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21.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국립공원의 환경유형별 주연부식생구조를 밝히기 위해 1990년 8월에 현지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연부식생의 수관층위별 우점수종, 종구성의 유사도는 기존식생, 고도, 방위, 지형적 위치의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상부 주연부식생은 다른 환경유형과 심한 차이를 나타냈다. 주연부의 종다양도는 중복부 북사면이 가장 높게, 남사면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전 환경 유형의 아교목층에서 좁은단풍나무가 우점종으로 출현했다. 고도. 방위, 지형적위치에 따라 주연부수종들의 출현밀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고도, 방위, 지형적 위치 등에 관계없이 좁은단풍나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조록싸리, 병꽃나무가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4,000원
        22.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역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DCA의 ordin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70개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에서 6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소나무 군집, 신갈나무-소나무 군집, 졸참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졸참나무 군집으로 나뉘었고, 분리환경인자는 해발 고와 토양습도였다. 본 연구에서는 DCA기법이 TWINSPAN보다 효율성이 더 좋았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 팥배나무→졸참나무→서어나무와 소나무, 쇠물푸래나무→신갈나무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참싸리, 개옻나무. 산초나무→철쭉, 참개암나무, 생강나무, 함박꽃나무→참회나무로 추정되었다. 산화발생에 의해서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은 매우 감소하였고, 참나무류의 상대우점치는 증가하였다.
        4,200원
        23.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 및 보존대책을 위하여 2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10m 방형구 5개씩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방법과 DCA ordination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classification과 DAC ordination방법에 의한 군집분리가 명확하지 않았다.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갈참나무, 팥배나무, 산벚나무→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의 순이었고, 교목하층에서는 개옻나무, 생강나무→쪽동백, 당단풍, 노린재나무→비목나무, 덜꿩나무의 순이었다.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방해극상적인 생태적 관리방법에 의해 교목하층에 자라고 있는 활엽수를 제거하여야 한다.
        4,000원
        24.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 지역내에 생육하고 있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하였으며, 총 44과 89속 140종 10변종 및 2품종이 조사되었다. 한편 국내의 몇 지역과 비교하여 속리산 식물상의 식물지리학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백두산, 설악산, 지리산 및 속리산 등 내륙지역 4개지역, 어유정도, 덕적군도, 고군산군도 및 제주도 등 도서지역 4개 지역등 총 8개 지역의 식물상과 상호 비교하였다. 속리산의 식물상은 설악산 및 지리산의 식물상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단풍나무과, 두릅나무과, 참나무과, 피나무과 및 느릅나무과와 같은 북방계 식물 및 노박덩굴과, 메꽃과, 대극과, 갈매나무과, 가지과, 돌나물과, 쐐기풀과 등과 같은 남방계 식물이 유입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4,000원
        25.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국립공원의 일부인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속리산의 식생은 소나무림, 낙엽활엽수림, 조림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군집 1) 소나무-진달래 하위군집 2) 소나무-철쭉 하위군집 3) 소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4) 소나무-조릿대 하위군집 2. 소나무-졸참나무군집 3. 소나무-굴참나무군집 4. 졸참나무군집 5.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6. 서어나무군집 7. 신갈나무군집 1) 전형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3)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8. 물푸레나무군집 9. 노린재나무군집 10. 굴참나무군집
        4,800원
        28.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조사기간은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88과 242속 342종 52변종 7품종 등 총 4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키버들, 개족도리, 할미밀망, 민산초나무,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분취 등 총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망개나무 등 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개족도리, 고란초, 망개나무, 백작약, 태백제비꽃, 꼬리진달래, 말나리 등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들의 보전을 위해서는 향후 희귀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보전방안과 번식방법 등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원식물은 관상용 식물 220분류군, 식용 식물 239분류군, 약용 식물 281분류군, 기타용 식물 20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소리쟁이, 취명아주,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큰달맞이꽃, 비짜루국화, 붉은서나물, 개망초, 망초, 뚱딴지, 서양민들레 등 13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약 3.24%, 자연파괴도는 약 4.53%로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