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

        2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공원지역은 우리나라에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 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후대에 물려주기 위해 설립된 지역이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서 자연생태계를 보전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최 근에 추가로 지정된 무등산 포함 총 21개 국립공원이 있다. 이들 지역은 매년 조사·모니터링을 통해 자연자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종목록을 작성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보전과 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특히, 자연자원조사 는 자연공원법 제36조 및 시행령 제27조에 의거 10년마다 실시하고 있으며 자원모니터링은 매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자연자원조사는 3기조사(2010~2019)가 시행중에 있으며 1 기(1991~1999), 2기 조사(2000~2009)는 이미 시행되었다. 1년에 2개공원씩 지정하여 조사하고 있으며 공원 전역을 2km×2km로 격자화하여 조사하고 있다. 공원자원모니터링 은 2000년에 설악산, 북한산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매년 조 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2년까지 20개 국립공원에서 시행된 조사·모니터링의 결과 중에 조류분야의 결과를 정 리·분석하여 향후 공원자원의 체계적인 보호·관리에 적용 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기 자연자원조사가 시행된 1991년부터 2012년까지 국립공원지역에서 확인된 조류의 종수 및 개체수는 총 17목, 64과, 159속, 330종이었다. 20개 공원별 각각 확인된 결과를 살펴보면, 가야산 37과 99종 8,612개체, 경주 44과 123종 16,049개체, 계룡산 38과 108 종 38,434개체, 내장산 41과 107종 15,150개체, 다도해 54 과 231종 20,619개체, 덕유산 44과 139종 10,225개체, 변산 반도 46과 138종 21,800개체, 북한산 43과 150종 44,340개 체, 설악산 43과 134종 14,426개체, 소백산 40과 124종 7,955개체, 속리산 43과 129종 10,849개체, 오대산 40과 109종 6,002개체, 월악산 39과 117종 21,134개체, 월출산 39과 103종 4,830개체, 주왕산 39과 94종 3,890개체, 지리 산 42과 135종 13,118개체, 치악산 46과 155종 26,670개체, 태안 44과 169종 19,238개체, 한라산 45과 90종 15,860개 체였다.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된 지역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231 종)이었으며 다음으로 태안해안, 치악산, 북한산 및 한려해 상 순이었다. 제주도의 한라산은 다른 지역과 달리 2001년 조사결과 1회만 분석되었으며 이로 인해 가장 적은 종수가 확인된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의 다른 조사지역과 비교하 기 어려워 제외하였다. 한라산을 제외한 국립공원지역에서 가장 적게 확인된 지역은 주왕산이었다. 이 외에도 적은 종 의 분포를 보인 지역은 가야산, 월출산, 내장산 지역으로 대부분 공원 면적이 작은 지역들이었다. 공원면적과 조류의 비율은 비교적 비례하지만, 그 지역의 환경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다도해 지역은 많은 섬이 포함되어 있어 조류가 서식하기 다양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원인이 가장 많은 종수가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종의 수가 하위에 속한 가야산, 월출산 및 내장산 지역은 주로 산림지역으로 이뤄져 대부분 산림성조류 위주의 종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원 간 비교는 조사면적과 시기가 서로 달라 상대비교가 어렵기 때문에 동일한 국립공원에서 지속적으로 수행한 결 과를 바탕으로 한 연간 분석을 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에서 2002년에서 2011년까지 10년 간 7개 격자(2km×2km)에서 실시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종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종다양도는 2002년∼2004년까지 다른 시기보다 상대적으 로 높았으며 2006년도와 2007년도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 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변 환경의 급격한 변화보다 는 조사 당시의 방해요인이나 기온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국립공원에서 확인된 종의 구성은 주로 산림에서 번식하거 나 이동하는 조류가 대부분이었다. 해상.해안형 국립공원의 조류는 육상형 국립공원에 비해 종구성이 다양하였다. 해 상.