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1

        34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시설재배에서 토양 pH 변화를 수반한 제염방법이 딸기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토양 pH는 제염전 6.0으로 측정되었으나 제염 후 5.8~6.2로 측정되어 처리간 차이가 크지 않았고, 유의차도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EC는 제염 전 토양이 1.82dS·m-1이었으나 지하수로 용탈한 처리(A)에서 1.65dS·m-1, 생석회를 500g·200L-1로 용해시킨 후 그 상등액을 관주하여 pH를 상승시키고 3주간을 기다렸다가 용탈한 처리에서 (B)에서 1.72, 황산알루미늄을 0.75g·L-1로 용해시킨 용액을 관주하여 pH를 저하시킨 후 3주간을 기다렸다가 용탈한 처리(C)에서 1.71, 그리고 pH 상승(B 방법) 후 저하시킨(C 방법) 처리(D)에서 1.83dS·m-1로 측정되었다. (D) 처리에서 토양 암모늄 농도가 높았고, (A) 처리의 토양 인산농도가 낮았다. 정식 80일 후의 생육에서 초장은 (C) 처리에서 20.4cm로 가장 컸으나 기타 생육지표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80일 후의 식물체내 무기원소 함량에서 다량원소는 처리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미량요소인 철, 망간, 아연, 구리 및 붕소는 (C) 처리에서 식물체내 함량이 높았다. 딸기의 수량 및 품질은 (C) 처리에서 50식물체 당 약 137개의 특대과를 생산하였고 과중도 3,784g으로 조사되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B) 처리의 경우에도 특대과의 비율에서 비교적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C) 처리에서 103당 3,123kg의 수확량 및 2,489 kg의 상품과를 생산하여 가장 우수하였으며, (B) 처리에서도 2,820kg/10a으로 비교적 수량이 많아 pH 변화 후 관수하여 용탈시킬 경우 효과적인 제염방법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4,000원
        34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관 양액 공급시스템을 이용한 수경 재배 시 공급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제주 송이와 펄라이트 혼합배지에서의 멜론 및 엽채류의 생육특성을 구명코자하였다. 모관 양액 공급 시스템에서의 네트 멜론의 품종별 생육 및 과실 특성은 양호하였으며, 과중은 일반재배에서의 국ㆍ내 상품기준인 1과당 1.8~2.0kg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무네트형 멜론인 아리스 품종은 급액 방법에 따라 과실 특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당도에 있어서는 점적 및 모관 시스템에서 15.6과 15.5˚Brix로 분무 시스템의 14.4˚Brix보다 높았다. 네트형 멜론인 얼스엘리트 품종에서는 분무시스템보다 점적 및 모관시스템에서 과실 특성이 양호하였으며 당도도 높은 경향이었다. 멜론 재배 전ㆍ후 배지내 pH의 변화는 시스템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하층부보다는 상층부에서 pH가 높게 나타났다. 배지내 무기성분 함량은 점적시스템에서 상층부보다 하층부에서 높았고, 모관시스템에서는 상층부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4,000원
        34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장미의 생장에 미치는 배양액 농도와 AMF(Arbuscular Mycorrhizal Fungi) 접종 및 접종시기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면관수(ebb and flow) 시스템에서 일본 원예시험장 배양액을 6농도(0.125, 0.25, 0.5, 1, 2, 4배)로 처리하고, AMF를 무접종, 삽목 시 접종 및 정식 시 접종 처리하여 식물을 재배하였다. 배양액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배지 침출액의 EC가 높아졌으며, AMF무접종 처리구와 삽목 시 AMF접종처리구의 배지 침출액 EC변화는 유사하였으나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의 EC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배지 침출액의 pH변화는 AMF무접종처리구와 삽목 시 AMF접종처리구가 서로 비슷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의 경우 pH변화가 크지 않고, 배앙액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다. 