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But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of thermal treatment yam (Dioscorea batatas DECNE.) belonging to the family Dioscoreaceae were measured for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bility. In this study, ethyl acetate extract showed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evaluated by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and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evertheless, n-butanol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linoleic acid peroxid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but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in nitrite scavenging activity β-carotene bleaching assays could not be found.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mal treatment yam could be used as eas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and as a possible food supplement.
        4,000원
        2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부탄올/물의 투과증발 분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에어레인사에서 개발한 PEI 중공사막에 PDMS로 코팅한 복합막 모듈을 이용하여 랩테스트와 파일럿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공급액으로는 물과 1-부탄올을 각각 99 : 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로 30°C에서 투과도 132.7 g/m2hr, 선택도 23.4로 높은 선택도를, 50°C에서 투과도 505.1 g/m2hr, 선택도 5.1로 높은 투과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일본의 나가셉사에서 개발한 지지체가 없는 PDMS 막 모듈과 비교했을 때 (주)에어레인사에서 개발한 복합막 모듈이 약 10~20 g/m2hr의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테스트를 진행한 복합막 모듈의 내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약 35일간의 장기테스트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약 510~520 g/m2hr의 투과도와 20~25의 선택도로 초기 측정량과 큰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4,000원
        2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n-but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were prepared from raw yam (Dioscorea batatas DECNE.). Their antioxidative potencies were investigated employing various in vitro methods, such as ferrous ion chelating, β-carotene bleaching assay,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nitric oxide (NO) radical scavenging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n-butanol fraction was assayed to possess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by β-carotene bleaching assay,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ethyl acetate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chelating ferrous ion and scavenging nitrit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yam is a potential active ingredient that could be applied in antioxidation as well as bio-health functional food to take a good part in prevention of human diseases and aging.
        4,000원
        24.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P E I 중공사막 표면에 고무상 고분자인 PDMS를 코팅한 모듈을 이용해 물-Butanol 혼합액의 분리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A사에서 개발한 막 면적 890㎠ 모듈을 실험실 테스트 규모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농도 1wt.%의 1-Butanol - Water 혼합액에 대하여 투과증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반응온도 30℃에서 투과도는 58.6g/㎡hr을 나타내었고, 선택도는 9.2%를 나타내었다. 반응온도 40℃에서 투과도는 109.5g/㎡hr을 나타내었고, 선택도는 5.6%를 나타내었다. 반응온도 50℃에서 투과도는 206.9g/㎡hr을 나타내었고, 선택도는 3.0%를 나타내었다. 같은 방법으로 A사에서 개발한 막 면적 1㎡의 모듈을 파일롯 테스트에 적용하여 실험하여 본 결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5.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Cordyceps pruinosa butanol fraction (Cp-BF) were investigated by determining inflammatory responses of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and by evaluating HCl/ethanol (EtOH)-triggered gastric ulcers in mic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Cp-BF were investigated by identifying target enzymes using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Cp-BF strong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α,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hagocytic uptake of FITC-dextran,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IL)-6,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tumou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 activated RAW264.7 cells. Cp-BF also strongly down regulated the NF-κB pathway by suppressing IKKβ according to luciferase reporter assays and immunoblot analysis. Furthermore, Cp-BF blocked both increased levels of NF-κB-mediated luciferase activities and phosphorylation of p65/p50 observed by IKKβ overexpression. Finally, orally administered Cp-BF was found to attenuate gastric ulcer and block the phosphorylation of IκBα induced by HCl/EtOH.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p-BF may be mediated by suppression of IKKα and its downstream NF-κB activation. Since our group has established the mass cultivation conditions by developing culture conditions for Cordyceps pruinosa,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new anti-inflammatory agents.
        26.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Pebax-2533 판형 분리막을 1-프로판올과 n-부탄올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용해, 건조하여 제조하였고 time-lag 장치를 이용하여 CO2, N2 투과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은 평가조건에 따라서 130-288 barrer의 CO2 투 과율을 가졌으며, CO2/N2 투과선택도는 5-8이었다. Time-lag 장치의 주입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투과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그리고 혼합용매의 n-부탄올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CO2 투과도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실험 자료는 Pebax-2533 분리 막의 CO2 투과율이 CO2 용해에 매우 의존할 것이라 예측과 달리, CO2 용해뿐만 아니라 CO2 확산도 매우 중요한 단계임을 의미하였다.
