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cidents related to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s may cause serious impacts on neighborhood and surrounding areas. It is essential to have a real-time safe management system for incidents prevention of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s. Currently, the system is not integrated into one channe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trol an incidents response. Another problem is that event status is not appropriately shared among authorities having responsibilities taking down the incidents. This paper investigates previous studies covering the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hazard material transports and suggest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helps communicate effectively and promptly.
        4,000원
        22.
        201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에서의 안전확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요즘 국내의 관심을 집중시켰던 해양사고중의 하나는 세월호 사고와 더불어 우이산호 사고이다. 이 사고는 2014년 1월 31일 여수 GS-Caltex 원유부두로 진입하던 싱가포르 국적 초대형 유조선(VLCC) “우이산호(WU YI SAN)”가 원유부두와 원유이송 송유관과 충돌하여 송유관 내부에 있던 유류가 해상으로 유출된 사고로서 1995년 여수해안에서 발생한 5천톤 가량의 유류유출사고가 발생한지 거의 20년만의 일이다. 울산항의 유출사고 사례는 2013년에 대형정유업체인 SK 에너지에서 운영하는 부유식 호스의 파손으로 인한 유출사고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각 회사에서 운영중인 자체안전관리계획서 승인제도는 위험물 취급에 관한 최고경영자의 관심 결여 및 정부당국의 안전 관리 감독 소홀로 인하여 큰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현행 개항질서법상 규정되어 있는 위험물 취급 시설물에 대한 자체안전관리계획서 승인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위험물 취급 시설물에 기인한 사고방지, 환경보호 및 안전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6,600원
        2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 취급자의 직무에 기반을 둔 국제해상위험물 전문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해외사례 검토를 통하여 직무별 교육과정 세분화 방안을 모색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위험물 취급자들의 개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해외사례 검토 결과, 미국의 경우 위험물 취급자의 직무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었고, 영국에서는 위험물의 종류 및 운송수단에 따른 교육과정이 세분화되어 운영되고 있었으나, 국내에서는 다양한 직무에 종사하는 위험물 취급자에 대하여 동일한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설문조사 결과, 현 국내 교육과정의 효과가 높지 않고, 응답자들이 IMDG Code 교육의 확대 실시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제공을 주로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결론으로 육상의 위험물 취급자를 육상현장직, 육상사무직, 육상운송직의 세 가지 직군으로 분류한 후 각 직군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또한 현 수도권에 집중된 교육 실시지역을 피교육자의 수요에 맞추어 권역별로 확대 실시할 것과 On-line 교육과정의 개설을 제안하였다.
        4,000원
        25.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 maybe moving dangerous goods tanks of motorist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supervision of the fire department and fire prevention education as a blind spot on the part of a large party evidence of markers of contamination loading of dangerous goods according to the type of education that can be handled only by preparing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accident is blocking the moving path of Dangerous Goods moving tanks and loading dangerous goods on fire budget move the path that corresponds to the report received by securing the extinguishing agent is required to neutralize the ash and fire suppression and repression through skills training from large disasters in advance blocking devices should prepare that will
        4,000원
        2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more than 38,000 types of hazardous material(HAZMAT) are distributed, accordingly the accidents during transportation are also increasing. The agencies related to HAZMAT such as Environment Ministry,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National Police Agency have their own regulations. However,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HAZMAT are different to each other, which causes many problems in response to transportation accidents.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HAZMAT and the classification code using CAS number are suggested to manage HAZMAT efficiently.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and standard classification of HAZMAT, the rapid and systematic response to transportation accidents related to HAZMAT is expected to be possible.
        4,000원
        27.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위험물 운송 사고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위험물 운송 사고는 특성상 한 번의 사고로 인해 주변의 인명 및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된다. 이러한 위험물 운송 사고의 대응을 위해 각 기관들이 있지만 기관별로 메뉴얼 및 방침이 다르게 적 용되어 있어 운송 사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이 미비한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운송 사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잘못된 대응계획으로 사고처리가 늦어질 수도 있다. 사 고시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위험물질의 종류와 양, 사고위치, 주변상황 등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어야 사고대응에 대한 장비, 인력 편성 등 정확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국내의 정부 유관기관별로 위험물질 사고대응메뉴얼을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운송 및 수송 사고에 대한 사고대응메뉴얼의 부재로 2차적인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험물질의 표준화하고 이에 대한 사고대응매뉴얼을 개발 하여 위험물 운송 사고시 사고에 대한 정보를 유관기관에게 신속·정확하게 전파하여 통합적인 초동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4,600원
        28.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활을 향상시키고 개선하기 위해 화학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 되고 있고, 또한 국내에는 38,000여종의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물질은 그 이점에 도 불구하고 사람이나 환경에 유해 영향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어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서는 3,000여종을 위험물로 분류하여 규제하고 있다. 위험물에 관련하여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총포ㆍ도검ㆍ화약류단속법, 원자력 진 흥법, 농약관리법 등에서 개별적으로 규정하고 분류하고 있어 위험물질에 대한 표지사 항이 해당 부처에 따라 상이하여 혼란을 야기하고 있고, 위험물에 대한 품목 및 품명 의 고정으로 인하여 새롭게 생성된 위험물질에 대해 적용하는 데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 위험물질을 개별법에 따라 관리함으로써 중복된 위험물질 분류 및 관리 의 문제가 있으며, 위험물질 분류에 있어서 위험물질에 따라 수송수단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수송수단별(도로, 철도, 해운, 항공) 위험물질에 대한 세분화된 자료가 부족 하다. 따라서 수송관점에서 표준화된 위험물 물질정보의 분류와 코드화 방안개발이 필 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ㆍ외 문헌 검토 및 위험물에 관련된 법제도 비교를 통하여 위 험물 수송관리체계 정비방안과 위험물 수송사고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기존의 위험물 분류체계에서 운송관점에서의 위험물 매칭테이블을 구축하고 신속한 사고대응을 위한 위험물질별 코드화 방안을 제안하도록 하겠다.
        4,300원
        2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ypes and quantities of Hazmat and Hazmat transportation are gradually increasing, keeping pace wit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t present the safety management for Hazmat transportation only considers reducing accident probability, but even when an accident involving Hazmat-carrying vehicles occurs, that is not regarded as a Hazmat-related accident if the Hazmats do not leak out from the containers carrying them. Thus the methods to reduce risk (Risk=Probability×Consequence) have to be developed by incorporating accident probability and consequence.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 technical method is invented and is automatically able to evaluate the consequence by different types of Hazma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risk on the links classified by the Hazmat transport pathways. In order to mitigate the degree of risk, a method of 7-step risk management on Hazmat transportation in railway industries can be suggested. (1st step: building up GIS DB, 2nd step: calculating accident probability on each link, 3rd step: calculating consequence by Hazmat types, 4th step: determination of risk, 5th step: analysis of alternative plans for mitigating the risk, 6th: measure of effectiveness against each alternative, and 7th step: action plans to be weak probability and consequence by the range recommended from ALARP). In conclusion, those 7 steps are used as a standardization method of optimum transportation routing.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optimum transportation routing, optional route can be revise by verification.
        4,2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