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48

        368.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graphene and graphene-like materials has been a breakthrough in the field of nanotechnology for its exceptional properties. It exhibits extraordinary properties owing to its unique, regular arrangement of carbon atoms in it. However, graphene is usually modified for specific applications, by introducing disorder in the system. Since disorders are ubiquitous during the synthesis of graphene and graphene-like materials, it is best to exploit the defects for tuning its exceptional properties for suitable device applications. Like in any material, the disorder can drastically affect the properties, and hence they are deliberately incorporated into the material. In this review, we discuss topics related to the creation and configuration of disorders in graphene such as corrugations, topological defects, vacancies, adatoms and sp3- defects. The effects of these disorders on the electrical, thermal, chem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raphene are analysed subsequently. Finally, we review earlier works on the modulation of structural defects in graphene for specific applications.
        5,500원
        369.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acrylonitrile (PAN)-based carbon fibers (CFs) and their composites, CF-reinforced plastics, have garnered significant interest as promising structural materials owing to their excellent properties and lightweight. Therefore, various processing technologies for fabricating these advanced materials using thermal energy have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and developed. In most cases, these thermal energy-based processes (heat treatment) are energy and time consuming due to the inefficient energy transfer from the source to materials. Meanwhile, advanced processing technologies that directly transfer energy to materials, such as radiation processing,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in several industrial sectors since the 1960s. Herein, general aspects of radiation processing and several key parameters for electron-beam (e-beam) processing are introduced, followed by a review of our previous studies pertaining to the preparation of low-cost CFs using specific and textile-grade PAN fibers and improvements i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CF-reinforced thermoplastics afforded by e-beam irradiation. Radiation processing using e-beam irradiation is anticipated to be a promising method for fabricating advanced carbon materials and their composites.
        5,100원
        370.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omaterials (NMs) are gradually becoming pervasive in the modern world, entering every applic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Multifaceted uses of NMs in curing diseases, biomedical instrumentation, bioimaging, drugs, and gene delivery, display devices, nanosensors, and biomarkers in several fields ranging from agriculture to industries, healthcare, and environment, have been well recognized. Carbon-based nanomaterials (CNMs) constitute a major type of NMs with broad-spectrum applications including their uses in agriculture. These are synthesized in large quantities via synthetic and biological approaches. Biological approaches are gaining appreciation and momentum, owing to the advantages associated with them, major being their environment friendly or ‘Green’ nature. This topical review focuses on the preparation of CNMs using natural resources, i.e., using the Green Nanotechnology. The up-to-date compilation presented here includes most of the popular green technological methods of producing the CNMs and their immediate uses as anticancer agents, in bio-labelling, as biosensors, in bio-remediation, in cell imaging, in fluorescent inks, and fluorescent dyes, as plant growth inducing agents, in nano-probes, in light-emitting devices and other applications. It is intended to update the reader with the state-of-the-art knowledge about the green technological methods for synthesizing CNMs, their uses, current trends, challenges, and future outlook on the topic.
        6,900원
        37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new nanostructure, a graphene is a compound of carbon atoms with a two-dimensional structure that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nanoscale researchers due to its nove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he presence of all graphene atoms in the surface and its unique electrical properties, as well as the ability to functionalize and combine with another nanomaterial, has introduced graphene as a new and suitable candidate material for gas sensing. Over the years, many researchers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carbon nanomaterial. The unique optical, mechanical, and electronic properties of these nanostructures have led them to use these nanomaterials to develop tiny devices, such as low-consumption sensors. Carbon nanomaterial poses a threat to another nanomaterial in terms of their use in gas sensors. This review article discusses the use of carbon nanoparticles and graphene in gas sensors, examines the nodes in the commercialization pathway of these compounds, and presents the latest achievements. Finally, the perspectives of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field of sensors based on carbon nanomaterial and graphene are examined.
        6,400원
        372.
        2022.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방위산업의 침해에 대한 보호’ 라는 관점에서 대내외 적인 방산안보 환경을 분석하고 방산안보정책을 검토하는데 있다. 첨단 분야의 기술을 바탕으로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방위산업 분야의 기술발 전이 새로운 국제안보 정보 환경을 초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방위산 업 침해와 관련한 보호정책은 주로 ’기술탈취‘에 대한 보호에 중점을 두 고 있다. 국가전략 사업의 일환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방위산업이 국가안 보 및 국가경제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안보전략적 관점의 방산안보정책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방산안보정책의 방향이 방산기술 의 보호는 물론 북한, 외국기업, 외국인, 외국 정보기관 등의 부당한 활 동을 견제, 차단, 방어하기 위한 방산방첩 차원의 역량 강화에 관심이 제 고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방산침해와 관련한 방산안보정책을 검토하고 향후 방산방첩 차원의 방산안보정책 모색에 주안점을 두었다.