해안국립공원에는 해양성조류와 이동성조류의 분포가 많았던 반면, 육상형국립공원에는 텃새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공원관리의 방향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달라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육상형국립공원은 텃새의 번식 지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해상해안형 국립공원은 해양성조류의 번식지 보호와 함께 이동철새의 먹이원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2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lanization is a unique defence mechanism in arthropods involved in wound healing and pathogen encapsulation. Phenoloxidases (PPOs) are key enzymes of melanization, which mediate the enzymatic conversion of tyrosine to eumelanin. A serine-protease (SP) cascade, similar to the blood-clotting cascade of vertebrates, proteolytically activates prophenoloxidases to phenoloxidases. This proteolytic activation is tightly controlled by serpins and other melanization inhibitors. Melanization has been regarded as one of key immune responses against malaria parasites in mosquitoes. The ookinete melanization of both the simian malaria parasite, Plasmodium cynomolgi, and of the rodent parasite, Plasmodium berghei, prevent parasite development in the human malaria vector, An, gambiae. However, the recent studies revealed a melanization response regulated by Serpin-2 and two C-type lectins (CTL4 and CTLMA-2) was shown to result in ookinete melanization but did not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human parasite P. falciparum in the mosquito. Instead of melanization, TEP1/APL1/LRIM1 complement-like pathway has been identified as major immune response that regulate parasite loads in the natural association of An. gambiae and P. falciparum. The studies by me and my colleagues revealed another melanization response independent on Serpin-2. Genome analyses of mosquitoes revealed a large expansion of the PPO, SP, and serpin genes potentially involved in the melanization pathway. This expansion was devoted to existence of at least two distinct SP-Serpin regulation modules in controlling separate melanization responses, tissue and hemolymph melanization, in the mosquito, Aedes aegypti. Tissue melanization regulated by Serpin-2 has role in melanotic tumor formation, but not in ookinete melanization. Hemolymph melanization regulated by Serpin-1 and a couple of SPs was activated by the infection of various pathogens and is involved in anti-malarial defense against the avian malaria parasite, P. gallinaceum. A new type of regulator, CLSP2, negatively modulate this hemolymph melanization. Cross-talk between hemolymph melanization and complement-like pathway will be discussed.
        23.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장에서의 조사만이 아닌, 음성녹음장치(Song-meter) 에 의한 조류군집의 평가와 함께 이를 통해 경관요소에 따 라 조류군집을 비교하였다. 조사 대상지는 점봉산 내의 곰 배령과 조침령 유역 구간, 그리고 소백산 국립공원의 죽령 과 고치령 구간으로 총 4개 산림유역이었으며, 조사지점은 조사경로의 길이에 따라 곰배령은 8개, 조침령은 11개, 죽 령은 14개, 고치령은 15개 기본조사지점으로 하였다. 시기 는 2012년 8월부터 2012년 2월까지 5차례의 현장조사와 음성녹음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녹음장소 에서 발견되는 조류상과 녹음된 조류의 기록이 얼마나 일치 하는지 혹은 사람에 따라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검 증을 실시하였다. 녹음과 현장조사는 지점당 5분씩 실시하 였으며, 50m 이내 지역에 대하여 청음과 육안 및 쌍안경을 사용하였다. 녹음 취득은 SONY PCM-D50을 이용하였고, 최대주파수 22kHz, 파일유형은 음질을 고려하여 Wave 파 일로 저장하였다. 현장조사와 함께 진행되었던 지점별 동시 녹음조사와 달리 곰배령과 죽령의 2개 지점에 한시간단위 로 5분간 녹음을 실시하는 고정조사지를 설치하였다. 고정 조사구의 녹음은 Wildlife Acoustics SM2+를 이용하였으 며, 녹음 시간은 06시에서 19시까지로 한정하였다. 전체 녹 음은 11월 6일에서 14일까지 녹음한 것을 분석에 활용하였 다. 녹음된 음원의 분석은 Cooledit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소리를 재생하면서 스펙트로그램을 활용하여 조류의 소 리를 구분하였다. 그 중 조류의 소리는 번식음(Song)과 경 계음(Call)을 구분하여 종별 횟수를 기입하였다. 