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habitat of the cockroach varies relative to species. The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lives in human dwelling while B. nipponica lives in mountainous region. Even though, these two species have similar morphology, their habitats and walking speed were different. Underlying this fact, we hypothesized that habitats might influence on the walking speed via altering particularly nervous system including acetylcholinesterase (EC3.1.1.7, AChE). Full length ORFs were cloned from each species and sequenced. Sequence analyses showed that both genes in each species possess typical features of ace, and that Bgace1 and Bnace1. Those features are orthologous to the insect ace1 whereas Bgace2 and Bnace2 are to the insect ace2. Some SNPs were observed but Bgace1 and 2 showed high similarity (99%) with Bgace1 and 2, respectively. Multiple AChE bands were identified by native PAGE and IEF from three tissues (head, leg and other body) and their expression pattern was almost identical between two species. However, Esterase expression patter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urthermore, length as well as detailed structure of antenna, leg and tail cerci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Taken together, various factors such as sensory organ detailed morphology and esterases are responsible for habitat and walking speed difference.
        22.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inal cord is highly complex, consisting of a specialized neural network that comprised both neuronal and non-neuronal cells. Any kind of injury and/or insult to the spinal cord leads to a series of damaging events resulting in motor and/or sensory deficits below the level of injury. As a result, muscle paralysis (or paresis) leading to muscle atrophy or shrinking of the muscle along with changes in muscle fiber type, and contractile properties have been observed. Traditionally, histology had been used as a gold standard to characterize spinal cord injury (SCI)-induced adaptation in spinal cord and skeletal muscle. However, histology measurements is invasive and cannot be used for longitudinal analysis. Therefore, the use of conven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promoted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non-invasive method, which allows the repeated measurements over time and secures the safety against radiation by using radiofrequency pulse. Currently, many of pathological changes and adaptations occurring after SCI can be measured by MRI methods, specifically 3-dimensional MRI with the advanced diffusion tensor imaging technique. Both techniques have shown to be sensitive in measuring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changes in skeletal muscle and the spinal cord.
        4,200원
        2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기안료는 인체에 대한 안정성과 다른 소재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미적 특성을 감미하기 위한 화장품, 인쇄잉크, 페인트, 건설자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망간과 철이 도핑된 이산화티탄 안료를 합성하기 위하여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였다. 공정 변수로는 망간 전구체의 양, 철 전구체의 양 및 하소온도 등을 변화시켰다. 제조된 안료의 최적 조건은 망간 전구체의 양이 1.0wt%, 철 전구체의 양이 1.5wt% 그리고 하소온도 550℃일 때였다. 제조된 안료는 XRD, EDS, FE-SEM, Spectrophotometer, UV-Vis Spectrometer 등으로 분석 하였다.
        4,000원
        24.
        2012.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hemical process involves polymerization within microspheres, whereas a physical process involves the dispersion of polymer in a nonsolvent. Nano-sized monodisperse microspheres are usually prepared by chemical processes such as water-based emulsions, seed suspension polymerization, nonaqueous dispersion polymerization, and precipitation polymerizations.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in a four-necked, separate-type flask equipped with a stirrer, a condenser, a nitrogen inlet, and a rubber stopper for adding the initiator with a syringe. Nitrogen was bubbled through the mixture of reagents for 1 hr. before elevating the temperature. Functional silane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MPTMS) was used for the modification of silica nanoparticles and the self-assembled monolayers obtained were characteriz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laser scattering system (LSS),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lemental analysis (EA),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In addition, polymer microspheres were polymerized by radical polymerization of γ-mercaptopropyl modified silica nanoparticles (MPSN) and acrylamide monomer via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then,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rom the elemental analysis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version rate of acrylamide monomer was 93% and that polyacrylamide grafted to MPSN nanospheres via the radical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with AAm in ethanol solvent. The microspheres were successfully polymerized by the 'graft from' method.