배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초장, 건물중과 엽면적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AMF접종처리에 의해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개화단축 및 개화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삽목 시 AMF접종처리보다 정식 시 AMF접종처리가 우수하였다. 엽록소 함량에 있어서도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양액농도의 증가에 의해 N, P, K, Na 및 Mn의 엽중함량이 증가되었으며, AMF접종에 의해서도 증가되었으며,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4,000원
        34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추종자는 크기가 불균일하여 기계화 파종이 어렵다. 펠렛의 목적은 종자크기를 증가시켜 기계화 파종을 가능하게 하여 파종과 솎음노력을 절감하고 종자를 절약하는데 있다. 펠렛 접착제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발아율과 발아일수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사용된 접착제 가운데 polyvinyl alcohol(PVA)에서 전반적으로 발아가 원활하였고 다음이 polyvinyl pyrrolidone(PVP), hydroxyethyl cellulose(HEC), methyl cellulose(MC), tween 80 순으로 나타났다. 펠렛 파복물질의 종류에 따라 발아율이 달랐는데 전반적으로 diatomaceous earth 및 talc + calcium carbonate가 다른 펠렛 피복물질에 비해 발아율도 높고 발아일수도 다눅되어 상추의 종자 펠렛에 적합한 피복물질이었다. 반면 Limestone, calcium oxide, bentonite 등은 발아율이 저조하였다. 상추종자는 펠렛 후 종자의 크기가 33배 증가되었다. 펠렛종자에 영양물질 첨가는 발아율이 약간 감소되었고, 발아일수도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첨가되는 영양물질의 급원에 따라서도 펠렛종자의 발아력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적으로 MS medium이 monosodium phosphate 보다 발아억제 정도가 낮았다. Priming 후 펠렛된 종자는 무처리 종자를 펠렛한 경우에 비해 발아율이 높았고 조기발아 하였다.
        4,000원
        34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위해 경기 수원(축산연)에서 1999 ∼ 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사료가치 및 TDN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총체보리의 유숙기 때의 ADF 함량은 27.3 ∼ 29.1% 이었고 황숙기의 경우 27.4 ∼ 30.4%이었다. 또한 유숙기와 황숙기 때의 NDF 함량은 50.6 ∼ 55.9% 그리고 53.1 ∼ 60.6. 유숙기와 황숙기의 TBN 함량은 65.4 ∼ 67.4% 그리고 64. 3 ∼ 6
        4,000원
        350.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죠람과 오레가노 수경재배시에 생육과 정유함량에 미치는 양액내 Ca2+ : K+의 적정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양액은 유럽채소연구소의 0.5배액을 사용하였다. Ca2+ : K+의 비율은 3.5;13, 4.5:11(표준용액), 5.5:9, 6.5:7 mM·L-1 4가지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마죠람의 생육은 5.5:9와 6.5:7 mM·L-1구에서 우수하였다. 비타민 C는 6.5:7구에서 그리고 정유함량(%)과 정유수량은 5.5:9구에서 높았다. 오레가노의 경우는 생육과 비타민 C의 함량은 5.5:9와 6.5:7구에서, 정유성분과 수량은 6.5:7구에서 높았다. 따라서 마죠람은 5.5:9 그리고 오레가노는 6.5:7로 조절하여 가꾸는 것이 생육과 수량 그리고 정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본다.
