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2.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ee different perceptions based on major 23 part planning attributes. These party planning attributes were categori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groups of respond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sample data; the first group is a group of people experienced parties before, the second group is a group of people intended to attend parties in near future, and the third group is a group of people who want to be a party planner.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ress their own perceptions on party-planning attributes. The study shows that the perceptions of respond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Particularly, prospective party planners emphasize on artistic attributes, such as harmony between dishes and foods or between the party concept and foods. However, party attendees more importantly considered other attributes, including the event suitable to the party type, places held a party. The research suggests that understanding party attendees' perception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party events that can reflect customers' desires.
        4,300원
        25.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2000년과 2001년 5월 9월 사이에 각각 750명과 9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평균 67.7%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줄 수 있는 최대의 이점은 식량난해결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현재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18%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망형이 49%를 넘어서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먹는 생물 유래의 식품에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바르게 알고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40% 정도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정도를 유지하였다. 유전자재조합 옥수수인 스타링크의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66%나 되었던 반면 2001년 7월부터 실시된 유전자재조합 표시제의 시행에 대해 알고있는 소비자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4,000원
        27.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normative data and comparing cognitive abilities of patients with stroke and normal population by administering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The subjects were 31 patients with stroke and 19 adults in a good heal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tatistically low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items except for object identification, shape identification and copying geometric form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alysis of items based on affected sid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 and visuomotor organization and thinking operation.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eatment period and visuomotor organization.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TCA scores and age and onset of the disease.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TCA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se data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line.
        4,000원
        28.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igh-school students importance and performance toward restaurant service attributes for the marketing strategy development. Specific objectives were to: a) investigate restaurant patronag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b) identify the difference of patronage behavior among three types of restaurants; and c)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mong three types of restaurant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hand-delivered to 400 students enrolled 9th grade in 4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A total of 320 students (80%) was responded to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wo parts with 47 restaurant service attribute statement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total of 57% was female and 61% of respondents spent less than ₩5,000 per week on eating out. 2. The frequency of visiting the low-priced restaurant was 8.9 times per week. 3. Reasons for being a patronage to low- (≥₩2,000) and mid-priced ( 〈₩2,000 and ≥₩5,000) restaurants were hunger, appointment, and seeking favorites with freinds but the reason for high-priced (〈₩5,000) restaurants was celebrating special days with parents. 4.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for selecting restaurants was family and friends, T.V. advertising, and bulletin board. 5. For the low-priced restaurants, food, hygiene, price, and location were rated as important; location, price, menu, and food were rated as satisfied. 6. For the mid-priced restaurants, hygiene, food, price, and menu were rated as important; food, hygiene, service, and menu were rated as satisfied. 7. For the high-priced restaurants, hygiene, food, and atmosphere were rated as important; food, hygiene, atmosphere, and menu were as satisfied. 8. According to paired t-test, the scor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the highest in the hygiene attribute; differences were high with the low-priced and low with high-priced restaurants.
        4,000원
        2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輸出商品이 輸入國의 消費者들에 의해 얼마나 選好되는지의 여부는 주로 原産地國 情報와 商標國 情報를 통해 상품의 품질에 대한 消費者의 認知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硏究는 韓國의 소비자들이 韓國, 美國 및 日本의 純粹製品과 混合製品의 品質에 대한 각각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正確性, 迅速性, 使用上의 容易性 등 品質의 主要 屬性에 따라 原産地國 및 商標國의 이미지를 비교·평가하고, 國際經營戰略에 있어서 이의 應用方案을 모색하였다. 본 硏究는 低關與製品인 학습용 계산기에 대한 說問紙를 작성하여 우리나라 3개대 학생150명을 대상으로 設問調査法에 의해 이루어졌다. 說問은 각 屬性에 1에서 7점까지 점수를 주는 쎄븐스케일의 語義差異法을 사용하였으며, 商標國과 原産地國을 행렬로 조합하여 製品屬性別 評價를 t-檢證하였다. 硏究의 주요 發見內容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製品의 評價에 있어서 품질의 모든 속성에서 日本에서 제조된 日本商標의 製品이 韓國이나 美國의 그것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韓國製品과 美國製品 사이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製品平價가 經濟發展 水準과 正의 相關關係에 있다는 旣存硏究와 상이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는 消費者의 특정국에 대한 民族的感情이 제품의 原産地國 이미지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示唆해 주었다. 둘째, 原産地國이 商標國보다 중요하게 평가된다는 기존의 연구가 재확인되었다. 한편 原産地國이 先進國일 경우에는 商標國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으나, 原産地國이 後進國일 경우에는 상표국이 보다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5,800원
        3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분량, 유분량, 피부밝기, pH 등 피부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들은 환경적, 유전적 요소에 따라 다르게나타난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인 피부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감성적인 피부 특성과는 차이가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임상 연구들은 절대적인 피부 변화를 통한 사람들의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국가별로 절대적인 피부색의 차이 뿐 아니라 실제 피부색의변화에 따라 본인들이 인지하는 피부 밝기에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시아 3개국 총 410명의피험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본인들이 생각하는 피부밝기를 3단계로 구분하여 응답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피부 밝기 변화에 따라 실제 피부색은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국적에 관계 없이모든 참가자들이 공통적으로 피부색이 밝다고 느낄수록 실제 피부 밝기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절대적인피부색과 피부가 밝다고 느끼는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게다가, 피부 붉은기와 노란기의 변화도 국가별로 다른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판단 할 때 본인들의 피부 밝기를 인지하는 요소는 절대적인 피부 밝기가 아닌 국가별로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의 내용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이에 대한 공통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4개 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36명을 대상으로 SRT III (science reasoning task III)를 사용하여 인지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에서 10개의 과학 개념을 추출하여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분석틀로 내용수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공통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51%가 형식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나, 30%의 학생들과 19%의 학생들은 각각 과도기 수준과 구체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며, 형식적 조작기 수준의 학생 비율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 6종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물질 단원 과학 개념들의 내용수준은 대부분 초기 형식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나, 같은 과학 개념이라도 설명하는 수준과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답변의 수준 차이로 인해 교과서별로 내용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과학교사들은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CAT 분석틀로 분석된 실제의 내용수준에 비해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의 불일치와 과학교사들의 과학 개념 내용수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 내용수준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교사들이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사전에 파악하여,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고려하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