頂部位)의 생장(生長)에 알맞은 기본부지(基本部地) 및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의 농도(濃度)를 구명(究明)하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양하(襄荷)의 경정부위(莖頂部位)는 치상후(置床後) 10~12주(週) 후(後)에 기관(器官) 분화현상(分化現像)이 나타나서 shoot와 root가 발생(發生)되었다 2. 양하(襄荷)의 경정(莖頂)은 MS기본부지(基本部地)에 치상(置床)한 환경(環境) 비교적(比較的) 생장(生長)이 잘 되었다. 3. 기내(器內)의 Plantlet의 생장(生長)은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NAA 0.5ppm과 BA 5.0ppm의 혼합(混合)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좋은 경향(傾向)이었다.
        235.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산약(山藥)은 종근(種根)을 분근(分根)하거나 苗頭植付法(묘두식부법)을 쓰고 있는바 이는 마 재배시(栽培時) 종근(種根)의 소요양(所蓉量)이 과다(過多)하다는 문제(問題)로 증식비률(增殖比率)이 낮아 대량증식(大量增殖)을 기대(期待)하기 어려운 실정(實情)이다. 따라서 조직배양(組織培養)을 이용(利用)한 종근증식(種根增殖) 체계(體系)를 이용(利用)코저 마의 줄기마디 부분(部分)을 시료(時로料 )하고 무기염류(無基鹽類)의 농도(濃度)를 1/2, 1/4, 1/8로한 MS배지(培地)와 옥신류(類), Cytokinin류(類) 처리(處理)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MS배지(培地)를 농도별(濃度別)로 처리(處理)하여 기내배양(器內培養) 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발육상태(發育狀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배지내(培地內) 무기염농도(無機鹽濃度)가 점차(漸次) 낮아 질수록 shoot장(長)을 촉진(促進) 시키고 출엽(出葉)과 발근개체수(發根個體數)가 모두 증가(增加)되는 경향을(傾向) 보였으며 출엽율(出葉率)과 발근율(發根率)에서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발근개체수(發根個體數)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볼때 배양초기(培養初期) 보다는 중후(中後)로 경과(經過)할수록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키는 정도(程度)가 빨라 지므로서 MS배지(培地)에 비(比하)여 1 /8MS에서 보다 뚜렷한 촉진효과(促進效果)를 보였다 3. MS배지(培地) 농도(濃度)에 따른 IBA와Kinetin을 고정(固定)시키고 IAA와 NAA를 농도별(濃度別)로 첨가처리(添加處理)한 것은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발육(發育)을 억제(抑制) 시키는 작용(作用)이 있었다. 4. 1/8MS에 IBA 5mg / l, Kinetin 2mg / l으로 IAA와 NAA를 각각(各各) 1mg / l으로 할때 shoot가 길어지고 출엽(出葉) 및 발근(發根) 효과(效果)가 있었다. 5. 1/8MS 選擇培地를 가지고 Kinet고과 BA에 2,4-D를 농도별(濃度別)로 조합처리(組合處理)한 결과(結果) shoot 유기(誘起)가 지극(致極)히 불량(不良)하였으나 Kinetin에 IBA와 IAA를 조합처리(組合處理)할 경우(境遇) shoot 발생(發生)이 많아지고 출엽(出葉), 발근효과(發根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236.
        199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에서의 조직배양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콩 유묘를 기내에서 배양시킨 뒤, 여러 부위를 채취하여 각기 다른 배지 치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줄기정단조직 배양에서는 대부분 shoot가 분화되어 완전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2. 자엽절 조직배양에서는 multiple shoots가 나타나 대량증식에 유용했으나 배지에 따른 영향이 컸다. 3. 배축 및 상배축 조직배양에서는 callus만 분화되엇다. 4. 엽조직배양에서는 callus 분화 후 계대배양했을 때 shoot가 분화되었으나 완전한 식물체를 얻기는 힘들었다.
        237.