번식기가 아닌 경우 비번식음은 종간 구분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구 분이 힘든 경우 과(family) 수준에서 구분하였다. 소리분석 의 경우 개인의 경험에 의한 차이와 함께, 자연의 배경음에 섞이어 나타날 경우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소리자료를 3인의 조류전문가가 각각 동정결과를 제출하여 분석하였다. 곰배령, 고치령, 죽령, 조침령의 8월 초에서 2월 말까지 현장조사에서 총 39종 합계수 688개체가 조사되었다. 번식 기가 아닌 상황에서 종다양도가 2.9로 높은 종다양성을 나 타내었으며, 곰배령 지역이 가장 높은 종다양도를 보였다. 곰배령 지역은 우수한 산림보전상태를 보였으며 계곡지역 의 저지대 완경사면이 발달되어 높은 종다양도와 우수한 서식종의 수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조사지역이 능선부위가 많이 선정되었던 조침령의 경우에는 낮은 종다 양성을 나타내었다. 현장조사와 녹음조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녹 음한 파일을 세명의 전문 조사자에게 블라인드 테스트로 분석을 의뢰한 후 비교하였다. 분석대상 자료는 점봉산 곰 배령과 소백산 죽령에 각각 설치하였던 고정조사 songmeter의 자료와 함께 현장조사에서 실시한 것을 포함하였 다. 세명의 조사자에게 모두 기록된 종은 흔히 관찰되는 텃 새이거나 울음소리가 매우 명확한 종에 해당하였다. 이에 반하여 1명의 조사자에게서만 기록된 종은 비교적 흔하지 않거나 소리가 유사하여 혼동되거나 개인적으로 친숙한 조 류의 음향을 가진 경우였다. 모든 조사자에 의하여 조사되었을 때 1명의 조사자에게 만 기록된 경우는 14종으로 36.8% 이었으며, 2인 혹은 3인 모두에게 기록된 경우는 12종으로 31.6% 이었다. 이는 비 번식기에 조사된 것이라 혼동의 여지가 많았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하지만, 각각 분석자의 기록종의 종수의 최대 값을 이용한다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통하여 곰배령 등 현장에 서 조사된 군집지수의 결과와 녹음자료 분석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명의 조사자 가 녹음파일을 분석한 각 지점별 종 수의 최대값은 현장조 사결과에서 종의 수, 종다양도, 종풍부도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개체수나 종균등도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정식 녹음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소리자료를 분석한 결 과, 조류 종의 수와 울음소리의 횟수는 유의미한 상관관계 가 있었다. 하지만, 녹음시기가 11월이었기 때문에 높은 상 관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조류의 활동빈도(소리의 횟 수)는 오후보다는 오전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이 특징이었다. 녹음결과의 비바람 등에 의한 영향은 두드러지게 나타났지 만,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출현종이나 울음의 횟수는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형(구릉지, 산정, 산복, 계곡)에 따른 조류의 종수와의 상관관계는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에서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구릉지에서 가장 많은 서식종 이 확인되었으며, 산정과 산복 부근에서 낮은 서식 종이 나 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적으로 저지대의 구릉지에서 생 물생산성이 높은 것을 보여주었다. 종다양도와 종풍부도에 있어서도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는 유사 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형 유형 중 구릉지와 평탄지에서 가장 높은 종다양도와 종풍부도가 나타났다. 저지대 및 구 릉지는 생물생산성 뿐 아니라 서식지의 다양성에 있어서도 조류의 다양한 서식을 유도하며 조류의 종다양성 및 종풍부 도의 측면에서도 같은 경향을 확인하였다. 경관유형(계곡과 능선, 산중턱, 산정상)에 따른 조류종수 와의 상관관계는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 모두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관유형 중 계곡에서 가 장 많은 서식종이 확인되었으며, 능선과 산중턱 부근에서 낮은 서식 종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적으로 물이 용 가능성이 풍부한 계곡부에서 조류의 서식지 선호성이 높은 것을 보여준 것이다. 결과적으로 조류의 소리녹음에 의한 조류군집의 평가는 종다양성 및 종 풍부도의 차원에서 좋은 지표로 활용될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시간대의 표본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 은 조사자의 부족 및 현장출장일의 부족 등을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특히 동일시간대에 조사를 하 는 것이 필요한 연구구상의 경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 다. 그리고, 최근 부각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의한 조류의 도래시기 변화 등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활용 될 경우 유용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사후분석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과 함께 녹음된 음원을 분석할 사람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음성녹음에 의한 조류군집의 조사는 조 사자에 의한 현장조사에 비하여 많은 서식종을 확인할 수는 없겠지만, 객관적인 비교를 할 수 있음으로서 대상지를 비 교연구해야 하는 경우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었다.