        4,000원
        25.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MPTMS) was used as a silylation agent, and modified silica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2.0 g of silica nanoparticles, 150 ml of toluene, and 20 ml of MPTMS were put into a 300 ml flask, and these mixtures were dispersed with ultrasonic vibration for 60 min. 0.2 g of hydroquinone as an inhibitor and 1 to 2 drops of 2,6-dimethylpyridine as a catalyst were added into the mixture. The mixture was then stirred with a magnetic stirrer for 8 hrs. at room temperature. After the reaction, the mixture was centrifuged for 1 hr. at 6000rpm. After precipitation, 150 ml of ethanol was added, and ultrasonic vibration was applied for 30 min. After the ultrasonic vibration, centrifugation was carried out again for 1 hr. at 6000rpm. Organo-modification of silica nanoparticles with a γ-methacryloxypropyl functional group was successfully achiev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in the ethanol solu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γ-mercaptopropyl modified silica nanoparticles (MPSN) were examined us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RMO VG SCIENTIFIC, MultiLab 2000), a laser scattering system (LSS, TOPCON Co., GLS-1000),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JASCO INTERNATIONL CO., FT/IR-4200),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2400), an elemental analysis (EA, Elementar, Vario macro/micro) and a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Perkin Elmer, TGA 7, Pyris 1).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content of the methacryloxypropyl group was 0.98 mmol/g and the conversion rate of acrylamide monomer was 93%. SEM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organo-modification of ultra-fine particles effectively prevented their agglomeration and improved their dispensability.
        4,000원
        26.
        201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piglets and one juvenile pig were used to investigate closely what types of cells express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and if any, whether the GFP-tagged cells could be used for stem cell transplantation research as a middle-sized animal model in bone marrow cells of recloned GFP pigs. Bone marrow cells were recovered from the tibia, and further analyzed with various cell lineage markers to determine which cell lineage is concurrently expressing visible GFP in each individual animal. In the three animals, visible GFP were observed only in proportions of the plated cells immediately after collection, showing 41, 2 and 91% of bone marrow cells in clones #1, 2 and 3, respectively.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GFP expression was variable even in an individual clone depending on cell sizes and types. The overall intensities of GFP expression were also different among the individual clones from very weak, weak to strong. Upon culture for 14 days in vitro (14DIV), some cell types showed intensive GFP expression throughout the cells; in particular, in cytoskeletons and the nucleus, on the other hand. Others are shown to be diffused GFP expression patterns only in the cytoplasm. Finally, characterization of stem cell lineage markers was carried out only in the clone #3 who showed intensive GFP expression. SSEA-1, SSEA-3, CD34, nestin and GFAP were expressed in proportions of the GFP expressing cells, but not all of them, suggesting that GFP expression occur in various cell line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argeted insertion of GFP gene should be pursued as in mouse approach to be useful for stem cell research. Furthermore, cell- or tissue-specific promoter should also be used if GFP pig is going to be meaningful for a model for stem cell transplantation.
        4,000원
        2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이버섯의 자실체 특성이 재배사 환경인자중 습도변화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기위해 농촌진흥청 버섯과에 보존된 8개 균주에 대해 형태적 특징, 경도, 색깔 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징에서 백색계통 버섯의 대길이는 습도 낮아지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갈색계통은 균주에 따라 각기 다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습도가 절대적인 지배요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갓직경은 습도와 상관관계가 없으며, 대굵기 및 갓두께는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품종에 있어서는 대길이가 가장 긴 품종은 ASI 4051, ASI 4031 이고, 짧은 품종은 ASI 4103 이며, 갓직경은 ASI 4103 가장 크고, 갓두께는 ASI 4103이 가장 두꺼우며, 가장 얇은 것은 ASI 4065이고, 대굵기는 ASI 4103이 가장 굵으며, ASI 4153이 가장 가늘었다 백색계통은 습도가 낮아지면 ASI 4021를 제외한 균주는 L값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ASI 4021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갓과 대가 명도(L)값은 감소된다. 그러나 채도(a, b) 값은 습도처리에 따른 차이가 작아 어떤 평가를 내리기가 곤란하였다. 갈색계통은 습이 낮아지면 명도 L 이 증가하는 경향이며, 채도(a, b) 값은 습도에 따른 차이가 크기 않아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곤란하지만, 갓의 a 값은 습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갓의 b값은 a 값과는 다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품종별 특성을 보면 대부분 대보다 갓 색이 밝은 색을 보인다. 습도 조건에 따른 경도의 차이는 어떤 일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갓보다 대의 경도가 높으며, 품종에 따라 각기 다른 정도를 나타낸다. 가장 높은 경도를 보이는 것은 ASI 4021 이며, 가장 약하게 나타난 것은 ASI 4166 품종이었다. 계통 간에는 갈색 보다 백색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습도조건 보다는 품종 및 계통에 따른 차이가 확실히 보이고 있다.