        198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고구마 장려품종인 홍미와 신미를 액아배양시 explant의 크기 NAA, BA 및 kinetin의 농도가 기관분화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본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mm되는 explant 배양이 2mm explant 배양보다 기관분화 및 생육이 좋았으며 홍미는 MS 배양에 NAA 0.1mg/ 와 kinetin 1mg/ 을 조합처리할 때 신미는 MS배지에 NAA 0.1mg/ 와 kinetin 1mg/ 을 조합처리할 때와 kinetin 1mg/ , BA 0.1mg/ 을 단독처리할 때 shoot의 분화가 좋았다. 2. 뿌리분화는 홍미와 신미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NAA 0.lmg/ 와 kinetin 1mg/ 을 조합처이한 배지에서 뿌리수와 뿌리길이가 증가하였다. 3. B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 식물체의 출현이 많았으며 한 개의 explant에서 여러개의 shoot의 길이가 짧았다. 4. 이차계대배양에서 shoot의 분화 및 생장은 NAA 0.1mg/ 와 kinetin 1mg/ 가 첨가된 배지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고 뿌리의 분화는 0.1 mg/ BA에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238.
        198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원형질체를 이용하여 체세포잡종을 육성하기 기초자료를 얻고자 식물의 엽육부위, Callus에서 효과적인 원형질체의 분리, 적합한 배양조건 및 세포융합에 관한 조건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 융합조건에 적합한 식물원형질체의 분리 방법은 여러 종류의 효소농도에 따라 다르지만 담배 및 완두엽육 원형질체분리에는 Macerozyme 0.5%, Cellulase 2.0%, KDS 0.5%, Mannitol 0.7M의 효소용액에 처리시 활성 있는 원형질체를 얻을 수 있었다. 2. 배양중인 담배 및 대두의 Callus로부터 원형질체분리는 배양기간에 따라 세포활성도가 떨어지거나 쉽게 파괴되는 현상을 보여 양호한 원형질체를 얻을 수가 없었다. 3. 원형질체의 배양은 배양배지에 Plating할 경우 세포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1.0 104 /ml이상이어야 분열이 가능하였고 배양조건은 150Lux 12시간 광암처리후가 세포분열 및 증식이 가장 왕성하였다. 4. 세포융합은 PEG농도가 중요하며 PEG 1500 0.33M에서 CaCl2농도가 높을수록 융합율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239.
        198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의 생장점배양시 기본배지의 종류 및 기본배지에 첨가되는 2,4-D, NAA 및 Benzyladenine이 감자의 생장점으로부터의 기관의 분화 및 생장과 Callus의 유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져 본실험을 준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본배지중에 Benzyladenine (BA)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감자 생장점에서 유기된 경의 신장은 현저히 촉진되었으나 BA를 첨가함 배지상에서는 근 및 Callus는 전혀 유기되지 않았다. 2. NAA를 0.5ppm 이상 함유하고 있는 배지상에서는 경의 분화가 완전히 억제되었고 모두 Callus가 유기되었으며 NAA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Callus의 생장은 촉진되었다. 3. 2.4-D 1.0ppm 이하 함유하는 배지상에서 경의 분화가 완전히 억제되었고 Callus가 유기되었으며 Callus 생장율은 2.4-D 농도가 높을수록 많았는데 2,4-D보다는 NAA 첨가배지사에서 Callus의 생장율은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4. NAA만을 첨가한 배지상에서는 경의 분화 및 생장이 억제되었으나 BA와 NAA를 조합처리하였을 때는 NAA 0.01ppm에서보다 0.1ppm에서 경의 분화 및 생장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2,4-D와 BA의 조합처리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던 바 BA와 NAA 혹은 2,4-D의 조합처리시에는 경의 분화 및 신장이 촉진되는 방향으로의 교호작용이 현저하였다. 5. 엽편보다는 경편에서 Callus의 유기 및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이들 경엽조직편으로부터의 Callus 유기 및 생장에는 NAA보다는 2,4-D가 더욱 효과적이 었다. 6. MS 표준배지보다는 MS배지의 농도를 12 로 희석하여 배지중의 무기성분 농도를 저하시킨 배지상에서 거의 경의 분화 및 신장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7. 감자 생장점배양시 경의 유기 및 생장에는 MS 12 배지에 BA 1.0ppm 및 NAA 혹은 2,4-D 0.1ppm을 첨가한 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240.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담배에서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육종을 실용화하고 저 중촌등의 'D'배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든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약중 평균 30% 이상이 반수농식물을 유기하였으며 약당 유기된 식물개체수는 평균 6주이상이었다. 2. F1 으로부터 유기된 반수체중 T.M.V 저항성은 이론치와 일치하는 1 : 1의 비를 나타내었다. 3. 반수체식물의 생육조사에서는 예기한바와 같이 모든 측정형질에 대하여 F1 의 반수체가 모본의 반수체보다 더큰 변이를 보였다.큰 변이를 보였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