        4,000원
        2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수성 ZSM-5 분리막을 결정성장핵의 수열합성 2차 성장법으로 다공성 스테인레스 스틸 지지체의 안쪽에 합성하였으며, 이렇게 제조한 분리막을 이용하여 n-부탄올 수용액으로부터 n-부탄올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였다. 공급 수용액의 농도 변화 및 운전 온도의 변화에 따른 투과증발 특성을 관찰하였다. 공급 수용액 내의 n-부탄올 농도를 각각 0.001, 0.005, 0.01 그리고 0.015 몰분율로, 운전 온도는 25C, 35℃ 그리고 45℃로 바꾸면서 실험하였다. 운전 온도가 45℃인 실험조건에서 공급측 n-부탄올의 몰분율이 0.001에서 0.015로 증가함에 따라 n-부탄올의 플럭스는 약 2g/㎡/hr 에서 27g/㎡/hr 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투과물 내의 n-부탄올의 농도가 0.0016 몰분율에서 0.052 몰분율로 상당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공급 농도가 0.015인 상태에서 운전 온도가 25℃에서 45℃로 증가함에 따라 n-부탄올의 플럭스는 약 13g/㎡/hr 에서 27g/㎡/hr 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투과물 내의 n-부탄올 농도도 따라서 0.045에서 0.052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2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VDF/PDMS 복합막을 제조하여 부탄올을 농축을 위한 투과증발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복합막의 제조 방법에 따른 투과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지층의 PVDF 농도변화와 활성층의 경화조건에 따라 투과증발 최적막을 선정하였다. 이 막을 사용하여 공급액의 농도, 온도 및 순환 유속을 변화시켜 부탄올의 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급액의 농도, 온도, 순환 유속이 증가할 경우 부탄올의 플럭스와 투과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상용막인 GKSS사의 PVDF/POMS 복합막과 비교한 결과 부탄올 투과 플럭스, 투과 농도, 선택도 등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2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수성, 고무상 고분자인 polydimethylsiloxane (PDMS) 소재를 대상으로 치밀한 단일막과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이용한 투과증발법을 통해 바이오부탄올을 농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바이오부탄올 회수를 위해 1∼5 wt%의 부탄올이 함유된 모델 수용액을 대상으로 조업온도(20∼40℃)와 막두께(1∼100 μm)를 변화시키면서 PDMS막의 투과증발 특성을 조사하였다. 100 μm 두께 PDMS 단일막의 경우 공급부탄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포집된 부탄올의 농도, 선택도, 투과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물보다 부탄올에 대한 PDMS 소재의 친화성과 막 사슬 내의 큰 자유부피(free volume)로 부탄올에 대한 확산저항이 적기 때문에 부탄올에 대한 선택도와 투과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업온도를 20∼40℃로 증가시키며 투과증발특성을 조사한 결과, 온도의 상승에 따라 포집된 부탄올의 농도, 선택도, 투과도 모두 증가하였다. PDMS막의 두께가 100 μm에서 1 μm로 얇아질수록 포집된 부탄올의 농도와 선택도는 감소하였으며 투과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3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탄올을 투과증발 공정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복합공정에 의하여 투과증발막을 제조하였다. 상업용 poly(dime-thylsiloxane) (PDMS) 막을 plasma 처리시키거나, polysulfone, poly(ether imide) 막을 지지체로 사용하여 plasma 처리 및 PDMS 코팅의 복합공정을 적용하였다. 헥산계열과 실란계열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PDMS막을 plasma 처리하였을 경우 막 표면의 소수성을 증가시켜서 부탄을 선택도가 12.56까지 향상되었다. 반면에 투과량은 막 표면의 소수성 증대와 free volume의 변화로 인해 1.15 kg/m 2 ⋅hr까지 감소되어 선택도와 반대의 성향을 나타내었다. 막의 소수성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과 상대적 sorption 비가 증가하였고, 부탄을 선택도도 향상되었다. PDMS 코팅 용액에서 prepolymer의 함량이 높을수록 부탄올 선택도가 증가하였다. PDMS 코팅과 plasma 처리 공정의 순서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부탄올과 노르말 헥산으로 plasma 처리할 경우 plasma처리, PDMS 코팅 순으로 제조된 막의 분리 성능이 우수하였고 hexamethyldisilane과 hex-amethyldisilazane을 사용한 경우에는 역순으로 제조된 막의 분리 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alytical methods for odorous butanol compound were developed using canister sampling method and solid adsorbent sampling method. Stability of butanol gas component was evaluated for enhancing accuracy of measurement and to avoid a problem of its poor stability due to its polar character. Quality control method of the analysis was also examined. Gaseous standard gas containing BuOHl and MEK was prepared using canister for evaluation of stability and analytical linearity. BuOH showed a poor stability and poor linearity compared to MEK. However, when the same VOC standard was prepared using adsorbent tube, the stability and linearity of BuOH were much better compared to canister method. Therefore, sampling for the measurement of BuOH in air using adsorbent tube can give better result compared to canister method.