        2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past dozens of years, animal species indigenous to Korea has been emerged as a symbol of healthy and well-being lifestyle. Developing new cross hybrid and making brand in Korean native chickens serve as an example of pursuing a well-being life. However,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intervention from the small scaled middlemen during the multi-stages of marketing, poor hygiene at moorings and live bird market, and possibility of contacting to wild birds have been pointed out as risk factors to the outbreaks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1PM), especially for small back yard flocks. This study describes the schema of husbandry and marketing on Korean native chickens, and their putative associations with the outbreaks of RPM during the last two big epidemics occurred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ere in the year of 2008 and 2010/2011.
        4,000원
        28.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n post-thawed sperm motilit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of boar semen frozen in the freezing extender with chicken or duck egg yolks. The Sperm rich fraction of ejaculates from three Duroc boars were collected by a glove-hand technique. Samples with more than 80% motile sperm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Semen was diluted with freezing extender (LEY) containing 11% (v/v) lactose, 20% (v/v) hen egg yolk with 3.5% (v/v) glycerol, and 0.5% (v/v) Orvus Es Paste(OEP, Nova Chemical Sales Inc., Scituate, MA. USA) to yield a final sperm concentration of 5×108 cells/ml. Following complete dilution, semen samples were loaded in 0.5 ml French medium straws (IMV technologies, France) and transferred to programmable semen freezer (SY-LAB Gerate GmbH, Austria). For freezing the semen samples, each straw was cooled from 5℃ to — 5℃ at 6℃/min, auto-seeding at — 5℃ and held for 60sec, samples were then cooled from — 5 to — 80℃ at 40℃/min, and thereafter from — 80℃ to — 150℃ at 60℃/min. The yolks used were sourced from fresh chicken and duck eggs. To evaluate the post-thaw sperm quality, semen was thawed at 38℃ for 20 sec and sperm motilit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were assessed. Motility was assessed for %motile cell characteristics using 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 (CASA; SAIS SI-100, Medical supply, Korea). The percentage of sperm viability was assessed using LIVE/DEAD® sperm viability kit (Molecular probes, Eugene, OR, USA). The acrosome integrity was assessed by FITC-PNA staining. Sperm quality in terms of motilit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showed higher after freezing in medium containing duck yolk than chicken yolk.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rm quality for the different types of yolk(p>0.05).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gg yolk types when considering the sperm motilit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of boar semen frozen in the freezing extender with chicken or duck egg yolks.
