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3.
        199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24.
        199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25.
        199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26.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국외에서 개발된 초등교사열의 척도가 국내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는 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검토와 탐색적 요인분석결과를 토대로 218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최종문항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자료분석 방법은 첫째,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구인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문항별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추출된 모형의 적합도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척도의 준거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교사효능감, 교사-학생효능감과 초등교사열의의 요인들 간의 Pearson 적률상 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정서참여, 사회참여: 동료관계, 사회참여: 학생관계, 인지참여 등 4요인 16문항이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이에 대한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준거척도와의 상관분석결과, 교사열의척도의 하위요인들은 초등교사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 정보기자재효능감과 행정업무효능감와 낮은 상관분포를 나타냈으나, 자기조절효능감,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효능감, 생활지도효능감, 교과지도효능감과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사-학생관계 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은 초등교사열의의 하위요인들과 높은 정적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한국판 초등교사열의 척도의 변별적 및 수렴적 준거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초등교사열의 척도에 대한 학교현장과 교사교육에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27.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지각된 학생지도성,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학습컨설팅 역량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모형을 설정한 후, 초등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세 변인의 직·간접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통해 측정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세 변인들로 이루어진 모형이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측정변인들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학생지도성은 학습컨설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학습컨설팅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전문성 및 학생에 대한 이해와 같은 학생지도성을 강화해야 하며, 교사-학생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대한 신념이 높아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28.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에게 교직 생애 처음으로 접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경험기를 평가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그들의 솔직한 생각과 느낌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앞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학년도에 초임 발령을 받은 경상북도 시 지역의 신규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을 모아 Spradely의 주제분류 방법을 통해 정리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하기 전, 이 제도에 대해 사전 지식을 가진 교사는 거의 없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들은 선배교사들의 이야기는 모두 부정적이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사전 지식은 없었지만 전문성 신장이라는 제도의 목적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으며, 수업 능력과 학급 경영에 관해 평가받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며 기대 반, 걱정 반의 이야기를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이후, 신규교사들은 받은 결과를 읽고 평가를 받고나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언급하였으나 동료 교원 평가에 관해서는 전체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전문성 신장이라는 목적과는 크게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답변 내용을 토대로 향후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습 내용 추가, 신규교사 대상 임용연수에서 제도에 대한 연수 확대, 동료 교원 평가는 축소하되 학생 평가는 확대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평가의 목적을 살릴 수 있도록 문항을 구체화하고 교육활동 소개자료 및 능력개발계획서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순기능을 살리고 학교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줄일 수 있도록 나아갈 필요가 있다.
        29.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요인으로 교사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을, 환경요인으로 집단효능감과 학교조직문화를 선정하여 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총 24교, 349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전자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는 교직경력 및 월평균가구소득에 따른 행복의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영향이 없었다. 둘째, 교사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은 초등학교 교사의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자아탄력성과 학교조직문화만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효능감은 자아탄력성과 학교조직문화 각각을 거쳐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와, 집단효능감이 교사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을 순차적으로 거쳐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이 변인 간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살펴보았다는 한계를 보완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이라는 두 가지 차원의 종합적 틀 안에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30.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사회과 다문화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초등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25명의 예비 초등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학년과 주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작성한 사회과 다문화 수업지도안과 본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수정한 CoRes(Content Representations)기반 질문지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다문화 수업의 목적으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존중, 포용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그 이유로 국내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세계화시대 글로벌 시민성의 필요를 꼽았다. 둘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다문화수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수업참여 유무와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수준을 가장 깊게 고려하였다. 또한 사회과 다문화수업을 구성할 때 다문화로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해결책을 찾는 문제해결학습을 주로 활용하였으며 가치와 태도에 중심을 둔 평가를 실천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예비 초등교사의 사회과 다문화수업 인식이 초등교사교육 전반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다양한 다문화 경험과 체험의 기회를 교원양성과정 속에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과 다문화수업의 가치태도 평가방법에 대한 의견과 아이디어들이 더욱 활발하고 풍부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셋째,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한 다문화 교재개발 및 교육적 차원에서 정선된 다문화 교육논리와 개념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문제해결로서의 다문화교육을 넘어 다양한 논리의 사회과 다문화 수업인식이 요구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31.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우선 요구되는 과업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18학년 도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에 진로전담교사로 배치된 583명의 교사이다. 연구자료는 Jeong et al.(2017)이 제시한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에 근거하여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되었 다. 수집된 자료는 교육요구도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를 위한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우선 요구되는 과업은 진로교육 관련 시 수 편성 및 학년 진로교육과정 방법 안내, 진로교육 수업자료 또는 정보 제공, 진로심리검사 결과 해석 방법 연수, 학생 진로상담 지원, 진로체험 예산 확보, 지역사회 네트워크 관리, 지역사회 진로 체험처 선정, 지역사회 진로체험처 프로그램 협의 방법 등이다. 둘째, 진로전담교사가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다루기를 희망하는 과업은 여타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해결할 수 있는 과업과는 달 랐다. 연구결론에 따른 시사점도 제시되었다.
