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2.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건강기능성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자외선 처리를 하였을 때 매향, 장희, 육보 딸기의 생물활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과실류 및 채소류의 수확 이후에도 세포 활성이 유지된다면 자외선 등 여러 가지 외부 자극을 통해 2차 대사산물이 세포 대사에 의해 유도합성이 가능하다는 기작에 근거하여 딸기의 생물활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가설에 근거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딸기의 생물활성은 항산화 효능, 해독화 효소 발현 조절 능력, 암세포 사멸 능력 및 항염증 효능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평가 결과에 의하면, 딸기의 품종과 UV 조사량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딸기 수확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항산화 효능, 해독화 효소 발현 조절 능력, 암세포 사멸 능력 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항염증 효능은 자외선 처리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딸기 수확 이후 자외선 자극을 통해 생물활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후속연구를 통해 보다 정밀한 기작에 대한 규명이 뒤따라야 함을 또한 지적해 두고자 한다.
        4,000원
        2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등식물은 고정된 장소에 서식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오염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회피할 수 없다. 대기 오염 지역과 청정지역에 서식하는 가로수의 이온화 방사선에 대한 효소활성 변화를 이용하여 대기오염 정도를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염된 대기 속에 서식하며 대기에 포함된 오염물질로부터 지속적으로 산화스트레스를 받아온 식물체의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화학적 저항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항산화 효소와 자유라디칼 제거능,
        4,000원
        29.
        2009.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을 파악하고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 항목의 적절성을 알아보며 전동휠체어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와 개선안을 제공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A 종합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를 받은 63명을 대상으로 전동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에 대해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질문지는 대상자의 배경정보 9문항, 활용도 관련 9문항, 전동휠체어 사용 환경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현행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 항목에 대한 평가에 대한 세부 검사도구는 표준화된 Purdu pegboard test, MMSE-K, K-MBI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에 대한 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와 사용 환경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가 전동휠체어 평가 항목으로서 적절하고, 전동휠체어 활용도 역시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와 개선안 제공을 통해 전동 휠체어 사용자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고 일상생활에서 역량을 강화하여, 사회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연구에는 외국 논문들의 전동휠체어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과 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3가지 건사항목의 구체적인 시행방법 및 기준을 모색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33.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nized concrete structure becomes superannuated gradually and its accelerated subsequent deterioration process leads to corrosion of steel while it ages. Recently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concern about remodeling such superannuated concrete, including the basic structure of concrete, has been rapidly growing. Alkali restorative, which restores alkalinity in carbonized concrete structure, is used in the field of remodeling in order to improve the property of concrete structure.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which restore alkalinity in carbonized concrete. The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ele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alkali restorative which mainly consists of silicic lithium metallic salt while examining the durable effectiveness of the factors (such as water permeation, surface erosion, elution of alkali, etc.), which will continuously affect concrete as deteriorating factors even after the restoration of alkali. The result shows that the alkali restorative consisting mainly of silicic lithium contributes to water-resistance, surface strength, and long term durability of alkali due to water permeation in carbonized concrete.
        4,000원
        37.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nges in DNA damage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fter irradiation. Beef, pork and chicken were irradiated at 1.0, 3.0 and 5.0 kGy and stored for 6 months at -20℃. The comet assay was applied to the sample muscles at the beginning of irradiation and at the end of storage. Muscles were isolated, sliced, and the suspended cells were embedded in an agarose layer. After lysis of the cells, they were electrophoresed for 2 min. and then stained. DNA fragmentation in tissues caused by irradiation was quantified as tail length and tail moment (tail length × % DNA in tail) by comet image analyzing system. Right after irradiation, the differences in tail length between unirradiated and irradiated muscles were significant(p〈0.05) in beef, pork and chicken. With increasing the increasing do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nger extension of the DNA from the nucleus toward anode was observed. Similarly even 6 months after irradiation, all the irradiated muscles significantly showed longer tail length than the unirradiated controls. The results represented as tail moment showed similar tendency to those of tail length, but the latter parameter was more sensitive than the form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et assay could be one of the simple methods of detecting irradiated muscles. Moreover, this method suggest that using comet assay, we were able to detect DNA damage differences even after 6 months after irradiation.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