        29.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like protein 1 (AHCYL1), also known as IP3 receptor- binding protein released with IP3 (IRBIT), regulates IP3-induced Ca2+ release in the cytoplasm of cells and, therefore, is likely to be an important gene regulating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in the oviduct of chickens.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AHCYL1 gene in chickens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tissue- and cell-specific expression of AHCYL1 gene in chicken organs, especially in reproductive organ, and determine functional actions of AHCYL1 in chicken oviduct development via estroge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HCYL1 mRNA is expressed in chicken reproductive organs and DES(diethylstilbesterol, a synthetic estrogen agonist) stimulates the cell specific expression of AHCYL1 in immature chicken ovidu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HCYL1 is a novel estrogen-stimulated gene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the chicken oviduct. Next, in the present study, we show that inhibition of Erk1/2 can block DES-induced AHCYL1 expression. Also, we found that knockdown of AHCYL1 expression down-regulates expression of oviduct specific genes and AHCYL1 expression is regulated at the post-transcriptional level by specific miRNA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estrogen-mediated AHCYL1 gene expression plays a crucial role in growth,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of the hen oviduct. Also, our results will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mechanism(s) of estrogen action responsible for development of hen oviduct. This research was funded by the World Class University (WCU) program (R31-10056),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2010-0013078)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by the Next-Generation BioGreen 21 Program (No.PJ00814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30.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택되어진 지뢰지역과 습지조각의 산림성조류의 군집에 대하여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면적이 다른 세 곳(8.5ha, 17.4ha, 40.6ha)의 지뢰지역과 산지지역의 세 개 비교지역의 조류상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 산림성조류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 종풍부도와 종균등도를 조각의 크기와 습지의 존재와 연결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조사구사이를 비교하였다. 조류군집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63종의 조류가 조사되었으며, 최대개체수 합계는 828개체였다. 종다양성지수는 3.8이었으며, 종풍부도는 9.2, 종균등도는 93.3 이었다. 둘째, 작고 숲과 고립된 숲은 낮은 평균 종의 수와 개체수를 가졌지만,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개활수면이 없는 숲 조각에 비하여 높은 조류 밀도를 보였다. 셋째, 갈대습지를 가진 숲 조각은 단위면적당 조류 종의 수(/10ha), 단위면적당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종풍부도와 종균등도에서 낮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 유사도지수는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다른 숲과 연결되어 있는 큰 산지 숲과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대 숲 조각은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식지와 연결되고 서식지가 넓은 산지의 숲 조각과 군집유사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하천숲의 복원은 산림성조류의 군집에서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제안한다.
        4,000원
        31.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HPAIV) is already panzootic in poultry and caused a considerable economic loss in poultry industry. In addition, HPAIV continues to cross species barriers to infect humans and other mammals, often with fatal outcomes. In this study, the virucidal efficacy of Citra-Kill® composed to quaternary ammonium chloride and citric acid was investigated against avian influenza H9N2 virus (AIV). A virucidal efficacy was determined with the viability of AIV contacted with the disinfectant in the allantoic membrane of chicken embryos. Citra-Kill® and AIV was reacted on the distilled water (DW), hard water (HW) or organic matter suspension (OM) condition. On DW condition, AIV was inactivated with 2,000 fold dilutions of Citra-Kill®. When the antiviral effect on HW condition was evaluated, the antiviral activity of the disinfectant showed on 1,500 fold dilutions against AIV.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antiviral effect of the disinfectant on OM condition, AIV was inactivated on 500 fold dilutions of Citra-Kill®. As Citra-Kill® possesses virucidal efficacy against AIV, the disinfectant solution can be used to limit the spread of animal viral diseases.
