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5차 스포츠심리상담사 자격연수 참가자의 동기와 연수과정에 대한 평가 및 전반적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총 124명으로 이들은 4일 32시간의 연수과정에 2급 또는 3급 연수에 참여하였다. 개방형 질문과 설문지로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의 연수참가 동기는 2급의 경우 현장지도와 적용, 전문성 제고, 평소관심 순으로 나타났고, 3급의 경우 전문성 제고와 평소관심, 현장지도와 적용 순으로 나타났다. 도움이 된 과목은 2,3급 모두 상담의 원리와 기술/상담실습이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고, 개선요구사항에서는 2급의 경우 교육의 질 향상이, 3급의 경우 일정 및 연수과정의 개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담을 원하는 분야는 2급의 경우 엘리트 스포츠 분야가, 3급은 운동/건강분야와 엘리트 스포츠 분야가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차후 연수는 2,3급 모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절대적이었으며, 1급까지 도전하겠다는 참여자도 70%에 육박하였다. 2,3급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강의내용, 강사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반면 시설, 식사 및 숙소선정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2.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 운동빈도, 주관적 운동강도에 따른 참여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운동 참가 대학생 781명(남=475명, 여=306명)이 스포츠 참여동기와 주관적 안녕감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 다변량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스포츠 참여동기의 내․외적 동기는 주관적 안녕감의 부적 정서를 제외한 정적 정서, 정적 효능, 부적 효능 및 대인관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무동기는 주관적 안녕감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부적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변인군의 설명량과 상대적 기여도는 성별과 운동빈도 및 주관적 운동강도별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였지만, 성별에 관계없이 무동기가 부적 정서와 부적 효능에 영향을 주지만 성별에 따른 내외적 동기의 영향력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내외적 동기와 높은 수준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운동참여를 지속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운동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정적 정서와 정적 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운동강도를 높게 자각할수록 외적 동기보다는 내적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더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를 개발하여 타당화 검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문가 토론을 거쳐 Hermans(1970), Mehrabian(1968), 김신영(1982), 유창열(1985), 황정규(1984)의 성취동기 질문지에 대한 문항을 통합하였고 유아의 면접조사과정을 거쳐 유아에게 적합한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 문항을 추출하였다. 100명의 유아에 대한 예비조사를 토대로 포부수준, 적절한 모험성, 열정성, 성취과제 선호성, 경쟁성, 책임감, 자신감, 인내 요인의 21문항을 선정하였고 서울 지역 국ㆍ공립 유치원 8곳의 만 5, 6세 유아 50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와의 응답을 통한 유아 250명의 자료에 대하여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주성분분석, 직각회전)과정을 거쳐 5개요인(포부수준, 모험성, 성취과제 선호, 자신감, 인내심)의 15문항을 추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가설화된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의 5요인 15문항에 대한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 250명에 대한 자료를 추가하여 AMOS 5.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대우도모수 추정 값과 측정 모델에 대한 적합도 지수 등을 토대로 유아의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의 구조는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에 대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68로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수행관련체력과의 유의한 상관은 준거관련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다집단 분석을 통하여 스포츠 성취동기는 남녀 유아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스포츠 성취동기의 요인에 대한 잠재평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4.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lletier 등(1995)이 개발한 스포츠동기척도(Sport Motivation Scale; SMS)의 한국어판을 제작하기 위해 척도의 번역도입에 따른 일반적인 절차를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점검하는 다단계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절차는 (1) SMS의 한국어 예비판을 제작하고, (2) 예비번역본을 토대로 완성된 번역본의 신뢰도를 점검하고, (3) 타당도를 점검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일반운동참가자와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 2차 예비조사, 본 조사, 검사-재검사에 총 1,159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문항분석과 요인분석(탐색적 요인분석; EFA, 확인적 요인분석; CFA) 등을 통해 6요인 27문항으로 구성된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내적일관성(Cronbach's α)과 안정성(검사-재검사)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질문지의 번역도입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 비교문화적으로 논의 하였으며,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동기의 원인과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29.
        199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tivation in group sports concerns about facilitating coorperation among members of a team. Many forms of influence act upon team motivation because a team conducts its business before the observers who are emotionally involved in the results of its performance. Furthermore, an individual as a member of a team retains his own personal motive as well as group motive. For arousing team motivation, coaches should consider individual members as well as their team as an unit. As ways to build motivation of individuals, a brief discussion of three different approaches; the supportive approach, the reinforcement approach, and the pride-in-approach are presented. For an approach to team motivation, Atkinson`s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is discussed. Atkinson theorized that group motivation is high when the desire for group success is stronger than the desire to avoid group failure. To develop a desire for group success to arouse team motivation, coaches should (1) set a realistic goal, (2) combine personal and group goals, (3) make individual members internalize their group goal (4) and get pride from their performance. The strategies for arousing team motivation are presente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