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3

        261.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 concerning the starting age for early English education. Four hundred and eighty-four parent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for exploring parents’ perception was used and the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1) the children who started to learn English before the official school year tend to learn English from native speakers of English; (2) about 90.9 percent of children learned English before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3) most parents reported that the proper starting age for learning English is 5 or 6 years although they perceived that it was not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ir children’s English proficien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status of early English education should be restructured to meet the parents’ perception and needs. Major implications will then be discussed.
        5,500원
        26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장기 학생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RGP, 특히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설계 및 피팅에 참고할 자료를 얻기 위해, 안질환이 없는 일산 소재 성장기 학생 300 명(초 등학교 저학년 69 명, 초등학교 고학년 68 명, 중학교 99 명, 고등학교 64 명)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굴절검사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11. 74土2.97 세,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1.74:t2.40D, 각 막 정점부역 평균 독률반경은 7.97:t0.27 mrn, 각막 정점부에서 30도 반경의 평균 이 섬률은 0.53:t0.11, 비구면계수는 0.29 :t 0.11 로 나타났다. 각막정점부의 평균 곡률반경과 이심률은 연령별 4집단에서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시군 및 비근시군에서 4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높야질수록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이 짧고, 이심률은 낮았으나, 굴절이상의 유 형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막의 정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이심률이 증가하였고, 큰시군 빚 비근시군에 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이심률이 감소하였다 (r = -0.1811) 근시군과 비근시군에서 주 변부 각막은 수평방향에서 비측이 이측보다 더 평평해지고, 수평경선이 수직경선보다 이섬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여러 가지 광학상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과 이심률, 나이 빚 비구면계수 사이에 상관성이 있었고, 이섬률과 나이 사이에서도 낮은 상관성 이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성장기 학생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RGP, 특히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설계 빚 제조를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4,600원
        26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elementary school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an elementary school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safety education and must prevent an accident to be able to happen during a class of a practical course previously. Safety education has further an interest on subject of practical arts of practice and must induce an aggressive interest of teachers in order to be able to prevent an accident previously. As the above results, to rais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ways to induce teachers' active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and help them experience safet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at teacher training centers.
        4,800원
        267.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behaviors related to snack and self-purchasing snack (SP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s were completed by 352,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3 different regions which included apartment region in Bundangn, Sungnam (apartment group, n=116), residences in Seodaemun-Gu and Mapo-Gu, Seoul (kang-buk group, n=103) and residence in industrial region in Sungnam (industry group, n=13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64.7%) of the apartment group had breakfast every morning than those of kang-buk (48.6%) or industry (52.1%) group (p<0.01). As for the frequency rate of snack and self-purchasing snack (SPS), 53.9% of the subjects answered taking snack more than once per day, 22.8%, once for few days and 23.3%, almost not. However, 15.5% of the subject had SPS once or more per day, 30.7%, 1-2 times per week and 22.4%, almost not. Those of apar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PS frequencies (p<0.01), since higher proportions answered having SPS 1-2times per week (40.9%) and almost not (31.3%)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reasons for having SPS turned out to be 'hunger' 54.7%, 'being habitual', 15.9%, 'bing bored', 15.7% and 'with peers' 13.7%. When subjects selected SPS foods, they considered taste (31.5%), price (23.0%), mood at the time (14.1%), sanitorial aspect (10.2%) and quantity (10.1%) rather than nutritional aspect (7.2%). Subjects' pocket money was estimated as 3736 won per week and SPS expense per time as 706 won. But subjects who spent more than 2000 won for SPS expense were significantly higher (33.0%) in apartment group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1). The favorite snack items that subjects having at home were fruit, ice cream, milk and yoghurt, cookies, ramen and bread in order. And favorite SPS items turned out to be ice cream, cookies, duckbokki, frozen bars, gum, chocholate and candy in order. The frequency rate of SPS were evaluat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by several variables: those living in apartment area (p<0.01), those taking breakfast regularly (p<0.01), those of normal weight status by Rohrer index (p<0.05) and those receiving less pocket money (p<0.01) showed lower SPS frequency rate.
