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2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activated carbons (ACs) were derived from sugarcane bagasse under two activation schemes: steam-pyrolysis at 600-800℃ and chemical activation with H3PO4 at 500℃. Some carbons were treated at 400, 600℃, or for 1-3 h, and/or in flowing air during pyrolysis of acid-impregnated mass. XRD profiles displayed two broad diffuse bands centered around 2θ=23 and 43˚, currently associated with diffraction from the 002 and 100/101 set of planes in graphite, respectively. These correspond to the interlayer spacing, Lc, and microcrystallite lateral dimensions, La, of the turbostratic (fully disordered) graphene layers. Steam pyrolysis-activated carbons exhibit only the two mentioned broad bands with enhancement in number of layers, with temperature, and small decrease in microcrystallite diameter, La. XRD patterns of H3PO4-ACs display more developed and separated peaks in the early region with maxima at 2θ=23, 26 and 29˚, possibly ascribed to fragmented microcrystallites (or partially organized structures). Diffraction within the 2θ=43˚ is still broad although depressed and diffuse, suggesting that the intragraphitic layers are less developed. Varying the conditions of chemical activation inflicts insignificant structural alterations. Circulating air during pyrolysis leads to enhancement of the basic graphitic structure with destruction and degradation in the lateral dimensions.
        4,000원
        22.
        2006.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ungsten-molydiside was synthesized by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SHS). The SHS product with the initial composition of (0.5Mo+0.5W+2Si) contains 23.9% , 40.89% with remaining 9.11% Mo, 9.16% Si and 16.94%W. Lattice parameters of the and determined by Rietvelt analysis were a=0.3206 nm, c=0.7841 nm and a=0.3212 nm, c=0.7822 nm, respectively.
        26.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ano-scale crystallite sizes of uranium oxide powders in simulated spent fuel were measured by the neutron diffraction line broadening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sintering behavior of the dry process fuel. The mixed and fission product powders were dry-milled in an attritor for 30, 60, and 120 min. The diffraction patterns of the powders were obtained by using the high resolution powder diffractometer in the HANARO research reactor. Diffraction line broadening due to crystallite size was measured using various techniques such as the Stokes' deconvolution, profile fitting methods using Cauchy function, Gaussian function, and Voigt function, and the Warren-Averbach method. The non-uniform strain, stacking fault and twin probab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information from the diffraction pattern. The realistic crystallite size could be obtained after separation of the contribution from the non-uniform strain, stacking fault and twin.
        4,000원
        30.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ructural studies of amorphous isotropic carbon prepared from pyrolysis of phenol formaldehyde resin have been carried out using X-ray diffraction. X-ray diffraction from as prepared sample at 1000℃ and a sample treated at 1900℃ revealed that both are amorphous even though there are small differences in short range order. It is found that both are graphite like carbon (GLC) with predominantly sp2 hybridization. Small angle X-ray scattering results show that as prepared sample mainly consists of thin two dimensional platelets of graphitic carbon whereas they grow in thickness to become three dimensional materials of nano dimensions.
        3,000원
        32.
        200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σ-VFe 금속간화합물에 대한 기계적 합금화(MA) 효과를 중성자 및 X선 회절법으로 조사하였다. MA 분말의 구조분석은 X선 회절(Cu-Kα) 린 중성자회절(HRPD, λ=1.835Å)을 이용하여 행하였다. σ-VFe화합물의 MA시 큰 구조변화가 관찰되었으며, MA 60시간의 경우 Fe-Fe 훤자분포는 unit cell에 30개의 원자를 포함하고 있는 σ상의 tetragonal구조에서 120˚C이상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는 α-(V,Fe) 고용체의 bcc 구조로 상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α-VFe 화합물에 대한 중성자 및 X선 회절패턴의 비교분석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 σ상이 가지는 화학적 규칙성에 기인하는 (101)과 (111) 회절 피크가 중성자 회절에서 뚜렷하게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3.
        2000.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on-stoichiometric ceramics of were prepared by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reaction with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ir stoichometric numbers were determined by neutron diffraction. The neutron diffraction patterns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using monochromatic neutrons with a wave length of 0.18339 nm from a Ge(331) mocochromator at a 90 degree take off angle. The Rietveld refinement of each pattern converged to good agreement (x2=1.88-2.24). The neutron diffraction analysis revealed the final stoichiometries of the ferrites were and respectively. This supports that final stoichiometric number of the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product can be controlled by the processing parameters during the combustion reaction.
        35.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AMOST is a special reflecting Schmidt telescope. Both the refleting Schmidt plate MA and the spherical primary mitrror MB are segmened mirrors. These two cofocus but not co-phase. The diffraction of the optical system is decided by the shape overlapping of MA and MB. This paper describes the diffraction caculating results with different declination and different field angle. The diffraction influence to the image quality is acceptable in the error buget of optical system. It also proves that the size seletion of the sub-mirror is reasonable.
        36.
