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

        2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아용 기저귀 제조용 필름과 부직포에 계피, 로즈마리, 유칼맆툽스, 페퍼민트 추출물을 중량비 0.005%(추출원액의 0.5%를 마이크로캡슐로 만든 후 필름과 부직포에 1%의 마이크로캡슐 처리)를 처리한 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 화랑곡나방 4령 유충의 유인억제효과를 조사한 후 이 결과를 토대로 기저귀 완제품을 제작하여 화랑곡나방 4령 유충의 유인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질을 처리한 기저귀 필름에서의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피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피 추출물질을 처리한 필름에서 기피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F=4.21 df=3,21 P<0.0158), 추출물질을 처리한 부직포에서의 화랑곡나방 유충의 기피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피 추출물질을 처리한 필름에서 기피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F=16.38 df=4,30 P<0.0001). 각 추출물질을 처리하여 만든 부직포로 제작된 기저귀에서의 유인억제효과는 처리구와 무처리구 기저귀를 혼합 적재하여 대량의 화랑곡나방 유충을 투입하여 유인억제효과를 기저귀 표면과 내부에서 발견된 유충수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기저귀 표면에서의 유인억제효과는 모든 처리구, 무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F=1.76 df=4, 45 P<0.1536), 기저귀 내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유칼맆툽스와 계피 추출물 처리 제품에서 유인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F=0.84 df=4, 45 P<0.5056).
        3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oxidant activ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lygonatum stenophyllum, Angelica gigas, Acanthopanax sessiliflorus and Angelica pubescens extracts cultivated in Jecheon prepared with different solvents were determined by 1,1-diphenyl-2-picrylhydrzyl(DPPH) radical scarvenging ability and thiocyanate method . The highest hydroxy radical scarvenging activity was shown in Acanthopanax sessiliflorus, while the lowest was in Polygonatum stenophyllum. Angelica gigas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by thiocyanate method. Methanol extracts and water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ethanol extracts. Angelica pubescens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s.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s or flavonoid contents was established by simple regression(r>0.8) in each solvent extracts. Among medicinal plants cultivated in Jecheon, Acanthopanax sessiliflorus and Angelica pubescens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hanol or water extracts of several medicinal plant cultivated in Jecheon could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s.
        4,000원
        31.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ssible nematicidal effects of plant extracts of 25 species uninfected by M. hapla were observed at the 5 times dilutions in all treatments and at the 10 times dilutions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Acorus calamus, Achyranthes japonica, Agrimonia pilosa, Dianthus chinensis, Geum aleppicum, Houttuynia cordata, Rudbeckia bicolor, Ricinus communis, Scrophularia buergeriana, Sesamum iindicum, Sedum kamtschaticum, and Sanguisorba officinalis. The 13 species plant extracts of 5 times dilutions were evaluated for the suppression effects on reducing densities of M. hapla by treating to C. lanceolata sown and transplanted later in pots. All the plant extracts showed suppressive effects on M. hapla except for A. pilosa. The suppressive effects of A. asphodeloides, A. japonica, A. calamus, D. chinensis, R. communis, and S. buergeriana were over 80%. When the selected plants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soil before C. lanceolata was sown, the numbers of root galls, egg sacs and J₂ appeared lower in the treatment of 12 plant species than ill control except for S. indicum. But the suppressive effects were lower than the effects of selected plants being cultivated simultaneously in the field. A. calamus and A. japonica exhibited over 70% suppressive effects, among the tested plants.
        4,000원
        32.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edicinal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 This area had very rich and diverse flora; 495 taxa with l05 familes, 231 genera, 418 species, 1 subspeies, 63 varieties and 13 forms. The 94 medicinal plants were distributed in Ulleung. They were composed of 10 endemic species, 22 rare species and 62 economic species respectively.
        4,500원
        34.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약용식물내 에스트로겐성과 항-에스트로겐성을 조사하고 항암인자를 발견하기 위하여, 본연구는 에탄올추출로 제조된 9종류의 한국산 약용식물에 대하여 재조합효모와 MCF-7 사람유방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스크리닝하고 비교하였다. 재조합효모를 이용한 실험결과, 7종류의 약용식물에서 에스트로겐성이 나타났고, 4종류에서 안드로겐성이 나타났다. 또한 MCF-7 사람유방암세포주를 이용한 실험결과, 8종류의 추출물이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스페놀 A와 동시 처치한 경우에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yeyrrhiza uralensis, Cassia tora, Syringa velutina, Zingiber officinale, Malva verticillata, Panax ginseng C.A. Meyer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서 에스트로겐에 양성인 사람유방암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티는 흥미로운 결과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한국산 약용식물이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항암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의 활성을 조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7.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study the antitumoral effect of Selaginella tamariscina extracts, the cytotoxicities to human histiocytic leukemia cells (U937) and lymphocyte were measured by MTT method. The water extract of Selaginella tamariscina was partitioned into chloroform (CHCl₃), ethylacetate (EtAc), n-butanol (BuOH) and water (H₂O), successively. CHCl₃, EtAc and BuOH fractions of Selaginella tamariscina showed the cytotoxicity to the U937 cells but they had no effect on the cytotoxicity of lymphocyt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tumor-specific cytotoxicity of Selaginella tamariscina fractions might have been attributed to their genotoxic effect on actively proliferating cells. The express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was then evaluated by northern blotting. The increased expression of p53 was induced by Selaginella ramariscina fraction V but no expression of p53 was induced by CHCl₃, EtAc, and BuOH fractions of Selaginella tamariscin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expression of p53 induced by Selaginella tamariscina water extract (fraction V) should be required for the cytotoxicity on U937 and the other fractions of Selaginella tamariscina mediated the U937 disruption.