        4,000원
        268.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69.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초등학교 학생들이 메고 다니는 책가방 무게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체중에 비례한 책가방 무게의 비율과 책가방무게로 기인하는 통증의 경험을 조사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1개의 초등학교에서 5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등교시 학생들의 책가방 무게와 몸무게, 책가방의 유형, 사물함 사용 여부, 통증 유/무를 조사하였다. 책가방 무게는 저울로 측정하였고 학생들의 몸무게는 학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그 외의 정보는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입력 및 분석은 SPSS 윈도우 버전 12.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실험에 참여한 학생 중에서 남녀 학생 비율은 여학생이 225명(43.86%), 남학생이 288명(56.14%)이였다. 사물함을 사용하는 학생은 388명(75.63%)이였고, 사물함을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125명(24.37%)이었다. 책가방으로 인해 통증을 경험한 학생은 226명(44.05%)이었으며, 책가방 유형은 양쪽 어깨에 메는 유형이 478명(93.18%), 한쪽 어깨에 메는 유형이 11명(2.14)%이였고, 손으로 드는 유형이 23명(4.48%)이였다. 바퀴가 달린 가방을 사용하는 학생은 단 1명뿐(0.19%)이었다. 학생들이 들고 다니는 평균 책가방의 무게는 3.91 kg으로 학년이 올라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체중에 대한 평균 책가방 무게의 비율은 12.30%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책가방 무게가 체중에 비해 무거웠으며 통증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과중한 책가방무게가 잠재적으로 학생들의 근골격계통에서의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기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적, 인간공학적, 사회와 부모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271.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hildren's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to help the school age children to have right nutrition knowledge, they are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to teach due to the lack of nutrition knowledge as well as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basic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nutri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ed didn't get good marks in nutritional knowledge, food and cooking method knowledge and sanitary knowledge, as the collective averages in those areas were respectively 56.08±14.80, 60.52±10.95, and 45.25±16.13. Sixty seven percent of respondents the largest group, acquired nutritional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but they wanted to be given teach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educational materials(49.0%). More than 70 percent believed that nutrition should be educated by nutrition teachers (p〈0.01), and as for what should be handled in nutrition education, they thought that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build the right eating habits (59.5%). Based on the results, a sequenti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lower grades of school children was developed. This program consisted of five different categories,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was designed to deal with the knowledge of teachers on nutrition, food, cooking method and hygiene, table manners and food-borne illness.
        4,000원
        272.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which was needed for promoting teaching efficiency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athletic club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attain that purpose a
        5,700원
        273.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ttitudes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 physical education at school and find the actual condition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f physical education, which identified the difference in t
        5,400원
        27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trategy training in teaching English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also attempted to provide some empirical data for more successful strategy training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Sixty six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wo intact classes (33 each)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17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strategy training in addition to traditional instruction,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in the traditional way only.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trategy-trained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better improvement over the traditionally-taught group in their English proficiency; 2) Strategy-trained group used all categories of learning strategy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an traditionally-taught group; 3)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trategy use was affected by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strategy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could be fruitful and viabl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esented along with limitations inherent in the present study.
        6,400원
        27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전 학년의 18개 전 과목 교과서 72권의 한자어를 한자로 변환하여 한자어의 빈도와 이들 한자어에 쓰인 한자 빈도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 보고이다. (1) 초등학교 1학년˜6학년 총 18개 과목 교과서에 나온 한자의 종류는 2,687자이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1위 한자는 ‘數’이다. 총 2,687자의 개별 한자 중 교육용 1,800자에 포함되는 한자는 1,665자이며, 포함되지 않은 한자는 1,022자이다. 또한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어에 나타나지 않은 글자도 135자나 된다. (2) 초등학교 교과서 18종에 나온 개별 한자어의 총수는 12,787이다. 한자어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과목은 ‘국어’ 교과로 특히 ‘읽기’ 교과이다. 한자어에는 교과별 특성이 반영이 되어 있다. 국어와 사회 교과서에는 빈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고 많은 한자어가 고루 사용된 반면, 수학과 과학, 도덕 교과서에는 특정 한자어의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100위 안에 드는 한자어를 어휘적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親舊, 數, 個, 內容, 方法, 生活, 活動, 模樣, 點’ 등 10위 안에 드는 고빈도 한자어의 대부분이 명사이다. 이상의 한자어와 한자 조사 결과는 앞으로 한자한문교육은 물론 국어 어휘교육에도 유용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9,900원
        276.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gaps between school children who received ICT-power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s about health and others who took typical lessons about the same in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4,900원
        277.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sport education model to simple baseball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approach tendency in the course of its application. To attain the aims, one class of 6th
        5,400원
        278.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icient aspect and the proper time of feedback for the ball movement teaching when the rhythmic gymnastics exercises are practiced in the class room situation, concerning that the method and the time of feedback
        6,300원
        279.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ICT 활용 수업자료 중 WBI 수업자료, CD-ROM 타이틀 그리고 ICT 활용 수업모듈 수업자료가 과학 학업성취 및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과학 ‘지구’ 분야의 단원에 대하여 세 가지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WBI 수업자료, CD-ROM 타이틀 수업자료와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수업은 과학 학업성취,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 창의력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WBI 수업자료는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며, ICT 활용 수업모듈 수업자료는 창의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0.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관찰 및 가설을 분석하여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가진 질적 연구이다. 야외 지질 학습장에서의 학습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관찰, 가설의 관련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질학습의 특성상 초등학생들은 대부분 시각에 의존하여 관찰하며, 퇴적 지층 지역의 관찰은 암석 관찰에, 가설은 지질 구조에 관한 가설을 많이 생성하였다. 둘째, 관찰 분류들로 분석 한 결과, 이 연구에서 추가한 관찰 행동 영역인 비교 관찰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가지 관찰 행동의 조합으로 나타난 사례의 빈도도 높았다. 셋째, 관찰 유형을 기준으로 보면 해석적 관찰 및 비교 관찰과 조합된 과학적 설명 가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암석과 지질 구조를 해석하고 다른 것과 비교하여 자신의 사고를 합리화 하려는 경향으로 볼 수 있다. 가설 유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적 설명 가설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사전 지식이나 선개념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