        32.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rapid economic growth, the urban environment has created a problem of human physical and mental illnes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urban forests have emerged as a way to mitigate the environmental risks through improving the polluted environment of the c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the urban forests have expanded, the school forests movement has also been taking an important place recently. The study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school forests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ir function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questions concerning human matters, 10 questions for space recognition, 4 questions for thermal environment, 2 ques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20 total questions for composition of survey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school forest function, number of tree planting areas and quantities, the harmony of the planting,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rest were analyzed in the questionnaire conducted by the school members. Although it does not recognize school forests, it has a positive response to the green space that is built outdoors. It is considered that outdoor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re sufficient in school forests and green spa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door green space was more satisfactory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were similar to 'seasonal changes' and' trees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The reliability analysis between each item shows that the coefficient for cronbach ' s α was . 700 to . 8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among school forest members and to utilize them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33.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은 교육과정과 수업 개선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초등교사들로부터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관심 속에서 많은 연구들이 백워드 교육과 정 설계와 실천에 대해 논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관련하여 교사들이 구체적으 로 어떠한 형식의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을 실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 히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에 있어서 초등교사들이 참 고할 수 있는 구체적 실천 형식을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모두 5개의 실천 형식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들이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34.
        201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 명의 미국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문화와 언어가 다른 도심지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과학 수업 구성함에 있어서 어떻게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지식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도심지 저소득 학생들을 위한 각 교사의 세부적인 교육적 결정과 여러 가지 당면 한 상황 간에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상황에 대한 교사지식”에 관한 이론적 분류틀 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중 사례연구로 각 교사에 대한 연구가 독립적인 사례로 제시 되었다(Merriam, 2001). 교실 관찰 기록과 인터뷰 전사 자료가 주요 연구 데이터로 사용되었으며 해석학적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가지는 학생들의 과학 용어 이해의 부족과 같은 학생 상황에 대한 이해와 국어가 강조되는 학교 교육과정과 같은 외부 상황에 대한 이해가 비슷할지라도 각 교사의 실제적인 수업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 준다. 특 히 각 교사의 내부적 상황 지식(knowledge of internal context)이 각 교사가 교수법적 결정과 실 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가 문화 반영적 과학 교수법 (culturally relevant science teaching practices)에 대한 이해 부족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 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도심지 빈민 다문화 학생을 위한 초등과학교육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 였다.
        35.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단위학교 내 동학년을 기반으로 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초등교사들의 교 육과정 실행 경험의 양상을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하여 이해하고, 단위학교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정책에 대한 요구를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한 내부자적 관점에서 탐 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총 14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이 이루어졌다. 연 구 결과 참여자들은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공동 연구–공동 실천의 순환 구조라는 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준 맥락적 조건으로 교육정책의 변화, 학교 상황이, 전문적 성장에 대한 욕구와 협력의 필요성 발생은 현상의 인과적 조건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역할과 지원적 환경, 구성원 특성 및 배정, 의사소통과 공동의 목표, 자발성과 자율성, 교사 협력과 같은 중재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은 그 양상에 따라 교사들의 경험을 방해하거나 촉진시켰고, 참여자들은 인식 및 태도 형성하기, 시도 및 조정하기, 극복 및 유지하기의 경험의 과정 속에서 운영 및 참여 전략, 역할 분담 전략, 수업 실행 전략, 정의적 영역 전략을 활용하 여 수업 동료성 구축, 교육과정 역량 동반 성장, 함께 연구하는 학교 문화라는 결과를 경험하 였음이 드러났다. 개방 코딩 단계에서 발견된 범주 사이의 관계를 반복적 비교 분석한 결과 협 력적 교수 실천에 관한 반성적 논의 구조 형성하기라는 핵심 범주를 설정하였으며, 핵심범주와 근거자료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경험 유형을 핵심 리더형, 적극적 협력자형, 소극 적 적응자형, 비판적 주변인형이라는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 로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가 지속가능성을 갖기 위한 교사 수준, 단위학교 수준, 지역 수준, 국가 수준의 지원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36.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 공동체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교사학습공동체의 촉진 요인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 학생의 학습에 초점을 맞춘 목 표와 가치를 공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목표와 가치 공유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원동력이 되었다. 공동체의 목표와 가치는 외부에서 주어지기 보다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반성적 대화를 통해 공유했을 때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냈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학교장의 격려와 지원뿐만 아니라 공동체 내 촉진자의 정서적 지지 및 리 더십 공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구성원들 간의 반성 적 대화는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고 발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교사들 의 자발적 의지로 시작된 공동체에서 실천에 대한 반성적 대화뿐만 아니라 가정 및 신념 등에 대한 반성적 대화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졌다. 넷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공유된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적 탐구와 실천 공유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교육실천과 연계된 교사학습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협력적 탐구의 지속성과 실천 공유 방식에 있어서는 두 사례의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교사학습공동체 촉진 요인으로는 교사의 자율성, 구성원들 간 신뢰 및 지원, 학교장의 압력 및 지원, 충분한 시간, 그리고 구성원들의 협력적 탐구 의지와 집단 책임 감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발전시키 는 데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37.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스트레스가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남교사, 여교사)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75명이다. 본 연구 결과, 교사 스트레스는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교사와 여교사 모두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개인적 성취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교사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교사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 스트레스를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38.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actical way of teacher selection system to recruit a high quality teacher based on the current teacher recruitment system. To achieve the goal of this purpose, the employed method was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data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as such: To acquire a high quality teacher, the current teacher selection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to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teacher professionality. In a quite strict sense, the current teacher selection and the recruitment process had nothing to do with the high quality teacher selection and recruitment resulted from a lack of evaluation system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Even essay test and interview test did not guarantee the objectiveness and reliability because of no feedback from teacher training institutes.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various evaluation tool must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dimension of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a teacher, not simple questions and stereotyped interview.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