        4,000원
        3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vian influenza (AI) and Newcastle disease (ND) distress a variety of avian species, especially domestic poultry. Severe syndromes are caused by highly virulent specific virus strains termed highly pathogenic AI and velogenic ND viruses, which are potential agrobioterrorism agents. This outbreak emphasizes the need for continuing cooperation between public health and veterinary medical communities in controlling AI and ND when it has a zoonotic potential. Up to date, the stamping out and burying system were applied for controlling methods against these highly infectious diseases in the ordinary way, however these methods had many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leachat and effluvium. Thus, we assessed that sterilization effect of AI and ND virus dependent on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such as autoclaving time and cutting types of chicke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cutting type of chicken meat revealed a reduced HA titer (20) against both of AI and ND virus after 10 min of autoclaving, while whole chicken showed same titer after 30 and 60 min. Therefore, we propose that the conditions of treatment on infected chicken should be developed for convenient, affordable, and effective prevention methods against for AI and ND.
        4,000원
        33.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농업경관은 개발과 영농강도의 증가(agricultural intensification)에 의해 압력을 받아왔다. 특히, 농업경관에 서 생물다양성은 도시화 및 영농강도의 증가로 인한 서식지 의 파편화와 연결성의 감소에 의한 압력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Krebs et al., 1999). 무엇보다도 서식지의 이질성 및 연결성이 감소하여 왔으며, 이들은 농업경관에서의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Benton et al., 2003). 철원지역 또한 지속적으로 영농강도가 증가되어온 지역 중 하나일 것이다. 지속적인 평탄화 작업이 실시되어 관목 지 등의 자연초지가 줄어들어왔다. 또한, 농경지 사이의 언 덕과 같은 지역은 개간되었으며, 농경지의 경사가 줄어들어 초본 및 관목이 존재할 면적은 감소되어왔다. 뿐만 아니라 시설녹지, 액비살포 및 인삼경작지의 증가 등 야생조류의 이용이 차단되는 영농활동 또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Lee, 2010). 특히 조류 중 맹금류의 경우, 많은 자원과 넓은 세력권 및 다양하고 많은 먹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른 조류에 비하여 변화가 크다(Newton, 2004). 또한 두루미류 등 대형 조류의 경우 인가, 도로 등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Yoo et al., submitted), 환경요인 및 경관의 변화에 따른 군집의 변화가 나타난다(Thiollay, 2001). 우리는 10년간의 철원지역 농업경관의 변화에 따라 월동 시기의 조류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 환경변화와 조류상 변화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내용 및 방법 조사지역은 N38° 10′~19′, E127° 04′~26′에 걸쳐 있으 며, 총 60㎢ 면적으로(Yoo et al., 2007), 수조류 및 겨울철 맹금류가 서식하는 농경지와 자연초지, 관목지, 산지 및 호 수가 주요 조사대상이었다. 조사는 쌍안경 (8×32BN, Leica) 과 망원경 (Swarovski ×20~60)을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동시조사를 위한 그룹은 3에서 5개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하였으며, 차량을 이용하여 각 지역을 일정한 순서로 방문하여 센서스를 실시하였다. 동절기 조류조사 결과와 함께 조사회수가 부족한 경우는 환경부의 월동기 동시센서스 자료를 인용하여 함께 분석하 였다. 10년간 12월에서 2월까지 각 월동기 4회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해당 년도의 자료가 4회를 초과할 경우 가장 적게 종이 조사된 결과는 분석에서 포함하지 않았다. 분류군별 비교를 할 경우, 인위적인 먹이공급에 의해 증 대 된 종을 제외한 후 분석을 시도하였다. 지역의 환경과 밀접한 본 지역에서 가장 우점인 쇠기러기와 두루미류와 맹금류 중 독수리의 경우는 환경적인 변화에 의한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판단되어 환경변수와의 관계를 보기위한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철원지역 10년간의 월동조류상 2001-2년 에서 2010-11년 월동기 때까지 10년간 전체 101종 최대개체수합계 59,393개체가 조사되었다(Appedix). 