        4,000원
        2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이버섯의 자실체 특성이 재배사 환경인자중 온도변화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버섯과에 보존된 8개 균주에 대해 형태적 특징, 경도, 색깔을 조사하였다. 버섯생육온도에 따른 형태적 특성에서 대길이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짧아지며, 갓직경은 작아지는 경향, 대 굵기는 일정한 경향이 없으며, 갓두께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굵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품종에 따라 약간 의 차이가 있었다. 품종별 특성에서는 대길이가 가장 긴 품종은 ASI4065, 4151이고, 짧은 품종은 ASI4103호 이 었으며, 갓직경은 ASI4103호 가장 크고, 갓두께는 ASI 4153이 두꺼우며, ASI 4021가 가장 얇고, 대굵기에서는 ASI 4166가 가장 굵으며, ASI 4065호가 가장 가늘었다. 버섯의 생육온도별 자실체의 부위별 경도는 전반적으로 백색계통에서는 온도가 하강힘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 이나 갈색계통에서는 버섯생육온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일반적으로는 갓보다 대가 경도가 높았고, 전반적으로 갈색보다는 백색계통이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에 있어서는 대경도에서 가장 높은 것은 ASI 4021, 갓경도는 ASI 4021와 ASI 4166균주가 높았다. 버섯의 생육온도 처리에 따른 자실체의 색은 대 보다 갓이 밝은 색을 띠며, 백색계열 품종은 명도(L) 값이 높고, 갈색계통은 명도(L) 값이 낮으며, 백색계열의 명도값은 70-90 사이었으며, 갈색은 30-70사이였다. 채도(a, b) 값은 갈색 계열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 다. 총괄적으로 보면 팽이버섯은 환경적 요인 보다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4,000원
        3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고에서는 최근 재료분석에 활발히 응용되고 있는 EELS 분석장비의 원리와 응용 분야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EELS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주요 응용분야로는 원소의 정성 및 정량분석, 원소 및 화학 맴핑, 화학물의 결함구조를 알 수 있는 전자구조(DOS)에 대한 힌트 등이 있으며, 점차 재료의 근본 적인 성질을 추출할 수 강력한 분석기가 되고 있다. 또한 원소를 분석하고 맹핑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수초에서 수분 이하의 시간으로 매우 짧아 전자빔에
        4,000원
        32.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산계 폐기물로부터 chitin 유도체의 다양한 응용에도 불구하고 chitin의 상업적 이용은 적절한 용매의 부재와 화학적 저항성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므로 Mima의 방법을 응요하여 NaOH 농도, 반응시간, 온도 등을 조절하여 탈아세틸화반응에 의한 다양한 점도가 다른 chitosan을 제조하였으며, 2종의 가교제를 이용하여 가교결합에 의한 결정성을 증가시킨 가교 chitosan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점도가 다른 chitosan과 가교 chitosan유도체를 다양한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hitosan을 제조시 반응시간을 높이거나 반응온도를 높이면 탈아세틸화는 높아지나 분자사슬의 크기, 즉 점도와 분자량은 감소하였다. 반응온도, 반응시간과 알칼리농도에 따라 활용분야에 맞는 chitosan을 제조할 수 있다.
        4,000원
        34.
        1994.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bZr52,Ti48)O3인 composite ceramic target을 사용하여 R. 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기판온도 300˚C에서 Pt/Ti/Si 기판위에 PZT 박막을 증착하였다. 페롭스 카이트 PZT박막을 얻기 위하여 PbO분위기에서 로열처리를 행하였다. 하부전극으로 Pt를 사용하였으며 Pt(205Å)/Ti(500 Å)/Si 및 Pt(1000Å)/Ti(500Å)/Si기판을 준비하여 Pt두께화 Ti층이 산소의sink로 작용함으로서 이를 가속화하였다. Ti층의 상부는 산소의 확산으로 인하여 TiOx층으로 변태하였고 하부는 in diffused Pt와 함께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였다. TiOx 층의 형성은PZT층의 방향성에 영향을 주었다. 유전상수 (10kHz), 누설전류, 파괴전압, 잔류분극 및 항전계는 각각 571, 32,65μ A /cm2, 0.40MV/cm, 3.3μ C /cm2, 0.15MV/cm이었다.