        6,400원
        373.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불교의 교육은 불학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불학원 교육은 초급 교육과정 에 해당하는 양정반 교육, 중급 교육과정의 중전반과 예과반 교육, 고급 교육과정의 대전반과 본과반 교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양정원은 기초교육원, 혹은 연수원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중전반은 직업고등학교 수준, 예과반은 예과는 4년 제 본과반 진학의 자격을 얻기 위한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한다. 고급 교육과정으로 분류되는 대전반은 전문대학 수준이며 본과반은 대학 수준이다. 이중 고등학교 수준 의 중전과 예과의 교육내용은 상호 중복되는 경향이 있고, 대전반과 본과반 역시 중 복되는 내용이 많다. 중전반과 예과반은 소양 교육에 치중하고, 대전반과 본과반에서 는 중국불교의 특징인 종파불교에 대한 전반적 학습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8,100원
        374.
        202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ging society are causing complicated problems from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heart disease in aged patients. Recently Covid pandemic swept across global aging societies and put aged people with chronic disease more vulnerable to mobidity. Therefore, from view of preventive and precision medicine, remote monitoring an aged people with chronic disease is an important issue than ever. Smart health care systems as remote monitoring is so called telemetry system which enable doctors or health care providers to manage remotely to consult, diagnose and treat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and infectious disease as well. The goal of telemetry system is to meet timely medical need in aged patients in distant place through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rough technological breakthrough, particularly in real-time health care industry, Telemetry system with realtime mornitoring of heart rhythm and blood glucose level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aging healthcare services in aged patients. This report introduces a comprehensive and inclusive review on the usefulness of realtime patiens monitoring with wearable sensors in telemedicine ap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report are as follows: (1) The advantage of real-time monitoring and blood glucose level and biofeedback based on visual data (2) The advantage of realtime-monitoring heart rhythm coupled with blood glucose level. (3) There is an additional need to produce a digital imaging from protable diagnostic divices such as X-ray and ultrasound.
        3,000원
        375.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거부터 해상은 육상의 도로와 같이 선박이 통항할 수 있는 항로가 지정되 어 있거나 선박 통항의 자유가 보장되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자원 개발이나 안 보 등의 여러 이유로 연안국의 관할권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선박 통항의 자유 가 보장되는 수역인 공해가 점점 축소됨으로써 선박 통항의 제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그 결과 연안국의 주권이 미치는 수역에서도 항해 의 자유는 보장할 수 있도록 무해통항권과 같은 제도가 마련되었다. 무해통항권이란 말 그대로 선박이 연안국의 관할권 수역을 통항함에 있어 연안국에 무 해할 경우는 선박 통항을 보장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국내 연안에 설 정되어 있는 유조선통항금지해역은 해당 해역을 통항하는 유조선의 유무해성 에 상관없이 통항을 금지하고 있어 국제법인 유엔해양법협약에 저촉될 수 있 다. 이에 일방적으로 유조선의 통항을 금지하기 보다는 유조선의 주의항해 및 연안국의 적극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조선통항주의해역으로의 변 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조선통항금지해역의 입법 취지 의 달성과 국제법의 저촉 문제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6,600원
        376.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8년 음주운전차량에 윤창호 군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상습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자는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도로교통 법 제148조의2 제1항이“제44조제1항 또는 제2항을 2회 이상 위반한 사람(자동차등 또는 노면전차를 운전한 사람으로 한정한다)은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 원 이상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내용으로 일부개정이 있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2021. 11. 25. 헌법재판소에서 위 일부 개정된 도로교통법 중 제148조의2 제1항 중 “제44조 제1항을 2회 이상 위반한 사람”에 관한 부분이 헌법에 위반된 다는 위헌결정을 하였다. 헌법재판소는“제44조 제1항을 2회 이상 위 반”한 경우로 정하여 가중요건이 되는 과거 음주운전 금지규정 위반행위 와 처벌대상이 되는 재범 음주운전 금지규정 위반행위 사이에 아무런 시 간적 제한을 두지 않고, 죄질이 비교적 가벼운 유형의 재범 음주운전 행 위에 대해서까지 일률적으로 가중 처벌하도록 함으로써 형벌 본래의 기 능에 필요한 정도를 일탈하는 과도한 법정형을 규정한 것으로 책임과 형 벌 간의 비례원칙에 위반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음주운전의 행위태양 및 죄질의 경중에 차이가 있더라도 모두 반복된 음주운전 금지규정의 위반이라는 중요한 행위 반가치 지표적 측 면에서 다른 범죄들과 합리적으로 구별되는 동질의 범죄행위라고 볼 수 있으므로 개별적인 행위 태양을 고려하여 처벌규정을 더 세분화하지 않 았더라도 헌법이 요구하는 형벌체계에 어긋난다고 단정할 수 없다. 또한 비난가능성이 크지 않은 유형의 재범 음주운전의 경우를 위험한 반복적 음주운전행위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하더라도 징역형 이외에 벌금 형이 있으므로 법관이 사실관계를 판단하여 양형을 통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이 사건 심판대상 조항의 가중처벌기준이 입법재량 을 현저히 일탈했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헌법재판소의 이 사건 위헌결정이 적절한지는 의문이다. 특히 상습 음주운전자에 대한 처벌조항이 강화되었음에도 여전히 도로교통법 (음주운전) 위반 발생건수가 감소되지 않고 있고, 국민들 사이에서 여전 히 음주운전 처벌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으므로 이 사건 심판 대상조항을 위헌이라고 단정할 만한 국민들 사이의 법 감정에 변화도 존 재하다고 볼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헌법재판소가 이 사건 결정과 같은 위헌결정을 하고자 하였다면, 단순위헌결정이 아닌 법적 공백상태 및 형 벌규정의 위헌결정에 따른 소급적용으로 발생하는 재심 등의 여러 문제 를 고려하여 입법형성권을 존중하고 법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 으로서 헌법불합치 결정하는 것이 권력분립원칙에 더 부합한다고 할 것 이다.
