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7

        264.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biodiesel as bioenergy is defined as ester compounds formed by esterification of animal/vegetable oils, in this study three vegetable cooking oils (market, waste and refined waste ones) were esterified by reactions of alkali catalyst and immobilized enzym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formed ester compounds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biodiesel production. By lipolysis (i.e, hydrolysis of Triglyceride (TG)), all three vegetable oils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produce Diglyceride (DG), Monoglyceride (MD) and Fatty acid ethylester (FAEE). However, the amount of produced FAEE (which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was in the increasing order of market cooking oil, waste one and refined waste one. With NaOH catalyst, FAEE was produced about 24.92, 17.63 and 11.31 % for the respective oils while adding Lipozyme TL produced FAEE about 43.54, 38.16 and 24.47 %,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enzyme catalyst is more effective than alkali one for transesterifi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produced by hydrolysis of TG was unchanged with alkali and immobilized enzyme reactions. Thus it can be expected that stable conditions remain in the course of mixing with gasoline whose composi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atty acids.
        270.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꽃장식에 있어서 침봉이나 플로랄 폼만큼 고정능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환경에 무해하면서 미적 가치가 뛰어난 꽃 고정재료를 제시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꽃꽂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8년 8월 독일 GBF(Grunbergr Bildungszentrum Floristik)의 플로리스트 연수과정에서 제시된 작품을 분석하였다. 고정재료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와 재활용으로 사용되어진 재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식물의 기관, 즉 잎, 줄기, 뿌리, 열매를 꽃 고정재료로 이용하여 장식해 본 결과 플로랄 폼 이상으로 고정 능력이 뛰어났으며 세우는 기능까지도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재활용으로사용되어지는 재료들도 자연물만큼 고정능력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꽃 고정재료가 가지고 있는 빈공간과 지탱 할 수 있는 힘을 잘 파악한 뒤에 적합한 꽃을 선택한다면 고정기능과 세우는 기능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친환경적 꽃 고정재료로써 사용되어진 식물을 포함한 자연물과 생활 속 재활용품은 침봉이나 플로랄 폼과 비슷한 고정능력과 세우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가급적 플로랄 폼의 사용을 자제하고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는 친환경적 꽃장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7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ctivated sludge obtained from wastewater coke oven plant was immobilized by entrapment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the biodegradation of CN- from synthetic wastewater were investigated using batch and continuous reactors. The degradation rate of CN-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immobilized bead volume in the reactor. Approximately 7.65 mg/L of NH4-N was produced upon the degradation of 35 mg/L of CN-. When high concentrations of the toxic cyanide complex were used in the testing of cyanide degradation, the free activated sludge could be inhibited more than that of the immobilized activated sludge. When the phenol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400 mg/L in the synthetic wastewater, approximately 98.4% of CN- was removed within 42 hours by the immobilized activated sludge. However, the cyanide was not completely degraded by the free activated sludge. This indicates that high phenol concentrations can act as a toxic factor for the free activated sludge. A CN- concentration of less than 1 mg/L was achieved by the immobilized sludge at the loading rate of 0.025 kg CN-/m3-d.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HRT should be kept for 48 hours in order to obtain stable treatment conditions.
        27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계작물의 생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피복작물로 이용되는 헤어리베치는 토양침식방지, 토양비옥도 증진, 잡초생육억제 등의 능력을 가진 식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헤어리베치는 내한성이 강하고 월동 후 생육속도가 빠르며 질소고정능력을 통해 다량의 양분 축적이 가능하여 후작물에 다량의 양분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계에 재배가 유리한 콩과녹비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녹비작물(Green manure)로 이용되는 헤어리베치의 질소고정능력을 평가하고 헤어리베치의 생육 단계별 지하부 축적 질소에 의한 적절한 녹비환원시기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헤어리베치 종자는 5 kg/10a 수준으로 오사카부립대학 부속농장에서 2005년 10월 28일에 파종하였으며 영양생장기(2월~3월)부터 개화초기(4월 중순)를 거쳐 착협기(5월 중순)에 이르기까지 지상부와 지하부의 시료 채취를 통해 바이오메스 생산 능력 및 아세틸렌 환원법을 이용한 시기별 지하부 근류의 질소고정능력을 조사하였다. 헤어리베치의 질소고정능력은 개화기(4월 중순)부터 개화최성기(4월 하순)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여 착협기때 조사된 근류의 질소고정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질소고정능력은 지하부 근류형성량 및 근류활성을 통해 관찰이 가능하였는데, 개화최성기까지 근류가 비대해지고 레그헤모글로빈의 함량이 증가하여 분홍색을 나타냈다. 그러나 개화최성기 이후 근류 내 레그헤모글로빈이 급격히 감소하여 퇴색되었고, 근류 또한 부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상부 제거를 통해 근류의 질소고정능력에 대한 동태를 조사한 결과, 질소고정능력이 가장 높았던 개화최성기에 토양 중의 무기태 질소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에 근류로부터의 질소 방출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후작물의 양분공급을 위한 수확 최적기로 추정되었다.
