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2

        241.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가지내에서의 산악경관에 대한 조망점 수직상향 이동의 타당성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고층화, 과밀화된 시가지내에서의 조망점 설정방안의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첫째 조망점의 수직상향 이동 전후의 산의 시각량 및 앙각의 유의차 분석을 위하여 t-검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둘째, 산정의 가시여부 및 산의 평균 녹시율을 기준으로 하여 조망점의 수직상향 이동 전후의 시각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망점의 수직 상향이동 전후의 단위간 표고차는 평균 15.39m로써 건물 4층 정도의 수준차를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2) 조망점 수직상향 이동 전후의 산의 시각량은 1%의 유의수준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때의 앙각의 차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조망점의 수직 상향이동 전후의 시각구조는 동일하지만 시점 이동후 산의 시각량이 우세하다는 것을 알았다. 3) 산정의 가시와 산의 평균 녹시율을 상회하는 조망점은 건물옥상높이에서의 빈도수가 많았다. 시각량의 t-검정 분석결과 역시 조망점의 수직상향 이동 전후가 5% 유의수준에서 산의 시각량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을 적절히 조망할 수 있는 앙각권역 내에 고층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시가지가 포함될 때의 조망점 설정시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시가지내 포함된 조망점들을 대상으로 하여 앙각의 조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수준까지 시점을 수직 상향 이동함으로써 불리한 시각량을 확보할 수 있다 수직 이동된 상태는 이동전과는 달리 시점의 특수성이 인정되나, 앙각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서로 동일한 조망구조로 간주하여 산악 경관관리를 위한 보존적 지 침을 제시할 수 있다.
        4,000원
        24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24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sbyope has not clear vision with elderly changes. To introduce the essential preliminary examination for presbyope, we performed preliminary tests in 190 elderly patients with case history, slitlamp examination, pinhole test, Hirschberg test, pursuit, stereopsis, pupil reaction, Worth-4 dot test, Amsler grid test, dominant eye test. To perform an examination, the case history is clitical as it guides the whole examination. Chief complaints were epiphora, decreased visual acuity, floaters, hyperemia, eye pain, etc. From the information gained in the case history, we deduced a list of tentative diagnosis. Throughout the examination we decided whether additional tests. The 18.9% of patients didn't have improve visual acuity in pinhole test. Cause of reduced visual acuity in pinhole test was opaque of refractive media such as cataract or pterygium. In 44.7% of patients, stereoauity falls below 40s of arc. The 6.8% of patients have suppression of right or left eye. The 28.9% of patients have metamorphopsia or scotomas in Amsler chart test. Therefore, pinhole visual acuity helps to differentiate ocular pathology from lack of refractive media clarity. Amsler chart is also useful for monitoring age related maculopathy. We suggest that Jones dye test for tear drainage, pinhole test, Amsler grid test and Worth-4 dot test are essential for presbyope.
        4,000원
        24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팔파 종자를 의 2,4-D를 첨가한 SH 배지에서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도하였으며, 캘러스를 SH 배지에 의 NAA와 의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28~30일간 배양하고, 의 2,4-D와 의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5일간 배양 후, 의 (와 의 prol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21~25일간 배양하여 완전히 재분화된 식물체와 많은 수의 shoot를 얻었다. 알팔파의 재분화 과정에서 뿌리가 유도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SH salt의
        4,000원
        249.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Modified Mini-Mental Status (3MS) Examination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Method: The 3MS was administered to 24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from Jan. 1 to Apr. 30 in 2001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The instruments used for evalua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3MS wer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 and Modified Barthel Index (MBI). Results: Test-retest reliability of 3MS was excellent (r=0.97), and Interitem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49 to 1.00. The score changes between the two tests were not related with the gender, level of education, and the duration after the brain injury. When items of 3MS were compared with the items of NCSE to evaluate the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43 to 0.73. When the NCSE was used as a gold standard to evaluate cognitive dysfunction, optimal cutoff scores analyzed by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for 3MS and MMSE were 68 and 22,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oth 3MS and MMSE were the same at 80% and 89.5%,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3MS w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screen cogni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4,500원
        250.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rst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licensing examination was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in 1965. In 1998,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assumed responsibilities for the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licensing process based on current and valid standards for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The purpose of awarding license is to identify for the public those persons who have demonstrated both the knowledge and the skills necessary to provide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As an effort to develop, maintain, and defend the content validity of practice-based occupational therapy licensing examination,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sponsored and authorized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nalysis study in 2000.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nalysis study, Minimum Standards for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By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nalysis in the USA, this article points out several problems concerning the existing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licensing examination and suggests the alternatives that reflect current professional practice.