        377.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rcury ion ( Hg2+) is regarded as one of the toxic cations that is extremely harmful and dangerous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With this growing awareness, it is imperative that facile and rapid sensing systems developed for the detection of Hg2+. Due to excellent sensitivity and selectivity, graphene quantum dots (GQDs), a zero-dimensional carbon nanomaterial, are attracting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as promising candidates as fluorescent probes for Hg2+ detection. This study aimed at conducting an in-depth review of recent advances into GQD-based materials as fluorescent probes in Hg2+ sensing. This systematic review was carried out by covering three main databases, namely, Scopus and Science Direct as the dominant databases, followed by Google Scholar as the supporting database. GQD-based materials encompassing bare GQDs, N-GQDs, B, N-GQDs, N, S-GQDs, N, K-GQDs, RhB-GQDs, Cys-GQDs, PEHA-GQD-DPA, Gly-GQDs, Mn(II)-NGQDs, NH2– Ru@ SiO2- NGQDs and FA-GQDs were discussed thoroughly with regard to their synthesis strategies, along with their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detection of Hg2+. The doping of heteroatoms is envisaged to enhance the quantum yield and selectivity of bare GQDs. This review might unlock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GQD-based materials as an adaptable, feasible and scalable approach to the detection of Hg2+.
        6,100원
        378.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arbon-based nanostructures are in limelight due to their widespread applications in nano-to-micro-scale technologies. The carbon dots are known for their unique physical, electrical, opt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The carbon dots (CDs) are being produced through several well-developed synthesis methods, one of which is the green sonochemical. This method is preferred over others because it is a green source of energy, facile, fast, low-temperature process, non-toxic and less expensive. Despite the fact of using 90% less energy than other methods, this method has been overlooked in the published literature. It is possible to prepare pure and doped CDs of low toxicity and controll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rough sonochemical method. In recent years, sonochemically produced CDs have been tuned and characterized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This review has explored the merits and demerits of sonochemical method in comparison to the other methods for the synthesis of pure CDs and their nanocomposites. The role of multiple factors in tailoring the specific parameters of CDs for their application in antibacterial, polymerization, tissue engineering, catalysis, bio-imagining, supercapacitors, drug delivery and electric devices is also elaborated in this review. This review also concludes on future directions in the applications of sonochemically produced CDs.
        5,100원
        379.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markable electrical, thermal,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graphene and its derivative grapheme oxide have recently gained great importance, along with the large surface area and single-atoms thickness. In this respect, several techniques of synthesis such as chemical exfoliation, mechanical exfoliation, or chemical synthesis have been discover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graphene with fewer defects and on a large scale poses major challenges; therefore, it is increasingly necessary to produce it in large proportions with high quality. This paper reviews the top-down synthesis approach of graphene and its well-known derivative graphene oxide. Furthermore, characterization of graphene oxide nanomaterial is a critical component of the analysis. The characterization techniques employed to determine the quality, defects intensity, number of layers, and structures for graphene oxide nanomaterial at the atomic scal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fferent involved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for graphene oxide with their percentage utilization for the past 11 years. Additionally, reviewing all of the characterization literature for the last 11 years would be a difficult task. Therefore, the aim is to outline the existing state of graphene oxide by different characterization techniques and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ir percentage utilization.
        8,700원
        380.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진은 지각내 단층운동과 함께 수십억 년 전부터 발생하여 왔다. 1960년대부터는 미국에서는 지진과 지하수위 의 연관성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나, 국내에서는 2010년 경부터 지진과 지하수위 및 수리지화학적 연관성에 대 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학자들이 과거부터 2021년까지 연도별로 지진과 지하수의 관련성을 연구한 논문을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하고, 분야별(지하수위, 수리지화학, 지하수위와 수리지화학 병행, 그 외 분야) 연구 특 성을 검토하였다.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지진과 지하수 관련성 연구 논문을 보면, 연도별 논문 편수는 2011년에 동일본 대지진, 2016년에 경주지진, 2017년에 포항지진과 발생과 관련되며, 이에 따라 2011년, 2018년, 2019년, 2020년에 국내 및 국제학술지 게재 논문수가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지하수위와 지진의 관련성 연구는 지진과 동시기의 지하수위 변화 에 관한 연구이며, 지진 전조와 관련한 연구는 거의 없다. 지하수위 관측자료와 함께 여러가지 수리지화학적 정보와 미 생물은 지진에 의한 기반암내 지하수의 유동과 화학적인 반응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지진 감시 및 예측을 위해서는 지진감시를 위한 지하수관측공 네트워크를 전국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