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0

        30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인(1그룹), 제주인(2그룹) 그리고 외국인(3그룹)에대한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전체 총 84장의 오름경관에 대한 선호도평가 결과, Group 1은 4.93, Group 2는 5.22 로 전체 국내인 평균 평가치는5.11이었으며 Group 3의 평가치는 5.54로 나타나 제주 오름에 대한 외국인의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 경향이 발견되었다.전체적으로 평가치가 가장 높은 오름경관은 Scene 8(7.60)의 비양도 부감경관이었으며 다음으로 평가치 7.59를 보인 Scene58과 평가치 7.35를 보인 Scene 48등이 보임에 따라 성산일출봉, 비양도, 송악산 등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경승으로서 손색이없음이 실증적 재차 확인되었다. 한편 3개 평가 집단 간 선호도 평가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ANOVA와 Duncun-test결과, 집단 간 평가치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된 평가오름은 총 63개에 이르러 오름별 평가치에 대해 그룹간의 차이가 인정된다.또한 평가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21개의 오름 중에는 항공에서 조감된 부감경관은 단 하나도 포함되지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21개 오름경관 가운데 전체 평균치인 5.34를 상회하는 오름경관은 Scene16, Scene78 그리고Scene29의 단 3개에 불과하였음을 볼 때, 부감경관에 대한 차별화된 긍정적 선호성이 입증되었다.더불어 총 18개 오름에 대한 평가치 중 민오름과 산굼부리를 제외한 총 16개 평가치가 높은 특성을 보여 하늘에서 부감한오름경관에 대한 뚜렷한 선호경향을 보였으며 이 경향은 특히 Group 3 즉 외국인 그룹에 있어 부각되었는데 지상에서 촬영한산굼부리의 지상경관 또한 굼부리 중심의 부감경관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경향을 더욱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4,300원
        30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o sites on a plant and within a field, to plant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nd to different leguminous germplasms was observed. The insect layed its eggs mainly on the back surface of leaf in the upper half of plant in both observation from oviposition cage and soybean field. The egg number in fields were observed at a statistically-same rate in marginal and inside area, and at a median value of one egg per leaf in oviposited leaves. Full seed stage of soybean hardly affected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insect. A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 in oviposition to different leguminous germplasms was observed.
        4,000원
        30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레이어 모델링은 플레이어의 행동에 대한 선호도에 대한 특성들을 반영하는 프로파일을 만들고, 플레이어가 게임과 상호작용하는 동안 계속 프로파일의 특성을 학습하는 것이다. 학습된 선호도는 플레이어 행동들의 발생 빈도에 대한 통계적 수치로 기록되며, 이를 바탕으로 플레이어에 최적화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인터페이스에 대한 플레이어의 선호도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플레이어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면 플레이어의 선호도에 따라 모델은 게임 디자인 단계에서 모델의 선호도에 대한 초기값을 쉽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초기 학습 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본 논문은 플레이어의 선호도에 따라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플레이어 모델링의 선호도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4,000원
        304.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휴대폰 제조사 브랜드를 평가하기 위하여 무형 자산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기초적인 통계적 사실에 근거하여 단편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하지만 휴대폰 제조사 선호도 평가는 무형자산 평가와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무형자산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휴대폰 제조사 브랜드 선호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4,000원
        30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제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과 관련된 인지 반응 특성을 파악하고, 제품 선호도 및 경험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휴대폰과 제안형 제품사진을 실험자극으로 선정하여, 연상되는 감성어휘를 표현하는 실험과 각 제품사진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두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먼저, 사용 경험이 있는 제품에 대한 언어적 지각 반응에서는 비유 언어와 정서적 이미지의 표현을 혼용하며 선호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서적 표현의 적용이 많아진다. 두 번째는, 제품의 비사용 경험은 선호도와 관계없이 인지 대상을 단지 지각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일반적 경험 정보와 유사성을 고려하여 대응시키는 반응을 유발한다.