        4,000원
        38.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와 일본(日本)에서 야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약용식물(藥用植物)의 바이러스병을 조사한 결과 33종의 식물이 자연상태에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에 감염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중에서 개맨드라미(Celosia argenteia)와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의 모자이크병(가칭(假稱)), 쥐방울덩굴(Aristolochia debilis)과 번행초(Tetragonia expansa)의 괴저(壞疽)모자이크병(가칭(假稱)), basella(Basella rubra)윤문병(輪紋病)(가칭(假稱)), 석결명(Cassia torosa)과 시호(Bupleurum falcatum), 당귀(Angelica acutiloba), 구릿대(A. keiskei), 회향(Foeniculum vulgare), peucedanum(Peucedanum japanicum)의 반문병(斑紋病)(가칭(假稱))등 11종의 바이러스병명(病名)을 새로히 명명(命名)하였다.
        4,200원
        39.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年)부터 1989년(年)까지 경북지역(慶北地域)을 중심(中心)으로 경남(慶南)과 충북(忠北)의 일부지역(一部地域)에서 조사(調査)한 약용자원식물(藥用資源植物)은 118과(科) 331속(屬) 456종(種)이었고, 이들중 Compositae, Liliaceae, Leguminosae, Labiatae, Rosaecae, Polygonaceae, Umbelliferae, Gramineae, Solanaceae, Cucurbitaceae, Ranunculaceae, Cruciferae, Rutaceae, Araliaceae, Araceae, Moraceae, Scrophularinaceae, Caryohpyllaceae, Convolvulaceae 등 19과(科)에 속하는 식물이 249종(種)으로 조사(調査)된 식물(植物)의 반수이상(半數以上)을 차지하고 있었고 나머지 207종(種)은 99과(科)의 식물(植物)로 분류(分類)되었다. 조사식물(調査植物)의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다년생(多年生)이었으며, 개화기(開化期)는 대부분 6-8월(月)이었다. 재배포장(栽培圃場)과 전시포장(展示圃場), 정원(庭園), 공원(公園) 등지(等地)에 재식(栽植)되어 있는 78과(科) 213종(種)의 식물(植物)중에서 약용자원식물(藥用資源植物)의 주용도(主用途)는 관상용(觀賞用)이 93종(種), 약용(藥用) 50종(種), 채소류(菜蔬類) 27종(種), 식품용(食品用) 14종(種), 과채류(果菜類) 5종(種), 과수류(果樹類) 13종(種), 유료용(油料用) 5종(種), 다용(茶用) 6종(種), 녹음수(綠陰수樹) 및 가로수용(街路樹用)이 9종(種), 섬유용(纖維用) 등 기타의 용도(用途)가 14종(種)이었다. 조사식물(調査植物)의 약용부위(藥用部位)는 지하부(地下部)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경엽(莖葉), 전초(全草), 화기(花器), 종자(種子) 및 과실(果實)의 순(順)이었다. 약용효능은 이뇨(利尿), 위장병(胃腸病), 강장, 진통(鎭痛), 해열(解熱), 진해(鎭咳), 지혈(止血), 소염작용(消炎作用)의 식물(植物)이 대부분이었으며 항암효과의 식물(植物)도 9종(種) 조사(調査)되었고, 한약제(漢藥劑)로 많이 이용(利用)되고 있는 식물(植物)은 87과(科) 191종(種)이었다.
        4,300원
        40.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 내 분포하는 관속 식물상을 파악하여 식물분포를 밝히고, 향후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의 주요 식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해 수행하였다. 2017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은 83과 245속 372종 4아종 45변종 8품종으로 총 4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Appendix 1). 이 중 한국특산 식물은 키버들, 참개별꽃, 진범, 갈퀴현호색 등 19분류군이며, 환경부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개병풍, 가시오갈피, 대성 쓴풀, 복주머니란으로 총 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9과 34속 34종 2변종 총 36분류군이 나타났다. 침입외래식물은 토끼풀, 달맞이꽃, 지느러미엉겅퀴 등 4과 8속 8종 총 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시화지수(UI)는 2.5%, 귀화율(NI)은 1.9%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양치식물은 7과 9속 7종 2변종으로 총 9분류군이 나타났고, 양치식물계수는 0.52로 나타났다. 대한약전 기준 약용자원식물은 16과 24속 24 종 2변종 1품종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민속식물은 772과 175 속 216종 28변종 3품종 4아종 25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대덕산‧금대봉에서 출현한 428분류군 중 58.6%가 민속식물로 나타났다. 민속식물을 분류 별로 보면 가장 많은 213분류군이 식용 식물로 분류되었다. 약용식물은 161분류군이었으며, 향신용식물은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된 대성쓴풀과 복주머니란 등의 희귀식물은 시급히 보호 및 보전에 필요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나도범의 귀는 북방계식물로 남한 내 자생지가 검룡소 1곳이 보고되고 있어 자생지보호의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