        4,000원
        35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수경재배시 마죠람과 오레가노의 알맞은 배양액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배양액은 유럽채소연구센터 허브액을 사용했다. 처리농도는 0.5, 1.0, 2.0, 3.0배액 등 4수준이었고 재배기간은 40일이었다. 마죠람은 지상부 생육, 지하부 생육, 비타민 C,총 정유생산량은 0.5배액에서 가정 조았다. 그러나 무기물함량은 20.배액에서, 정유함량은 3배액에서 좋았으며 엽록소 함량은 고농도에서 감소하였다. 오래가노의 생육 0.5배야ㅐㄱ에서 조았으며, 3.0배액에서는 고사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2.0배액에서 낮았으나 비타민 C는 이온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무기물과 정유함량은 1.0배액에서 높았으나, 정유생산량은 0.5배액에서 높았다. 이사의 결과로 볼 때 마죠람과 오레가노 수경재배시 적절한 배양액 농도는 허브 배야액 0.5배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52.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preferences, dietary habit and nutrient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n=283). Mean dietary habit score was similar between sexes and was 46.1/100 in male students and 45.1/100 in female students. Average energy intake of male students was 2,019 kcal (80.8% of RDA) and that of female students was 1,675 kcal (83.7%). Male students were taking less than 90% of RDA in calcium and vitamin B2 and female students were taking less than 90% of RDA in calcium, iron, vitamin C, and vitamin A. Students preferring Judgment had significantly higher dietary habit score than students preferring Perception. Extraversion had higher nutrient intake than Introversion both i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preferring Feeling had also higher nutrient intake than students preferring Thinking. Nutrient density per 1,000 kcal was higher in Thinking and Judgment than Feeling and Perception. In conclusion, students preferring Judgment and Extraversion have better dietary habit and nutrient intake than those preferring Perception and Introversion. More studies are necessary between personality preferences and dietary behavior to contribute to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4,000원
        35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균귄 곰팡이(arbuscular mycorrhizal fungus, AMF)의 하나인 Glomus manihot을 이용하여 고추의 성장과 무기이온 흡수 및 고추의 치명적 질병인 역병 방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매우 유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MF 균주 처리에 의해 질소, 인산, 칼리의 흡수와 초기 중량이 증가되었음을 파종 2주만에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추 품종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Glomus manihot이 고추의
        4,000원
        35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야온 25/20℃, 상대습도 70%로 조절된 생육상내에서 명기 시간과 암기 시간의 비를 1 : 1 로 일정하게하고 광주기를 24h(명기 12시간 : 암기 12시간)와 6h(명기 3시간 : 암기 3시간)로 설정하여 토마토와 고 추 묘의 양분흡수 및 탄소대사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마토에서는 처리후 15일 6h에서 건물중, 초장, 엽면적, 엽록소함량 및 수분흡수량 감소와 함께 황화현상이 나타났으나, 고추에서는 6h에서 엽록소함량이 약간 낮았을 뿐 처리간 생장 차이는 없었다. 전체 처리 기간을 통해 NO3, P, K, Ca 및 Mg의 흡수량은 광 주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Fe의 흡수량은 두 작물 모두 처리후 10 일부터 6h가 24h에 비해 적었다. 이러한 경향은 엽록소함량이 가장 낮았던 처리후 15일과 토마토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한편, 엽중 sucrose 함량은 토마토의 6h에서 높았으나 glucose는 24h에서 더 높았다. 본 실험 결과는 광주기 단축에 의한 엽중 엽록소함량 저하와 황화현상은 Fe 흡수량 부족 및 엽중 sucrose 축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4,000원
        35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er recognition of commercial Sunsik & Saengsik.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395 married women residing in Seoul and Kyungki area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related purpose was to analyze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the hygienic safety of commercial Sunsik and Saengsik.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user groups. Sunsik users have generally purchased the products at a discount store(41.0%) as a between-meal snack(36.4%). The products were usually the ones made on the spot(55.0%). However, Saengsik users have purchased the manufactured products-serving size package-(84.0%) at a health foods store(50.7%) as a health food(38.7%). Many of Sunsik users have had Sunsik in water or milk with sugar(40.7%) and 1-2 times a week(40.0%). But Saengsik users have usually had Saengsik in water or milk with honey(38.6%) and everyday(34.7%).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nutrition composition, crude proteins were significantly more rich in Sunsik samples, and crude ashes were more rich in Saengsik samples(p〈0.01). Sunsik E and all the Saengsik samples showed the high total viable plate counts of 4.8~7.0 log cfu/g. Coliform groups were detected in all the Saengsik and two Sunsik(A, E) samples.