최우점종은 쇠기러기 (Anser albifrons) 이었으며, 평균 13,482.4±4603.3 (mean±standard error) 개체로 평가되었 다(68.3%), 다음 순서로 우점한 조류는 재두루미 (Grus vipio) 1,142.7±125.0 개체(5.8%),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973.9±109.5 개체(4.9%), 두루미 (Grus japonensis) 692.2±36.6 개체(3.5%)순으로 나타났다(Appendix). 10년간의 조류의 종수와 개체수는 큰 변동을 보였으나 증가와 감소의 경향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Fig. 2), 종다양 도와 종풍부도 및 종균등도 또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Fig. 3-Total). 전체 개체수의 70% 가까이를 차지하는 쇠기러기 의 개체군을 제외한 후 분석을 한 경우, 균등도지수 만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나머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군집지수를 나타내었다(Fig. 3-Without WFG). 2. 먹이주기 연관조류 및 맹금류의 변화 먹이주기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두루미, 재두루미는 증가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재두루미는 두루미에 비하 여 더 큰 증가경향을 보였다(Fig. 4). 독수리의 개체군은 2003-04년 월동기 이후 감소한 경향이 있었다(Fig. 4). 맹금류는 전체적으로 지속적인 종 및 개체수의 감소가 나타났지만(Fig. 5). 종다양도, 종풍부도, 종균등도는 뚜렷 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다(Fig. 5). 독수리의 개체수를 제외하고 분석한다면, 개체수의 감소경향은 뚜렷하지 않았 지만, 종다양도, 종풍부도, 종균등도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Fig. 5). 독수리의 경우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연적인 먹이가 부족 하여 인공급이에 의존하는 실정이었다(Jin et al., 2009). 하 지만, 2000년대 이후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등으로 인하 여 전염병의 전파를 우려한 나머지, 야생동물 먹이주기가 급속히 감소하였기 때문에 철원지역의 독수리 개체수도 감 소 하여왔다(Fig. 6-A). 두루미류의 경우 전적인 것은 아니 지만, 1990년대 말부터 시행한 겨울철 먹이주기는 개체군 집중을 유도한 것으로 판단된다(Yoo et al., 2010). 추가적 인 요인으로는 북한지역의 월동지가 파괴되어 철원으로 집 중되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Yoo et al., 2008). 숲이나 관목지대를 서식지로 하는 맹금류는 농업환경에 의하여 일부 손해를 입게 된 분류군이며(Sotherton, 1998), 두루미류와 오리․기러기류는 농업 부산물의 증대 및 농경지 의 확대에 의하여 혜택을 입게 된 분류군이라 할 수 있다 (Abraham et al., 2005). 결과적으로 농업강도 증가에 따른 단순경작의 증가는 야생동물에게의 사막처럼 작용할 것이 며, 멸종위기종과 독특하고 국지적으로 서식하는 생물상에 게 자원이용 가능성을 제한하는 결과를 줄 것이다 (Sotherton, 1998). 또한 이러한 맹금류의 군집지수 값의 감 소는 민간인통제지역의 감소(Pae, 1994; Yoo et al., 2010) 및 취락지역의 증가, 이용이 불가능한 작물(인삼 등)의 확대 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Yoo et al., 2010). 향후 위성영 상을 이용하여 자연지역의 감소 및 인공지역의 증가를 파악 한다면, 보다 명확하게 자연지역의 감소 양상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며, 조류종의 증감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용문헌 Abraham, K.F., R.L. Jefferies and R.T. Alisauskas(2005) The dynamics of landscape change and snow geese in mid-continent North America. Global Change Biology 11(6): 841-855. Benton, T.G., J.A. Vickery and J.D. Wilson(2003) Farmland biodiversity: is habitat heterogeneity the key? Trends of Ecology and Evolution 18: 182–188. Jin, S.D., J.P. Ryu, I.H. Paek, S.W. Han, S.M. Kim, G.S. Han, T.H. Kang, I.K. Kim, S.H. Yoo, K.S. Lee, S.H. Kim, T.J. Kim, S.H. Kim, J.S. Choi, G.P. Hong, H.J. Cho, K.C. Bing, J.H. Kang, C.Y. Park, W.Y. Kim, H.S. Oh and W.K. Paek( 2009) Research about wintering status of the Cinerious vulture (Aegypus monachus) as a Natural Monument #243-1.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42(1): 62-71. (in Korean) Krebs, J.R., J.D. Wilson, R.B. Bradbury and G.M. Siriwardena (1999) The second Silent Spring? Nature 400: 611-12. Newton, I.(2004) The recent declines of farmland bird populations in Britain: an appraisal of causal factors and conservation actions. Ibis 146: 579-600. Pae, S.H.(1994) Wintering ecology of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and White-naped Crane Grus vipio in Cholwon basin, Korea. M. Sc. Thesis, Kyung Hee University. 