        4,200원
        308.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l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determining the purchase of food products by consum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sumer color preferences for songpyun, a traditional Korean rice cake, by a consumer acceptance test and using coated Pantone color chips. Color evaluation tools for the study were developed accordingly. From the results, the songpyun sample designated as product E was given the highest color acceptability score, and was ‘slightly liked’ (p<0.05). The color of product E was ‘very pale red-purple’. All the evaluated pink-color songpyun products were based on this red-purple hue, however, they had differences in tone. The consumer panel favored a pale tone over a bright tone. The color concept for traditional songpyun within the pink color category was identified as ‘very pale red-purple’, using coated Pantone color chips. This result for the conceptual color preference wa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consumer color acceptance test. Thus, color chips could be an effective tool when applied for color standardization in traditional foods production. From the overall results, it seems consumers are perceiving color trends and are willing to adapt to such changes in food applications.
        4,000원
        31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dietary habits as well as attitudes toward food, within other life pattern elements, of students living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Korea. Questionnaires from 1,000 student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physical condition and health status, dietary consciousness, food preference,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and dietary culture. The results showed that 1.6% of the students considered their own physical condition to be extremely poor, and 2.7% and 2.1% also considered their father's and mother's physical conditions as extremely poor, respectively. Among the respondents, 18.3% were smokers and consumed an average of 14.8 cigarettes per day. With regard to their dietary habits,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to eat meals with friends rather than with family members, fruit was chosen for eating over health food supplements, and there was very little participation or interest in various food and cultural festivals. The female students had a tendency to alleviate mental stresses by eating, while the male students performed more physical activity to deal with stress. The female students also preferred cereal, fruit, fast food, and sweetened foods more than the male students. Between the smokers and non-smokers, significantly more non-smokers chose fruit (p<0.01), ethnic foods (p<0.05), and sweetened foods (p<0.05) as compared to the smokers. Body mass index (BMI)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ft drink (p<0.01), health food supplement (p<0.01), and alcoholic beverage (p<0.001) consumption, while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ereal (p<0.01), fruit (p<0.001), and sweetened food (p<0.01) intake. The health status of stud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father's health status (p<0.01), mother's health status (p<0.001), and BMI (p<0.05), as well as cereal (p<0.001), high protein side dish (p<0.01), fruit (p<0.01), vegetable (p<0.01), and traditional food (p<0.001) intake. The average body weight for female students was approximately 5 kg less tha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s standardized weight, therefo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measures be taken to develop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help those students who often unintentionally skip breakfast or go on extreme diets to improve body image.
        4,000원
        31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특정 목적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 제품들의 특성들을 파악하여 디자인 개발시 소비자 니즈를 분석하고 제품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의 확보이며, 디자이너가 제품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디자인 개발 시 컨셉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함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0년부터 현재까지 출시된 제품을 수집하여 동질성 분석을 실시하여 대표제품을 선정하여 제품에서 느껴지는 형용사와 선호도를 설문을 통해 추출하였다. 설문을 토대로 종속변수와 선호도에 대한 회기분석과 종속변수와 구매도에 대한 회기 분석을 통해 어떠한 요소들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인지를 기초 설문과 실험 대상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디지털 카메라를 디자인 할 때에는 편리한, 감각적인, 기능적인, 품위 있는 의 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전체적인 형태에서는 그립을 강조한 형태와 그립이 있고 액정이 크고 칼라는 어둡고 매뉴얼 버튼이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31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장에 가정 먼저 진입한 제품은 시장 점유율 및 재구매율 측면에서 후발제품에 비해 경쟁우위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선발제품의 이점(pioneer advantage)이라고 한다. 후발제품이 선발제품의 이점을 극복하기 위한 차별화 전략에는 이미 존재하는 속성의 성능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속성을 추가하는 방안이 있다. Zhang과 Markman[51]에 의하면 제품에 이미 있는 속성으로 차별화하는 전략이 새로운 속성으로 차별화하는 전략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상황적 제약에 따라 소비자들은 새로이 추가된 속성 정보를 더 주의 깊게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정이 연이은 인지과정에 미치는 현상을 평가 경향(appraisal tendency)라고 하는데, 경험하는 확실성 수준에 따라 사람들은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또는 직관적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별점의 정렬 가능성 (비교를 하는 대상의 속성을 나란히 비교할 수 있는지 여부) 및 확실성 유발 정서에 따라 후발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참가자들은 특정한 감정을 경험하도록 유발된 후, 제품평가과제를 수행하였다. 예사대로 확실성 유발 감정을 경험한 참가자들은 제시된 메시지를 보다 직관적으로, 불확실성 유발 감정을 경험한 참가자들은 제시된 메시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이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하는 경우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데 고려야할 요소를 추가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5,500원
        31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tourists' preference for alternative restaurant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4 attribute levels: origin description, food type, price and service guarantee. A total of 210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from tourists who visited Kwangyang, Suncheon and Yeosu during Jan. 2 - Jan. 15, 2007. Conjoint experiment method was used to develop hypothetical restaurants. Ordinal probit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attribute levels on the tourists' preferenc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ordinal probit model analysis result for the data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attribute levels (origin description, traditional food, fusion food, price, service guarantee) on the tourists' pre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estimates of marginal willingness to pay for origin description(3.063), food type(2.349), and service guarantee(2.35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ourists were more willing to pay for origin description than other attribute levels. Tourists also considered the origin description as the very important attribute. In conclusion, based on conjoint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of marginal willingness to pay of attribute level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validated in future research.