        27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 ordinary Portland cement), 플라이애쉬(PFA: pulverised fly ash), 고로슬래그미분말(GGBF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실리카퓸(SF: Silica fume)등의 각종 결합재를 적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염소이온 고정화능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각각의 사용 시멘트 페이스트는 40%의 물/결합재로 PFA, GGBFS 및 SF 혼화제의 각기 다른 치환률을 갖도록 하였으며 미리 혼합수내에 결합재 중량당 0.1~0.3%의 염소이온을 배합수내에 혼입 포함시켜 배합되어 제조되었다. 염소이온의 측정은 7일간 양생 후 수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염소이온 고정화 능력이 결합재 종류 및 치환률에 의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총 염소이온량의 증가는 염소이온 고정화능력을 제한하여 결론적으로 염소이온 고정화를 감소시키고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최대 30%의 치환율을 가진 PFA와 60%의 치환률을 가진 GGBFS의 경우는 OPC보다 염소이온고정화 능력이 작았으며, SF의 치환률의 증가는 고정화를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포졸란계 재료의 잠재 수화반응 혹은 공극수의 pH 저하등의 이유로 판단된다. 재령 7일에서의 염소이온의 고정화능력은 염해부식에 대한 저항성으로 나타내어지며, 염분을 혼입한 경우의 고정화능력의 순서는 30%PFA > 10%SF > 60%GGBFS > OPC로 나타났다. 더욱이 염소이온의 고정화 거동은 Langmuir isotherm 및 Freundlich isotherm으로 잘 표현될 수 있음을 보였다.
        277.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dsorption experiments of binary mixed gases composed of acetone/methylethylketone (MEK), MEK/benzene, MEK/toluene, and benzene/toluene were carried out on activated carbon fixed-bed. The variations of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y according to type and fraction of binary gas were investigated. In case of binary gases composed of acetone/MEK and benzene/toluene,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ies of MEK and toluene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raction of MEK and toluene, but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ies of acetone and benzene were decreased. In case of binary gases composed of MEK/benzene and MEK/toluene,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ies of benzene and toluene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raction of benzene and toluene, but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ies of MEK was decreased.
        278.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trapolate the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by the flower fixation design materials and to find a solution by enabling ecological flower designing through discovering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that fix the flowers and analyzing their utilizations. Such use of pro-environmental materials shall lead changes in awareness among the professional florists as well as the consumers. The result of analyzing 67 flower works produced by the environment friendly flower fixation materials is as follows: 1) The design makes the most use of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plants used. 2) The pro-environmental materials were minimized to it functional usage, yet visual beautification was emphasized to make the design harmonized. 3) The design showed excellent coordination with vases. The vase was selected to match the color and shape of the flowers contained in it. This allows the vase to be included as part of the overall design of the work. The 67 flower design works reviewed in this research reveal a common design tendency: the environment friendly fixation materials not only were functionally solid, environmentally safe and recyclable but also played outstanding role as visually beautiful design element. This indeed is a revolutionary finding that could impact on the future of the flower design as a whole.
        279.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otocatalytic decolorization of Rhodamine B (RhB) was studied using packed-bed reactor and immobilized TiO2/UV System. The 20 W UV-A, UV-B and UV-C lamps were employed as the light source. The effect of shape and surface polishing extent of reflector, distance between the reactor and reflector, reactor material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rder of the initial reaction constant with reflector shape was round > polygon > W > rhombus. The optimum distance between the reactor and reflector was 2 cm. The initial reaction constant of quartz reactor was 1.4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VDF reactor.
        280.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부성저항 특성을 갖는 발진기 이론을 적용하여 직렬 궤환형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구성하고 바랙터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전압 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제작한 후, 샘플링 위상 비교기와 루프 필터를 결합한 PLL 방식을 도입하여 고안정 주파수 발생기인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형 발진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설계 제작한 PLDRO는 주파수 12.05 GHz에서 13.54 dBm의 출력 전력을 얻었으며, 이때의 주파수 가변 동조 범위는 중심 주파수에서 약 ±7.6 MHz 이며, 전력 평탄도는 0.2 dBm으로서 매우 우수한 선형 특성 결과를 얻었다. 또한 데이터 전송시 오율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위상 잡음은 반송파로부터 100 kHz 떨어진 offset 지점에서 -114.5 dBc/Hz을 얻었다. 고조파 억압 특성은 2 차 고조파에서 -41.49 dBc 이하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은 위상고정을 하기 전의 전압 제어 발진기보다 더욱 향상된 특성을 보였으며, 종전의 PLDRO보다 위상 잡음과 전력 평탄도면을 개선시킬 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