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으로 고려하여 수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정선하고, 학습의 위계나 난이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성되었다. 또한 기본 과정과 심화 과정을 두어 학생 개인의 학습 능력에 따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하는 창의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교육부, 1998). 그러나, 제 7차 교육과정이 현장에 적용되면서 적지 않은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초등학교 입장에서 제 7차 교육과정은 ‘단계형 교육과정’, ‘심화‧보충형 교육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이상적인 교육과정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혼란만 가중되어 왔다. 또한 제 7차 교육과정의 개발 적용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도 부분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예를 들어, 수준별 교육과정의 연구가 현실적인 운영 방안을 토대로 하여 귀납적인 방식으로 설정되기보다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라는 개념을 먼저 설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도를 연역적으로 구안한 점(박경미, 임재훈, 1999), 구성과 제시 형식 및 내용 측면에서 교육과정의 의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방향으로 수학 교과서가 개발되었다는 점(김경자, 정미화, 손지원, 2002; 김홍기, 2001),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방향 및 교과용 도서 제작 의도와는 달리 수학 교과용 도서가 왜곡 또는 변질된 방식으로 활용된다는 점(백석윤, 2001) 등이다(방정숙, 2002 재인용).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그 적용에 대한 여러 문제점과 사회적 교육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중심으로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개정안 작업이 이루어졌고 2006년 8월 29일에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이하 개정안)이 고시되기에 이르렀다. 평가원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현실 적합한 수준별 수업 방안 구축, 2) 교육 내용의 적정화, 3) 수학적 사고력 신장 강조 4) 수학의 가치 제고와 정의적 측면 강조, 5) 진로 연계 강화 및 효율적 운연을 고려한 선택과목 개설(신성균, 고정화, 권점례, 박선화, 이대현, 이봉주, 최승현, 2005). 2007년부터 공모 과정을 거쳐 새로운 교재 편찬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9년도에 1, 2학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개정안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의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22.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에서는 수학과의 성격을 ‘수학의 기초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사물과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사고하고 능력을 기르며, 여러 가지 문제를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교과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교육부, 1998). 결국 수학교과에서 높은 수행능력을 보이는 학생은 향후 일상생활 및 직업 생활에서도 평균 이상의 적응능력을 보인다고 할 수 있기에 수학 지식과 능력에 대한 요구는 계속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이하 장애학생)에게도 예외일 수 없다. 그러나 수학과에서는 특히 처리 속도와 정확성을 요할 수밖에 없기에 이를 지도하는데 있어 많은 이론적 연구와 실제적 적용의 사례가 요구될 수밖에 없다. 장애학생들이 처리 속도와 정확성의 요구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 두 가지 영역이 있는데, 그 하나가 연산기술(computational skills) 습득의 결함이다. 연산기술 습득의 결함은 기본적인 덧셈, 뺄셈, 그리고 곱셈에서의 실패를 가져오는데,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은 연산의 기본원칙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는 데에 있다. 물론 일부의 장애학생들은 기본적인 연산기술을 습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유창한 수준까지 로의 숙달을 시키지 못함으로 인하여 수학과에서의 어려움을 보인다. 두 번째 영역에서의 어려움은 수학과 지식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것이다. 적용상의 어려움에는 시간개념, 금전관리, 측정, 기하, 그리고 문장제 수학문제와 연관된다. 비록 수학적 기술의 적용실패가 수학과에서 특히 중요하게 취급되고는 있지만 기본적인 연산기술의 습득을 제대로 하지 못한 학생이라 하여 반드시 수학적 기술의 적용에서 실패할 것이라는 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Sapiro, 2004). 따라서 장애학생들을 위한 수학과 중재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때에 사전 과정으로서 수학적 기술의 적용과 수학적 조작과 관련된 개념을 이해시키는 방안을 먼저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후속과정에서는 기본적인 연산기술의 습득을 강조하여야 한다. 수학과는 각 학년 수준에서 성취되어야 할 구체적인 목적이 잘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잘 조직된 수업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장애학생들이 초등과정의 일반 수업을 성공적으로 이수하지 못할 때 교사들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34.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written to show the direction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new Korean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will be used for all level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rom 2000. This paper is made by selecting and summarizing "The tentative of 7th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and Senior High School" developed by Sung Kyun K wan University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Committee directed by Ok-Ki Kang. This tentative curriculum will be proved in Ministry of Education and published in February 1998. The new mathematics curriculum is a level-type curriculum in which students study their levels that is not related to their grades. This type of curriculum is tried for the first time. The curriculum devises 20 levels for all of the students from grade 1 to grade 10. Slow learners may not learn a few high levels for ten years. Students in grade 11 and 12 can select a few mathematics subject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hopes and the colleges they want to enter. The main goal of this new mathematics curriculum is the mathematical power which will be the most important basic ability in the coming information society. Also, in this curriculum using technologies is emphasized and the topics available for the technologies are indicated. This new curriculum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37.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학교 수학과 교육 과정은 크게는 두 단계?구분됨을 알 수 있다. 즉, 경험주의에 입각한 생활단원학습시대 주지주의에 입각한 계통학습시대와 현대화시대이다. 해방후 우리 나라는 빈곤에서 생존을 요구하는 농업사회이었으므로 생활과 사회에 직결되는 생활단원학습이 실시된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38.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CTM이 ˝An Agenda for Action(부제:1980년 대를 위한 학교수학에 대한 권고)˝에서 권고하였고, ICMI가 ˝1990년대의 학교수학˝에서 주장했듯이 2000년대를 바라보는 학교수학에 대한 세계적인 경향과 수학자체의 특성에 맞는 수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여기서 수학교육학의 내용에 대해서 고려되어야 할 점을 몇 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1)현재의 학교수학(현재 초·중·고 교육과정) (2)미래의 학교수학(미래에 개선되어야 하는 초·중·고 교육과정) (3)학문으로서의 수학(수학 학문자체의 고초 내용과 심화내용) (4)수학교수·학습방법(문제해결, 컴퓨터를 이용한 수학교육) (5)수학교육학의 심화단계. 위에서 언급한 수학교육학의 단계는 기초단계인 대학과정에서는 수학교육학의 내용이 누가 가르치더라도 똑같은 내용이므로 교과교육학적 측면보다는 전문지식위주의 내용이 강조되어야 하고 심화 단계인 대학원과 그 이상의 단계에서는 수학적인 내용보다 수학교육의 본질적인 면과 교수방법론적인 면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