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221.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bioceramic을 첨가하여 만든 다공성 poly D,L-lactic-co-glycolic acid(PLGA)-scaffold가 인간 지방조직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human adipose tissu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TMSCs)의 골 형성과정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ATMSCs를 well plate에 접종하여 골형성 유도(osteogenic induction, OI) 배양액으로
        222.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분석 결과 유산균 발효에 의해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1.00 %의 농도에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86.34, 76.82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49.78, 40.80 %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 0.50 %의 농도로 처리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 (COL1A1)은 828.13 % 증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은 87.88 %, tumor necrosis factor (TNF)-α는 99.92 %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항산화, 주름, 항염에 효능을 보이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223.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use of cellulolytic lactic acid bacteria in new method to prepare high nutrition complementary foods was investigated. For the screening of cellulolytic lactic acid bacteria, more than 1,150 bacterial colony were isolated from diluted infant feces samples. A typical strain which appeared the most excellent cellulolytic activities was identified novel acidophilic Enterococcus sp. TO-94 through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and 16S rDNA sequencing. The optimal lac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Enterococcus sp. TO-94 were as follows: pH and temperature were 3.0 and 37℃, respectively, and fermentation time was 20hrs. The fructose and glucose were major free sugar and the contents were 5.83 and 4.30 mg/g after fermentation,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ere 9.84 mg/g and 2.08 mg/g after fermentation, respectively. The vitamin B1, B2, niacin, folic acid and C were major vitamin in the fermented broth, the contents were 1.5~3 times higher than those of initial fermentation time. Also, the contents of polyphenol and anthocyanine were 3.8 and 1.2 times higher than those of initial fermentation time.
        22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was fermented by Bifidobacterium longum B6 and Lactobacillus paracasei at 37℃ for 72 hour, then extracted by water solvent at 100℃ for 180 min. Total ph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mproved by fermentation process, compared to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The barks of B. koreana Palibin extracts by B. longum B6 (FE-B.L.) and by L. paracasei (FE-L.P.) showed 17% and 16% cytotoxicity on human normal cell lines(HEK293) at 1.0 mg/ml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respectively, which was about 3~5% lower than 20% from normal extracts (N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FE-B.L. and FE-L.P. were about 73% and 75.9% higher than 56.8% of NE. The highest inhibitory potency on xathine 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were also measured as 31.9% and 61.9% by adding FE-L.P. of 1.0 mg/ml. On tyrosinase inhibition test, the FE-L.P. showed highest activity as 75.9% at 1.0 mg/ml. Generally, FE-L.P.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highe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possibly due to high contents of total pholyphenol and flavonoid. In general, fermentation of barks of B. koreana Palibin has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normal extracts. Specifically, the extracts fermented by L. paracasei showed higher activities than that from B. longum B6.
        225.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is frequently used for optimization studies. In the present work, RSM was us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of grapefruit seed extract (GFSE) and a lactic acid mixture (LA)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fluorescen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parameters. One set of antimicrobial preparations included mixtures of 1% (w/w) GFSE and 10% (w/w) LA, in which the relative proportions of component antimicrobials varied between 0 and 100%. In further experiments, the relative proportions were between 20% and 100%.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were mathematically encoded for analysis. The codes are given in parentheses after the bacterial names, and were S. aureus (), B. cereus (), E. coli (), S. typhimurium (), P. fluorescens (), and V. parahaemolyticus (). The optimum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1% (w/w) GFSE:10% (w/w) LA mixture against each microorganism was obtained by superimposing contour plots ofantimicrobial activities on measures of response obtained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optimum rangesfor maximum antimicrobial activity of a mixture with a ratio of 1:10 (by weight) GFSE and LA were 35.73:64.27 and 56.58:43.42 (v/v), and the optimum mixture ratio was 51.70-100%. Under the tested conditions (a ratio of 1% [w/w] GFSE to 10% [w/w] LA of 40:60, and a concentration of 1% [w/w] GFSE and 10% [w/w] LA, 70% of the highest value tested), and within optimum antimicrobial activity range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1% (w/w) GFSE:10% (w/w) LA mixture against S. aureus (), B. cereus (), E. coli (), S. typhimurium (), P. fluorescens (), and V. parahaemolyticus () were 24.55, 25.22, 20.20, 22.49, 23.89, and 28.04 mm, respectively. The predicted values at optimum conditions were similar to experimental values.