        4,000원
        3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유에 율피의 용매분획별(에테르, 부탄올, 물) 추출물과 tocopherol, BHA를 각각 0.02% 첨가한 후 자동산화 및 가열 산화시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다. 1. 자동산화시 과산화물가를 통한 항산화력 비교에서 45℃에서 42일간 저장한 경우 부탄올추출물 〉 에테르추출물 〉 무첨가구 〉 BHA 〉 토코페롤 순으로 항산화력이 있었고, 60℃에서 32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부탄올 추출물이 강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에테르추출물은 무첨가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가열산화의 경우 에테르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3.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성분의 분석결과 에테르추출물에는 ellagic acid, quercetin, morin, naringenin, flavanol로서 주요성분은 ellagic acid이었다. 이들 성분의 총량은 에테르추출물 49.09%(w/w), 부탄올추출물 76.26%(w/w)로서 부탄올 추출물에 폴리페놀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우수한 항산화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부탄올추출물에는 ellagic acid, naringenin, gallic acid, flavanol이 있었으며, 주요성분은 naringenin, gallic acid로서 이들 성분들이 항산화 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물 발효 공정에서 생산되는 부탄올 수용액으로부터 부탄올을 농축시키기 위한 투과증발 공정의 flux와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온 plasma 처리 공정으로 막을 제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조건인 공급 power, 반응 시간, 단량체 공급 속도 등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여 (W/FM)t의 최적값이 4.0389times10(sup)9 J.min/kg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최적의 막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여러 가지 유기 화합물로서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부탄올 분리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물과 부탄올의 상대적 sorption 비와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 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그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접촉각과 상대적 sorption 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탄올의 선택도는 0.186에서 3.525로 향상되었고, 부탄올 질량 flux는 0.042에서 0.567 kg/m2.hr로 향상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막의 소수서이 증가함에 따라 막과 부탄올과의 친화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된 유기 화합물과 물 또는 부탄올과의 친화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heat of mixing을 측정하여 분리 성능과 비교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성을 얻지 못하였다. 이것은 플라즈마 처리 시 유기 화합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화합물을 형성하게 되어 유기 화합물 본래의 특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4.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sulfone을 술폰화하여 물-부탄올 용액의 분리를 위한 투과증발용 비대칭막을 제조하였다. 술론화제로는 chlorosulfoneic acid-trimethyulchlorosilane을 반응시킨 후 이용하였다. FT-IR과 1H-NMR을 이용하여 치환여부를 살펴보았고 술폰화정도는 역적정법과 1HH-NMR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DSC와 TGA를 이용하여 열적특성변화를 알아보았다. 비대칭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N-methyl-2-pyrrolidone(NMP)rhkdiethyleneglycol dimethyl ether (DGD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단면과 skinlayer 의 구조변화를 살펴보았다. 한 연구에서 제조한 비대칭막은 dense film에 비하여 물에 대한 선택도는 거의 변화가 없고 투과유량은 약 80배 정도 증가하였다.
        4,000원
        35.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the fraction for testing the efficacy of the Astragalus extract was concentrated active ingredient. The concentrated fraction was applied to a cosmetic material that Astragalus testing results confirmed that the improved efficacy. Methods and Results : The fractions were performed using an n-butanol solvent for increasing the efficacy of the Astragalus extract, by using the material fractions collected to compare and ultimately an increase in whitening and wrinkle efficacy. The solvent to be used in the fractions was used for the n-butanol good dissolution to the effective substance(Astragaloside, Isoflavonoid). It increased approximately 6.5 times the sample extract and the n-butanol fraction of the Astragalus as a result Astragaloside 15 ppm, 97 ppm respectively analyzed by HPLC equipment, isoflavonoid content was confirmed by an increase in the content of the fractions increased 4.5 times to 280 ppm, 1,260 ppm.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respectively IC50 5.70 mg/mL, IC50 1.02 mg/mL to, Collagenase producing ability is IC50 4.88 mg/mL, IC50 0.93 mg/mL with n-butanol fraction was good whitening, anti-wrinkle efficacy than the extract.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e same amount of sample, using a purified Astragalus cosmetics received high marks. Stability evaluation(MTT assay) was checked for more than 100% cell viability at the concentration 2,000 ppm. Conclusion : n-butanol fraction of Astragalus was subjected to a component analysis and In vitro test, it was confirmed an increase active ingredient content.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nd stability evaluation, it was confirmed been made to improve qualities as a cosmetic material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