        4,000원
        31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ed to Kimchi to be well known in the World, which to be international food on the each nation and each people, each religion cultural area, with having done Kimchi adaptation plan for localization. Among the plan, Kimchi utilization ways with the localization strategy in Turkish dietary life were investigated to the Kimchi preference, improvement points on Turkish view, for the Turkey person it would be able to apply in Turkish food cultur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sex of Chinese cabbage Kimchi preference, men (M=3.75 ± 0.89) appeared higher than women (M=3.62 ± 0.88). Color or appearance preference after Chinese cabbage Kimchi taste was investigated in order that red 〉 burnish felt 〉 transparent 〉 yellow, and the smell preference which was hot(M=4.64 ± 1.37) appeared highest. A hot taste felt most intensely, and it was investigated in order that aftertaste〉 salty taste 〉 sourness 〉 off flavor taste 〉 fermented fish source taste 〉 sweetness〉 carbonic acid by the followings. For the feeling of texture of Kimchi, the crunch was higher than durable tough(it was visible the consider difference of the sex 2. That the Korean Kimchi hit to a palatable taste, against 109 people (72.2%) answered suitable appetite to this taste, and the reason which was in order of that hot tasty 〉 appearance 〉 chewing texture 〉 red 〉 fermented flavor was investigated. Did not hit to a taste 42 people (27.8%) answer back, with the reason that was investigated in order of hot tasty 〉 appearance 〉 red 〉 fermented flavor 〉 chewing texture. The hot tasty of Kimchi was commonly presented that hit and did not hit to appetite taste against people. 3. Among the Turkish food, similar foods for Kimchi were answered in order of Lahana Tursu (44.2 %) 〉 Kapuska (25.9 %) 〉 Lahana Prasa (11.1%), and similar food category were that Chinese cabbage or various vegetables to be pickling food and to be dressing salad with salt and vinegar. The accompanied or garnished Turkich food category for Kimchi were answered in order of cooking meat (34.1%)〉 steamed cooking rice (22.7%)〉 cooking fish (17.0%)〉 cooking soybean (14.2%). This result was same tendency with steamed cooking rice accompaniment for Kimchi in Korea and Turkey, and could be applied a new main menu like meat cooking and fish cooking dish which matched and accompanied with Kimchi.
