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4.
        199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25.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대학에서 실시된 비상 온라인 영어 수업이 원어민 교수자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2020년 1학기와 2학기 사이에 어떠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1학기에는 88명, 2학기에는 106명의 교수자가 설문에 참여 하였으며 그 결과, 두 학기 참여자 대부분은 학생들의 영어 능력과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비상 온라인 수업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소통, 협업, 공동체 의식은 일반 수업에 비해 낮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학기에 비하여 2학기에 앞서 언급한 모든 분야에서 현저히 발전된 모습을 보였으며 학생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을 보였다고 답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교수자들은 대부분 비상 온라인 수업 방식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두 학기에 걸쳐 실시된 영어 프로그램이 성공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한국의 기존 기술 인프라와 학생들의 전자기기에 대한 숙련도, 교수자들의 수업을 돕기 위해 매주 실시 되었던 교육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또한, 소규모 수업이었다는 것과 새로운 프로그램이 아닌 기존의 프로그램을 적용했다는 것도 교수자들이 비상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26.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인 중등 영어교사(KETs) 2명과 원어민 영어보조교사(NETs) 2명의 의견을 바탕으로, 현재 코티칭 수업에 대한 그들의 시각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에서의 개인적 교수경험을 기초로 한 코칭에 대한 정의, 코티칭에 대한 현재의 태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친 요소들, 더 나은 코티칭 수업을 위해 필요한 점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온라인 비디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동료검토 과정(Peer debriefing s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네 명의 영어교사 모두가 코티칭의 개념, 코티칭 수업의 목표, 어떻게 코티칭 수업을 하고 피드백을 공유할 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그 실천 가능한 방법을 배울 기회가 부족했다. 그로 인해, 한국인 중등 영어교사와 원어민 영어교사 사이 수업에 대한 주인의식(Sense of ownership)이 불균형하고, 코티칭에 대한 서로의 의견이 암묵적으로 불일치하는 상황이 야기되었다. 또한 원어민 교사와의 코티칭 관련 협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바 있었다. 한국인 영어교사들은 코티칭 수업에 대한 진지한 의견을 공유 하려는 시도 자체가, 그들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에 의해 "방해 (혹은 간섭)”으로 받아들여질 것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네 명의 참여자들 모두 코티칭에 필요한 요소인 협력하는 방법을 제대로 연수 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을 인터뷰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코티칭 교사들 사이에 건설적인 협의를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27.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fidenc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ir assessment of English teaching taught by native speaker English teachers. A total of 1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sked on a 5-point Likert scale instrument to assess their native English teachers in terms of their teaching ability, provision of opportunity to use English, classroom management, and language assessment ability.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rate how much they were confident with their English. All of the responses were submitted to the SPSS 22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es. First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how much they felt confident with their English. Secondly, a MANOVA was run to investigate any group differences in how they perceive their native speaker teachers’ teaching ability, provision of opportunity, and language assessment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nguage confidence was indeed an important variable not only in subjects’ learning English but also how they perceived their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s a whol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also discussed.
        2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oungcheol Kim and Jaewoo Shim. 2017. Discriminant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s with Native Speaker Instructors Hel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f English. Studies in Modern Grammar 96, 235-251.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native speaker teachers of English that were perceived by a group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f English in a teachers college. 79 subjects responded to a Likert-type questionnaire with 15 items aimed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current and former native speaker teachers on their campus. The questionnaire measured the four aspects of teaching: the ability to teach, the ability to offer learning opportunities, the ability to manage and create friendly classroom climate, and the ability to assess their performance. The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aspects that separated satisfied from unsatisfied group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two independent variables (i.e., the native speaker teachers’ ability to offer learning opportunities and their ability to tea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separating the two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native speaker teachers of English need to make efforts to design lessons that may prompt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while keeping high levels of teaching ability congruent with students’ expectations.
        2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원어민 대학교원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 실태 및 직업 만족도 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총 10개 대학에서 근무하는 44명의 원어민 교원들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 였다. 설문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영어 원어민 교원들의 직업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두 집단(기혼집단과 미혼집단) 간의 평균 비교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고용 보장 항목에 서 기혼집단의 평균 점수가 미혼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참여자들을 한국어 능력 수준에 따라 두 집단(초급/상위초급집단과 중급/고급집단)으로 나눈 후, 평균 점수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자신들의 직업 에 대해 다소 불만족하다는 견해가 있었다. 원어민 교원들은 학교에서 자신의 일에 대해 고마워하거 나 자신들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소속감을 충분히 느끼지 못한다고 밝혔다. 아울 러 직업을 통해 얻는 혜택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원어민 대학교원들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고 대학 영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그들과의 원활한 소통이 필요하며, 소 속감 및 자존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장치 마련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30.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영어교육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온 원어민 영어교사에 대하여 그들의 영 어수업과 학교 및 학교 밖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탐구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들의 보다 직접적이고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는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두 명의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 명의 한국인 영어 교사의 생생한 경험담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부족한 교사 연수, 상이한 교육 환경, 협력수업 시스템의 문제, 소통과 공동체 부족 문제, 그리고 학교 밖 사회 활동에 대한 지원 부족이 주요 문 제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교사 연수와 협력 수업에 대한 토 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는 교사들이 협력 교수를 위한 학습자 또는 동료 코치라 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원어민 영어교사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31.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변화하는 다문화 환경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사회적응과 주체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과 일터에 관한 보다 세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원어민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경력강사 3명을 대상으로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그들의 삶과 일, 학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를 통해 모국에서의 삶과 이주 후의 삶, 그리고 원어민 강사가 되기까지의 학습을 통한 성장과 변화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들에게 일과 학습은 구분되는 개념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며 삶의 기반이 되며 일터는 세상과 소통하는 만남의 장이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는 슛제의 인생진행의 과정 구조와 반 게넵의 통과의례의 따른 분리, 전이, 통합의 과정으로 분석이 가능하였다. 이들은 삶에 통제력을 행사하는 주위의 상황인 ‘진행 곡선’에 맞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추진해 나가는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인생과정은 모국으로부터의 분리단계, 이주 후의 불안정한 백지상태인 전이 단계를 거쳐 원어민 강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통합의 단계에 이르렀다. 통과 의례 제 단계들에서의 경험과 학습들은 결혼이주여성들을 역량 있고 좋은 사람, 자신감 있고 참을성 있는 사람, 길을 가르쳐 주는 사람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가진 원어민 강사로 성장하게 했다
        32.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university learners' perception of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NESTs) and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NNESTs) in the University English for academic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data collection were implement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118 students participated for NEST courses and 127 for NNEST courses. Among them 10 students(5 from NEST, 5 from NNEST) were interviewed to consolidat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perceived more positively in the English speaking courses by NEST with regard to improving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NESTs' teaching attitude which intrigu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rying to ask questions in class, and keeping their tense during the class with English language code. However, students in NNEST courses felt less anxiety, used more L1 in group work, and tended to ask questions later the class in Korean than in NEST course. Students in NNEST courses perceived positively about L1 use as long as it is controlled. These findings are valuable implications for NNESts to manage their EAP courses effectively.
        3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원어민 영어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교사로서의 삶을 질적연구를 통해 드러내는 데 있다. 과거 1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원어민 교사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그들과 관련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연구들 대부분은 원어민 교사에 대한 한국인 교사나 학생들의 인식조사, 혹은 원어민 교사 활용의 효과, 문제점 등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가르침과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없이, 그들과 관련한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은 현상의 표면만을 읽을 뿐이다. 이에 연구자는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원어민 교사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들과 관련한 교육정책 혹은 다른 교육 주체들과의 관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