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31.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고품질 다수성 생강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해 국내에서 수집한 우량생강 24클론을 포장과 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주요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조사된 클론중에서 수량과 6-gingerol 함량에서 높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포장에서는 CG9579(3520kg/10a)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CG95134, CG9512, CG96109, CG9596 순이었다. 우량 클론으로 선발된 클론중 6-gingerol 함량을 조사한 결과 CG9579가 4.44mg/g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CG9583이 4.35mg/g, CG95134가 4.32mg/g순이었다. 하우스에서 는 수량이 CG9503과 CG9521 클론이 10a당 5529kg으로 가장 높았고, CG9515, CG9578, CG9579, CG96103 그리고 CG95105 클론이 10a당 4,000kg이상의 수량을 보았다.
        34.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수류 청예용 1대잡종 품종육성을 위해서 1986, 1987년에 실시된 수수 유전자원의 특성조사 결과를 평균 연관 군집 분석과 주성분 분석법에 의한 품종군 분류법으로 교배모본을 선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수 단수수 및 수수 수단그래스 교잡군 육성을 위하여 각 군별로 개화기가 유사한 것 중에서 초고 및 형태적 형질이 다양한 특성을 지닌 것들을 교잡군의 모본으로 선정하였다. 2. 수수류의 품종군 분류에서는 √D2 에 의해 3개 계통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I 군은 수단그래스, II군은 단수수, III군은 종실용 수수였고, 수단그래스와 종실용 수수와는 원연관계였다. 3. 주성분분석의 결과 제5주성분까지만 취했을 때 전체 성분의 88.3%, 제 1, 2의 2개 주성분만으로는 59.3%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 주성분에 대하여는 수단그래스와 종실용 수수, 제1, 2주성분에 대하여는 단수수와 수단그래스 및 종실용 수수가 잘 구분되었다. 한편 제1주성분은 이삭밀도와 형태, 백립중, 식물체색, 종실의 영 피복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 제 2주성분은 개화기간, 초고, 까락의 유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이상의 결과로 선정된 품종들을 청예용 품종육성을 위한 교배모본으로 사용할 때 F1 의 잡종강세가 높고, 그들 양친의 조합능력에서 계통간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