        4,000원
        251.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urvey research was to Investigate how well the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certification examination was reflecting the current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Method: The researchers developed a survey with input from 159 occupational therapists out of 230. The content of the survey consisted of four areas which were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certification examination, the tasks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perform in the clinical settings, and the knowledge bases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know to perform the tasks. Result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the current examination subjects except for ADLs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d low relationship with clinical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2) 84% of the respondents agreed on that the current examination needed to be revised based on the tasks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actually do in the clinical settings; 3) the new subjects proposed for the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certification examination showed high relationship with the clinical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4) the new subjects were composed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reatment plan, intervention, re-evaluation,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Conclusion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revising the content of the current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developing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of the new educational programs.
        4,000원
        252.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000원
        25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255.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상의 축양장에서 초음파 핑거를 부착한 참돔의 유영행동을 원격계측 시스템으로 추적한 현장실험의 관측결과로부터 수치 모델의 파라메터를 최소자승법으로 추정한 결과와 정규난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개체의 추정위치의 시계열 데이터를 구하여 유영궤적, 유영속도, 유영깊이, 축양교의 벽과 개체 사이의 근접거리, 개체 상호간의 최근접거리 등의 유영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에 대해 현장보험에 의한 결과와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음파 핑거를 부착한 참돔을 방류하여 120분 동안의 유영행동을 추적한 현장보험에 의한 유류궤적은 고류 후 30분이 경과한 때에는 축양권의 중심 부근으로 이동하고, 주로 축양노의 좌하 모퉁이와 우상 모퉁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분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뮬레이션에 의한 유영궤적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현장보험의 결과로부터 계산된 어군의 평균 유영속도는 39.2 cm/sec (1.4BL cm/sec)였으며, 시뮬레이션에 의한 평균 유영속도는 44.4 cm/sec (1.6BL cm/sec)로서 보험에 의 한 결과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현장보험에서 계측된 어군의 평균 유영 깊이는 238 cm였으며,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는 248 cm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4. 현장보험에서 구한 축양노의 벽과 개체 사이의 평균 근접거리는 132 cm였으며,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는 129cm로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5. 현장보험에 의한 개체 상호간의 평균 최근접 거리는 83 cm였으나,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는 61cm로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56.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안경사 관련법에 규정된 업무 범위에 부응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현행 교과 과정에서 설무과목의 교육시간이 부족하다는 것과 안경사 국가 시험의 주관처가 ‘한 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약칭 국시원)‘으로 바렘에 따라 12 년 전 안경사 시험 초기에 한사적으로 편성된 시험과목의 종류 및 과목의 내용을 시의성 있게 바꾸어야 하는데, 이에 대비한 정책 연구가 미홉-한 설정이다. 본 논문은 미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옵토 베트릭 스쿨’인 S ,C,C,O. (Southern California College of Optometry) 와 후 7-r~ø.鏡專 l써뺑校의 교과과정 과 교과목 내 용에 대 힌 자료를 현지 방문하여 수집 및 청 취 하고 이플 참고로 하고 현행의 교과과정과 시험과목 및 문항수를 저자들의 그 동안의 경 험착에 비추어 우리나라의 현설에 맞게 연구. 정리하여 개선한 것이다.
        5,700원
        25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와 일본에 서식하는 왕거머리말(Zostera asiatica Miki, Zosteraceae)의 서식 환경에 따른 형태적인 변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해연안과 일본 훗카이도에 서식하는 왕거머리말의 식물체와 서식지의 해수 및 퇴적물을 채집 분석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왕거머리말은 한반도 지역에서는 수심 8.5∼10 m의 개방된 만과 외해의 영향을 직접 받는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동해연안의 공현진리, 동호리, 그리고 영동과 칠포 지역이 왕거머리말의
        4,000원
        259.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the of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to ascertain its value in the cognitive functional evaluation of brain-injured patients. The NCSE, uses as an independent test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within five major areas: language, construction, memory, calculation, and reasoning. And the examination separately assesses levels of consciousness, orientation, and attention. The instrument quickly identifies intact areas of functioning, yet provides more detailed assessment in areas of dysfunction. The level of cognitive is classified as unimpaired and mild, moderate, severe impaired. Standardization data are provided for 42 braininjured patients, age ranged from 24 to 76 years. In the validity study, the NCSE subte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ssociate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test, except for attention, naming, construction. The specificity score of the traumatic brain-injured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roke patient group in attention, construction, calculation. The mean score of strok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raumatic brain-injured group in orientation. In the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screen Kendall's τb and Metry pearson's correlation statistics were indicating a good internal consistency. The NCSE demonstrated an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e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al capacity of brain-injured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