        199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b O370 mol%와 SrTi O330 mol%의 고용체인 (Na0.7S r0.3)( Ti0.3N b0.7) O3는 완전 고용에 의한 one phase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온도변화에 대한 유전 특성 측정 결과 100K 부근에서 완만한 유전 피크가 관찰되었다. 유전 피크를 전후한 상온과 12K에서 결정 구조 해석을 Rietveld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 상온에서는 단순 페로브스카이트의 a, b 그리고 c격자를 2배로 하는 격자를 격자 상수로 갖는 사방정계의 단위포를 형성하며 공간군은 Pmmm이였고, 12K로 온도를 낮추었을때 역시 단순 페로브스카이트의 a, b 그리고 c격자를 2배로 하는 격자를 격자 상수로 갖는 사방정계 단위포를 형성하나 공간군은 Pnma로 바뀌었다. 이러한 결정 구조의 변화는 c축 방향의 (Ti, Nb)-O-(Ti, Nb) 결합 각도에는 거의 변화가 없이 팔면체 중심의 (Ti, Nb)-O간의 결합 거리가 대칭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이로인해 산소 팔면체가 distortion되어 생기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00K 부근에서의 완만한 유전 피크는 산소 팔면체의 distortion에 의한 구조상전이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수 있었다.다.
        4,000원
        37.
        1995.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8.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합성 모데나이트(Na6.6Al6.6Si41.4O96·20.4H2O, Na-MOR)를 이용한 다양한 중금속의 포획 연 구를 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 고분해능 X-선 분말 회절을 이용하여 치환체의 격자상수 및 부피 변화를 이해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열중량 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으로 측정한 결과, 1가 양이온 치환체(Cs-MOR, Na-MOR)는 단위포 당 19.4, 20.4개의 물분자가 존재하였으며, 2가 양이온 치환 체(Pb-MOR, Sr-MOR, Cd-MOR)는 단위포 당 21, 23.1, 23.2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한 모든 물 질은 사방정계에 속하는 Cmcm의 공간군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치환 전 물질인 Na-MOR과 비 교했을 때, 치환체의 (110)면과 (200)면의 회절강도가 명확하게 변화하였으나, 전체적인 피크의 위치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a-MOR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았던 (220)면의 피크가 Pb-, Cd-, Sr-MOR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서 양이온 치환에 따른 원자들의 분포 변화가 주로 ab-평 면상에서 나타나지만, 격자상수의 변화는 미세할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Whole profile fitting 방법을 사용 하여 치환된 모데나이트의 미세한 격자상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치환체의 격자상수 및 격자부피의 변화는 치환된 양이온의 반경 및 전하수에 따라 서로 다른 경향성을 보였다. 1가 양이온의 경우, 이온반경이 증가할 수록 a-축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반면에 b- 및 c-축의 길이는 감소하였다. 2가 양이온의 경우, 이온반경이 증 가할수록 대체적으로 a-축의 길이가 감소하고, b- 및 c-축의 길이는 증가하였다. 격자부피는 1가 또는 2가 양 이온 치환체들이 각각 독립된 경향성을 가지며, 이온반경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9.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은 원형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하므로 비파괴적인 분석법을 통한 무기질 문화재 및 그 원료물질의 광물조성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는 비파괴 표면 X-선 회절분석법(ND-XRD)을 석재, 채색된 안료, 토제, 금속 등 유형별 무기질 문화재 및 시편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문화재의 비파괴 분석법 중 하나로써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기 내에 거치가 가능하며, 구성입자의 크기나 배열 및 굴곡 등 분석대상면의 특성이 스캔에 적합한 시료일 경우 모든 유형에서 광물조성 해석에 활용 가능한 회절패턴이 획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의 기질부에 비하여 표면의 회절정보가 우세하게 획득되므로 수평적 또는 수직적으로 다른 물질로 구성된 대상에 적용할 경우 각 부위별 광물조성정보와 함께 이들의 선후관계 파악을 통한 제작기법 및 변질양상 등의 해석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시료채취 및 분말화 과정을 생략한채 문화 재시료 자체를 스캔하는 분석방법의 특성으로 인하여 특정 결정면의 정보가 강하게 중첩되는 경우가 일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회절패턴은 점토광물의 편향성효과와 같이 광물동정에 유리하게 활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단결정에 가까운 크기와 배열을 갖는 입자로 인하여 불규칙한 회절강도 비가 획득 되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광물동정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40.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사 올리빈 구조를 가지는 탄소코팅 합성 Li+Fe2+(PO4)3- 분말시료에 대한 상온-고압실험을 대칭 다이아몬드 앤빌기기를 이용하여 35.0 GPa까지 시행하였다. LiFePO4의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체적탄성률은 130.1±10.3 GPa이다. 18 GPa 이상의 압력에서 d = 3.386 a 위치에 새로운 피크가 관찰되고 35 GPa에서는 d = 2.854 a에 또 다른 피크가 관찰되고 있으나 주 결정구조는 사방정계인 것으로 판단된다. 압력에 대한 단위 포 부피의 압축은 M1(Li+O6)의 수축이 두드러지고 M2(Fe2+O6)와 사면체(PO4)의 수축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