        226.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호성과 품질성이 우수한 전통부각을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색소 함유 농산물과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약초부각의 공정개발과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초부각의 탈유율은 정치 3.5%나 타봉 8.9%에 비하여 원심력이 약 37.6%로서 효과적이었다(p에서 0.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에서 녹차가 83.8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울금 39.48%, 흑미 28.45%와 복분자 22.25% 순이었다(p로 7일간 고온저장한 녹차와 복분자 발효약초부각
        227.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색소를 함유한 유색식물체 분말(울금, 복분자, 백련초, 홍피망, 녹차, 단호박, 뽕잎)과 찹쌀분말에 1, 3, 5% 첨가하여 호화시켜 L. lactis 젖산균으로 배양한 약초부각용 발효 찹쌀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당과 환원당은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찹쌀풀이 대조구인 생찹쌀풀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총산도는 유색식물체 분말농도를 증가시킨 젖산균 발효풀에서 점진적으로 증가되었는데, 단호박(), 홍피망()에서 배 크게 나타났다. 점도는
        228.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를 원료로 하여 항돌연변이원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L. plantaum KLAB21 균주에 의한 젖산발효 주스의 제조 가능성과 젖산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젖산발효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에서 25, 30, 에서 보다 더욱 높은 생균수의 증가와 적정산도를 나타내었다. 살균하지 않은 복숭아 주스보다는 저온에서 살균한 주스가 젖산발효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 plantaum KLAB21 균주 단독발효의 경우가 L
        229.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태국산과 베트남산의 용안육 원료 및 그 발효물의 전자공여능, 일산화질소(NO) 생성효과, 인체암 세포주인 자궁경부암세포(HeLa) 및 간암세포(HepG2)의 항암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원료 용안육의 총 유기산은 태국산 용안육(473.49 mg/g)이 베트남산(148.48 mg/g) 용안육에 비하여 3.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전체 유기산의 각각 89.2%와 86.8%를 나타내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formic acid와 malic acid
        230.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향주의 제조에 이용되는 누룩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배양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총 11균주를 이용하여 알코올 10%와 pH 4.0에서 생육이 억제되는 양조학적으로 적합한 5균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였고,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1균주, Lactobacillus sakei 1균주 및 Lactobacillus curvatus 3균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젖산
        231.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 목포시의 각 가정에서 담근 물김치에서 총 24균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유산균 중 5균주가 인공 위액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유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하였고, 특히 물김치로부터 동정된 유산균 MUL-2, MUL-4, MUL-18은 인공위액에서 3시간 배양 후에도 초기 생균수에 비해 변화가 거의 없어 가장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분리 유산균은 병원성 미생물인 Listeria monoc
        232.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젓갈은 전남 목포지역의 대형마트 및 가정에서 수집하였으며 오징어젓, 갈치속젓, 꼴뚜기젓, 멸치젓 등 10여종의 젓갈로부터 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유산균 중 3균주가 인공위액과 인공담즙액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분리된 균주 중 생존력이 왕성한 3균주는 모두 인공위액에서 2시간, 인공담즙액에서 24시간 생존 가능하였다. 특히 유산균 ML 36, ML 128, ML 178 외 2종의 효모는 초기 생균수와 인공위액에서 2시간 배양 후 생균수의
        233.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 추출물의 식품 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 0.5%, 1% 농도의 매실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1%, 3%의 매실 추출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숙성에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매실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산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 숙성 중 pH, 산도, 총균수, 유산균수, 색상, 기호성을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매실 추출물 첨가구의 경우 pH 감소속도는
        234.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민들레 추출물의 4 종의 젖산균 즉,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대한 항균력과 김치의 가스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 산도, 탁도 및 clear zone으로 평가한 결과, 민들레 물추출물과 70% methanol 추출물 (0.5%)은 4종 젖산균의 생육을 저해시키지 않았으나 eth
        235.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게르마늄(Ge-132, carboxyethylgermanium)에 의한 22가지 젖산균의 성장 효과를 0.01~10mg/m1의 농도로 첨가된 GPYS 액체배지에서 조사하였다. 시험한 대부분의 젖산균은 고농도의 게르마늄에서도 내성이 있었고, 게르마늄의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게르마늄이 10mg/m1의 농도로 첨가된 GPYS배지에서 Lactococcus factis, Lc. cremoris, Lc. diaceti
        236.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brevis를 무주스에 접종하여 에서 2일간 혼합 배양하여 와 8에서 각각 30분, 15분으로 열처리하여 25, 15, 5에서 8주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한 무주스에서는 미생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 모두 사멸되었음을 알수 있었으며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열처리를 하지 않은 무주스의 경우는 저장온도가 높
        237.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fermentum을 무주스에 starter로 0.3%(106 cfu/)첨가하여 에서 7일, 15에서 20일, 5에서 36일동안 숙성하면서 단독, 또는 혼합 배양에 의한 무주스의 가공특성을 조사하였다. 무주스를 에서 숙성할 경우 유산균수는 혼합배양이 단독배양보다 높게 계수 되었으나 낮은 온도 (15~5)에서는 접종균주에 따라 증감의 차
        238.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ctic aicd bacteria(LAB)는 전통적으로 식품의 발효과정 중에 사용되는 미생물이다.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bacteriocinogenic culture와 lactic acid bacteria에서 생산되는 산물은 식품의 부패에 원인이 되는 미생물과 병원성균에 대한 생육억제효과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생선제품, 유제품. 육제품과 발효되지 않은 냉장식품 등의 식품저장에 lactic acid bacter
        239.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spices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32 kinds of spices such as allspice, mount, basil, bay leaves, caraway, cardamon, celery, chilli powder, chives, cinnamon, clover, coriander, cumin, dill, fennel, garlic, horseradish, marjorarm, mugwort, mustard, nutmeg, onion, oregano, paprika, parsely, pepper, peppermint, rosemary, sage, tarragon, thyme and tumeric were extracted with water,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ethanol. Fraction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The extracts of 28 kinds of spices except caraway, cardamon, paprika and tarragon by water extraction, those of 29 kinds except arrowroot, paprika and tarragon by ethyl ether extraction, those of 30 kinds except paprika and tarragon by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those of 29 kinds except clover, paprika and tarragon by ethanol extraction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s of 28 kinds of spices except caraway, cardamon, paprika and thyme by water extraction, those of 27 kinds except cardamon, cumin, paprika, tarragon and thyme by ethyl ether extraction, thou of 30 kinds except paprika and thyme by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those of 28 kinds except cardamon, cumin, paprika and thyme by ethanol extraction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euconostoc mesenteroides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