        4,000원
        315.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대 남여를 중심으로 수도권 백화점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쇼핑행태에 영향을 주는 고객동선으로 에스컬레이터 이용방법 및 선호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내 동선을 유도하는 수직 동선의 디자인은 백화점 매출이나 운영 방식 등에 활용되며 많은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 남성고객의 경우 백화점을 이용하는 이유는 집과 가깝기 때문이며, 교통편은 버스를 이용하고 가장 많이 구매하는 매장은 남성의류이며, 백화점을 쇼핑하는 행태는 주로 쇼핑할 매장이 있는 층을 바로 찾아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쇼핑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에스컬레이터를 주로 이용하며, 현재 주로 사용하는 반대방향 에스컬레이터지만 여기에 불편함을 느끼고 양쪽방향의 에스컬레이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고객의 경우 이용하는 이유는 집과 가깝다와 쇼핑하기가 편한 것이며, 교통편은 지하철을 이용을 하며 여성의류매장이 주소비매장이다. 여성의 쇼핑행태는 쇼핑을 즐기는 이유로 인해 1층부터 차례대로 한 층씩 둘러보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자주 이용하는 에스컬레이터는 현재 상태인 한쪽방향에스컬레이터를 이용했으나. 남성과 마찬가지로 그에 불편함을 느껴 양쪽방향의 에스컬레이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과 여성의 소비행태는 남성의 경우 주된 타겟형 소비이며 여성의 경우 주된 목표가 있더라도 일단 전반적인 매장 디스플레이를 돌아보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쇼핑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지만 양방향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욱 대형화되고 이벤트화 되는 백화점 실내공간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입체적 디자인 개념과 프로그램의 적용 그리고 휴식공간 및 문화공간에 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500원
        316.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to streets at Daegu, and view adjective how people react when draw a bird into interior in city utilize and examine becoming direction of street trees system. Findings on survey, citizens appear by average 2.87 in management degree of street trees and average 2.76 in various of species of trees, discontent thing more or less by average 2.91 in satisfaction of the beauty, and demonstrate high shame from satisfaction for season stuff to comparative high 3.24, generally, citizens appear by there are parts to improve by do dissatisfaction about street trees system at Daegu. Also, street trees 2 lines plantings for a bird is average 3.05, shows affirmative feedback about that shrub utilization for a bird see high numerical value by average 3.4 and people draw a bird to space of city. Therefore, construct street trees friendly to the nature and be considered to need to re-establish set street trees environment in citizens preference to recover city ecosystem. As result that examine reaction which treat in street trees planting programs to draw birds into city through view adjective, Likert scales about 2 lines plantings of street trees and additional planting of shrub show affirmative feedback by average 3.4 both ordinary people and specialist group, if people want to draw birds into city by various of method, various research should be accomplished.
        4,000원
        31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odor intensity on the olfactory sensibility and sensibility structure. Three odor samples(B, C, and D) of T&T olfactometer were selected by the preference rank:the lowest preference(C); the moderate on
        4,000원
        31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에 관련한 소비자의 선호와 감성이미지를 파악하여 선호감성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제품디자인요소를 추론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가정인 제품디자인선호-감성이미지-디자인요소의 인과구조를 통해 소비자 감성 지향적 디자인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남성용면도기를 연구대상물로 선정하였고, 감성이미지단어들을 추출하기 위한 파일로트 테스트(pilot test)와, 감성이미지단어항목과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 의미차이법을 이용하여 설문을 구성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남성용면도기 디자인전략으로는 소비자들은 남성용면도기제품을 "고급스럽고, 예쁘며, 안정적인" 감성이미지가 높을수록 선호하는데 이 이미지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바디가 호형도 다각형도 아니고 재질이 스틸이고, 버튼이 푸시형이며, 재질이 스틸, 컬러는 갈색이 아닌 컬러"인 디자인요소가 디자인요소들간에 trade-off관계를 고려하여 조합되어져야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선호도-감성이미지-디자인요소의 인과 구조에 대한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고 실무적으로는 소비자 감성 지향적 디자인을 전망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4,000원
        320.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피부색에 대한 선호색 영역을 실험을 통해 결정하고, 입력 영상에서 인간의 피부색을 선호색으로 사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선호색 실험은 색 변환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관찰자들에 대한 선호색 영역을 결정하고, 이것을 실제 얼굴 모양의 패치에 적용하여 선호색 실험을 부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선호색 영역을 결정하였다. 선호색 사상 알고리즘은 크게 입력 영상에서 피부색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피부색 영상을 선호색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며, 피부색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부색이 포함된 여러 영상의 색상 분포 특성을 작성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통계적으로 피부색 영역을 결정하였다. 선호색으로의 사상 과정은 입력 영상의 피부색 영역에서 밝기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평균 밝기값을 계산하고 그 범위를 판단하여 대표 밝기값을 적용한 다음, 색상과 채도 히스토그램을 바탕으로 대표 색상값과 대표 채도값을 지정하고, 그 값을 선호색 실험을 통해 얻은 각 밝기 단계별 선호 색상값과 선호 채도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선호색 사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선호색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