        4,000원
        356.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andardized recipe and to analyze the nutrients of stir-fried whip-arm octopus as one of the kind of traditional local foods in Busan. The standardized recipe was developed by using cookbooks, home recipes, and the recipes by commercial food restaurants. The nutrient was analyzed by using an AOAC method. Sensory evaluations were made on nine sensory attributes by a 12-member panel. As the results, the whip-arm octopus was recorded as a food source for health, rejuvenation in Jasanobo. Since early 1900, the stir-fried method has been used for cooking with the ship-arm octopus. The main ingredients were whip-arm octopus, onion, large green onion as the local stir-fried whip-arm octopus in Busan. The ingredients of soup were shrimp, little neck clam, and water. Seasoning sauce was mixed with red pepper powder, soy sauce, sesame oil, chopped garlic, chopped onion, and sugar. The seasoning sauce was fermented for three days. The results of sensory scores were salty seasoning 3.66/5.00, taste 3.75/5.00, thickness 3.84/5.00, and smell 4.09. Nutrient retention per 100g of the stir-fried whip-arm octopus was 67.54kcal, protein 6.43g, fat 1.66g, Ca 28.06mg, Fe 2.56mg, cholesterol 68mg, and taurin 51mg. Fatty acid consists of various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ic acid(46.24%) and oleic acid(33.67%).
        4,000원
        35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ietary behaviors and the nutrient intake of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girls in Iksan. The subjects consisted of 132 middle school girls and 122 high school girls in Iksan. The proportion of subjects eating meals irregularly was higher in the high school girls (98.6%) than in the middle school girls(78.7%). The proportion of subjects skipping a meal also was higher in the high school girls(61.5%) than in the middle school girls(53.8%) and most of them (65.8%) skipped breakfast though they thought breakfast was the most important meal of a day (87.4%). The subjects tended to overeat at lunch (38.6%), and at dinner (55.9%). The main reasons of skipping a meal were 1. They had no time (49.3%), and 2. They had poor appetite (24.7%) Mean daily energy intake was 2198.5Kcal in the middle school girls and 2150.5Kcal in the high school girls and mean daily intake of protein, iron, vitamin B1, vitamin B2 and niaci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p〈0.01) in the middle school girls than in the high school girls. Mean daily calcium, iron, vitamin B1, vitamin A and C intake of middle school girls were lower than those of RDA and all nutrients intake of high school girls except for phosphorus was lower than those of RDA.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was under 1.0 for calcium, iron, vitamin A, B1 and C. Mean blood level of cholesterol, triglyceride, Hb, Hct, GOT, GPT were 170.9mg/dl, 78.9mg/dl, 13.1g/dl, 39.5%, 18.8mg/d and 15.7mg/dl, respectively.
        4,000원
        35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양마의 적응성과 생산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해서 양마 Evergrlades 41, China Chong-pi 3 및 수수수단 교잡종 Pioneer 947를 이용하여 2000년 5월부터 11월까지 제주의 4개 지역( 제주시, 서귀포시, 성산 수산 및 한림 금악)에서 수행되었다. 건물수량은 수수수단 교잡종 (pioneer 947), 양마 (Everglades 41) 및 (China Chong-pi 3)을 비교시 각각 7,313,
        4,000원
        35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재배 참외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을 고안하여 참외 수경재배의 가능성을 검정하고, 순환식 수경재배 시의 배양액 관리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세 가지 수경재배방식에서 순환배양액의 무기이온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외의 수경재배에서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양호한 수량과 품질을 나타내었다. 참외의 수경재배는 고형배지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보였으며 NFT방식은 고온기의 장해발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참외의 배양액은 야마자키 조성 멜론 배양액을 EC 2.0dS.m-로 전 생육기간에 동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순환방식에서도 배양액의 EC와 pH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순환배양액내의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도 계속적으로 일정한 함량으로 유지되어 참외용 수경재배방식이 적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3-N, Ca, Mg은 모든 재배방식에서 비슷한 양상으로 안정적인 함량변화를 나타내었고, P은 다른 두 방식에 비해 펄라이트 배지에서 약 1me.ι- 정도 흡수가 저하하였으며, K은 펄라이트 배지에서는 불규칙한 양상을 보였으나 코코피트 배지에서는 안정적인 함량변화를 나타내었다. 미량원소는 Mo을 제외하고는 고형배지 방식에서는 대체적으로 안정된 함량의 추이를 나타내어 미량원소의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NFT방식에서는 B와 Mn은 비교적 안정된 함량변화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원소들은 불규칙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특히 고온기에 미량원소의 흡수가 저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Cu. Zn, Mo의 흡수가 원활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참외를 위한 새로운 순환식 고형배지방식은 참외시설재배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적절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