43pp. Sotherton, N.W. (1998) Land uses changes and the decline of farmland wildlife: an appraisal of the set-aside approach. Biological Conservation 83(3): 259-268. Thiollay, J.M.(2001) Long-term changes of raptor populations in Northern Cameroon. The Journal of Raptor Research 35(3): 173-186. Yoo, S.H., K.S. Lee, J.C. Yoo(2007) Reaction to the vehicle and trade-off between vehicular interruption and food resources of cranes: focused on the wintering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6): 526-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Yoo, S.H., K.S. Lee, J.C. Yoo(2008) Preference of the CCZ (Civilian control zone) in Cheorwon basin as a wintering site of cranes: wintering season of 2002-2003.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5(1): 39-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Yoo, S.H., K.S. Lee, J.H. Kim and C.H. Park(2010) Long-term monitoring result and factors of the wintering crane's population change in Cheorwon, Korea : historic change and impact assessment of weather change by the MODIS. Korean Journal of Orniothology 18(1): 59-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Yoo, S.H., H.S. Kwon, J.J. Park and C.H. Park(2011) Spatial distribution of feeding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roosting site, road and residence) of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4): 516-525.
        3,000원
        3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had experienced second epidemic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and there were the seven affected farms, including two breeder duck farms, from 22nd November 2006 to 6th March 2007. Here, we report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breeder ducks farms naturally infected with HPAI virus (H5N1). Clinically, the most ducks showed various signs from depression, decreased egg production and feed consumption to even, death. The most commonly gross changes were hepatomegaly, splenomegaly, petechial and ecchymotic hemorrhage on the liver surface, a white stripe on the cardiac muscle, and severely hemorrhagic and deformed eggs. The most significant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necrosis of various cells such as neuron, lymphocytes, cardiac myocytes, hepatocytes, blood vessels and pancreatic acinar epithelium. The viral antigen was mainly detected in the endothelium of blood vessels of various organs and tissues, peripheral nerves and neuronal cell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identified that HPAI H5N1 induced systemic infection in the adult breeder ducks.
        4,000원
        39.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화호 초지대의 소각에 의한 조류의 서식 영향에 대한 연구는 2007년 3월에서 10월까지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송정리 인근 시화호간척지의 초지에서 실시하였다. 계획소각은 2007년 2월 28일에서 3월 1일까지 시화호 간척지의 초지 중 육상부에 인접한 지역에 대해 실시하였다. 소각지역에서는 총 30종 최대개체수 합계 181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존치지역에서는 24종 최대개체수 합계 154개체가 관찰되어 소각지역의 관찰조류 종수와 개체수가 높았다. 하지만 우점종은 소각지와 존치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조류와 산림성조류를 제외한 소각지와 존치지의 평균 종수, 평균개체수, 종 다양도, 종 풍부도는 차이가 없었다. 초기의 군집특성은 계획소각에 의하여 변화하였지만, 후기에는 차이가 감소하였다. 계획소각에 의한 서식지 교란은 일시적으로 새로운 서식지 및 취식장소를 제공하였다. 계획소각이 목본식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초지생태계를 유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주기적인 계획소각이 초지생태계를 유지 및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안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