        4,000원
        35.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Zinc (Zn) is one of dietary micronutrients and it is second highest trace element in the body. Over 95% of Zn is located in the cells, but its dominant storage site is absent in the body. Deficiency of Zn may result in anorexia, dysgeusia, dysosmia, skin rash, infection, alopecia, growth failure, and impaired wound healing. Therefore, adequate supplementation of Zn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normal physiological conditions. Methods and Results : Zinc sulfate monohydrate (ZnSO4)-loaded nanocomposites (NCs) were fabricated by using a hot-melt extruder (HME) system. Soluplus (SP) was adopted as an amphiphilic polymer matrix for HME processing. The micro-size of ZnSO4 dispersion was reduced to nano-size by HME processing with the use of SP. ZnSO4 could be homogeneously dispersed in SP through HME processing. ZnSO4/SP NCs with a 75 ㎚ mean diameter, a 0.1 polydispersity index, and a -1 mV zeta potential value were prepa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ZnSO4/SP NCs and the existence of SP in ZnSO4/SP NCs were further investigated by solid-state studies. Nano-size range of ZnSO4/SP NC dispersion was maintained in the simulated gastrointestinal environments (pH 1.2 and 6.8 media). No severe toxicity in intestinal epithelium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ZnSO4/SP NCs (at 100 ㎎/㎏ dose of ZnSO4, single dosing) was observed in rats. Conclusion : These results imply that developed ZnSO4/SP NC can be used as a promising nano-sized zinc supplement formulation. In addition, developed HME technology can be widely applied to fabricate nano formulations of inorganic materials.
        3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산화 촉매인 2,2,6,6-tetramethyl-1-piperidine-N-oxy radical (TEMPO)을 이용해 카복실기로 치환된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TC)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수용액 및 에멀젼에서도 그 구조를 유지하였다. 피부 표면에 미세섬유 구조로 안착된 수분 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바이오셀룰로오스의 고유의 물성인 물리적 강도, 수분 흡수능을 유지하였다. 모델 피부인 젤라틴 젤에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코팅 후 경도 측정 시,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가 피부 표면을 잡아주기 때문에 코팅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약 20%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분 흡수능을 측정하기 위해 돼지피부에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도포 후 접촉각을 측정하였을 때, 낮은 초기 접촉각을 가지면서도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O/W 제형에서도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가 함유된 O/W 제형 에서 시간에 따른 접촉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C에 대한 연구는 피부 위에서의 미세섬유의 기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fiber-cosmetics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화장품 제형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3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concentration of fiber particles in 30 public facilities and 245 schools by PCM (phase contrast microscopy). Also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energy dispersive using X-ray analysis) was used to obtain physicochemical information of asbestos fiber and to classify asbestos and non-asbestos of fiber particles.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fiber particles were 0.0009±0.0009 counts/mL in public facilities and 0.0012±0.0006 counts/mL in schools by PCM. All the samples were satisfied with the IAQ (indoor air quality) level of 0.01counts/mL. In classification of 4 type shapes, over 80% of the fiber particles were identified as single fiber type. And this study analysed airborne fiber particles in 4 sites for identifying asbestos of by SEM/EDX. The asbestos fibers in most samples could not be found.
        39.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의 진안, 장수, 정읍 등의 3개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지황에 바이러스 병징이 관찰되어 ELISA 방법으로 TMV의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3개 지역 모두에서 ELISA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N. glutinosa를 이용, 순수분리 및 증식한 이병주의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폭 18nm, 길이 300nm의 막대 모양의 바이러스가 관찰되었다. 또한 epoxy수지를 통해 이병조직의 세포질내에서 많은 바이러스 입자가 군집 또는 산재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TMV의 병징은 즙액 접종 4주 후부터 담배 잎의 본엽에 부분적으로 반점이 보이다가 4­6주 후에는 황화 현상과 괴사 현상이 나타났다. 이병주로부터 total RNA를 분리하여 RT­PCR을 수행한 결과 531bp DNA 증폭 산물을 얻었으며 genetyx win program을 이용하여 외피단백질의 염기수준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TMV­T, V, To 세 계통에서 각각 94.8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MV­P계통에서 67.3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수준에서는 TMV­T, V, To 세 계통에서 각각 97.6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MV­P계통에서 72.2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타 계통들간에는 TMV­152, F 계통에서 94.05%, TMV­C 계통에서 68.63% 유사도를 나타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