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2.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ment for assessing risk factors for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Rasch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items on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assessing self-efficacy, and items on the Berg Balance Scale (BBS), assessing balance function, contribute jointly to a unidimensional construct in the elderly. A total of 35 elderly persons (4 men, 31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item of ABC (16 items) and BBS (14 items) was scored on a 5-point ordinal rating scale from 0 to 4. The initial Rasch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icated that 3 of the ABC items and 2 of the BBS items were misfit for this study. These 5 items were excluded from further study. After combining ABC and BBS, Rasch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ere examined and finally 23 items selected; 12 items from ABC, 11 items from BBS. The 23 combined ABC-BBC items were arranged in order of difficulty. The hardest item was 'walk outside on icy sidewalks' and the easiest item was 'pivot transfer'. Although structural calibration of each 5 rating scale categories was not ordered, the other three essential criteria of Linacre's optimal rating scale were satisfied. Overall, the ABC-BBS showed sound item psychometric properties. Each of the 5 rating scale categories appeared to distinctly identify subjects at different ability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new ABC-BBS scale measure balance function and self-efficacy. It will be a clinically useful assessment of risk factors for falling in the elderly. However, the number of subjects was too small to generalize our resul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new assessment considering more risk factors of falling in elderly.
        4,000원
        2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처짐값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구조적 상태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포장체 각 층의 구조적 상태 평가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유한요소해석 아스팔트 포장체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포장체의 표면처짐값과 포장체 내부반응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FWD 처짐값과 포장체 두께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포장체 내부반응을 계산할 수 있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내부반응 모델을 통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반응모델을 토대로 아스팔트 포장체 각 층의 구조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절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도 11개와 지방도 8개 노선에서 FWD와 동적관입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현장에서 채취한 코어는 아스팔트 시편의 삼축압축반복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아스팔트층의 경우 아스팔트층 하부의 인장변형률값과 회복탄성계수값이 아스팔트 층의 강성 특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인자로 판단되었다. 보조기층에서는 BDI값과 보조기층 상부의 압축변형률이 보조기층의 지지력 평가에 적합하였으며, 하부층의 경우 BCI값과 하부층 상부의 압축변형률값이 노상토의 지지력 및 상태를 판단하는데 적절한 인자로 선정되었다. 아스팔트층과 보조기층은 3단계, 하부층은 2단계로 구분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구조적 상태를 평가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4,000원
        2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험도로 줄눈 콘크리트포장에 대하여 48시간 동안 시간에 따른 처짐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컬링거동의 보정방안을 도출하였다. 임의 시간 슬래브의 중앙 처짐/줄눈 처짐이 임의 시간 중앙 처짐/기준 시간 중앙 처짐 사이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서 얻어내었다. 임의시간에 측정된 처짐으로부터 하루 가운데 최소 처짐이 나타나는 기준시간 처짐으로의 변환은 회귀곡선을 통해 추정 하였고 데이터 축적을 통해 컬링거동 보정 방안의 하나로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5.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속하며 향후 고령 사회 진입과 가족 단위의 변화로 인해 노인의 건강하고 독립적인 생활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낙상은 노인의 조기사망, 신체적 손상, 움직임 감소(immobilization), 정신적 위축, 활동 참여 제한, 장기간의 장애 등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낙상의 예방은 노인 개인의 건강 유지와 독립적 활동을 통한 삶의 질 증진뿐 아니라 노인 낙상과 관련된 사회적 부양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낙상과 관련된 위험 요인과 이를 최소화하기위한 작업치료 방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낙상 위험 요인은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연령 증가, 낙상 경험, 균형 손상, 근력 약화, 느린 보행 속도 등이 내적 요인에 포함된다. 이밖에도 연령과 관련된 생리적 변화와 다양한 신체 체계의 만성 질환이 낙상과 연관된다. 작업치료사는 낙상에 대한 외적 요인에 대한 접근으로서 건축적 장애를 해결하는 주거 환경 조절(modification)을 실시한다. 또한 노인은 근력 강화 운동, 유연성 훈련, 유산소 운동, 걷기 운동 등의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통해 근력과 균형 및 보행 속도를 증가시키는 낙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보조 기구 및 보호 장비를 활용하며 정서 및 인지 행동적 접근을 통해 낙상을 예방한다. 이처럼 낙상은 다양한 내적 및 외적 위험 요인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므로 노인 낙상에 대한 예방은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들의 건강과 독립적인 생활 유지 그리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각 노인의 개별적 낙상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이에 맞는 실질적 예방 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4,000원
        28.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Ambulation Performance score of senior adults with or without a history of falls during walking at a preferred velocity. Twelve subjects with a history of falling (mean age=73.8) and eight subjects with no history of falling (mean age=70.4) participated in the study.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of gait were analyzed using the computerized GAITRite system. The GAITRite system integrates specific components of locomotion to provide a single, numerical representation of gait, the Functional Ambulation Performance score. The Functional Ambulation Performance score is a Quantitative means of assessing gait based on specific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wo groups demonstr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Functional Ambulation Performance score for those with a history of falls. They had lower values for step/extremity ratios, mean normalized velocity, and greater values for step times, percent in double suppor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AITRite system can be useful in detecting footfall patterns and selected time and distance measurements of persons with a history of falls and the Functional Ambulation Performance score can be used as indicators of gait performance for senior adults with a history of falls.
        4,500원
        2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Berg Balance Scale, which is a clinical tool used to evaluate balance ability,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and falling; determined the parameters most closely related to falling; and identified a discriminatory parameter and its predictability. Thirty-four subjects aged 72 to 92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llowing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falling, the Berg Balance Scale and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were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cidence of falls increased with aging and an accompanying reduction in the flexion range of motion of the hip joint. The gait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who fell easily included a slower walking speed, shorter stride, and longer stance time than other elderly. When the cutoff score was set at 45, the Berg Balance Scale was able to identify correctly those individuals who truly have experience of falling than when the cutoff score was set at 39. But when the cutoff score was set at 39, the scale's specificity identifying correctly those individuals who truly have not experience of falling was higher than at the cutoff score of 45. Therefore, the Berg Balance Scale is an appropriate screening method in a clinical setting for the early detection of elderly people at risk of falling. In conclusion, elderly people with a Berg Balance Scale score. below 45 are the most likely to fall owing to their decreased balance ability.
        5,400원
        30.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lls are the most serious health problems in elderly population. They are a major cause of premature death, physical injury, immobility, psychosocial dysfunction, and nursing home placement. To reduce the alarming rate of falls and related excessive mortality and morbidity, efforts must be made to detect persons at risk of falling and to prevent or reduce the frequency of falls. To facilitate such approaches, it is essential to find the cause of falling (and under what conditions) of the elderly and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risk of falling. This study was aimed at designing interventions that minimize risk of falling by ameliorating contributing factors while maintaining or improving patient's mobility.
        4,200원
        33.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ause of the falling of the girder of a PSCI bridge under construction was investigated to prevent from similar accidents. The I-type bridges are the most unstable phase after the girder construction and before the installation of concrete slab. Generally the bridg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secure stability in the construction process. However, this bridge was found to have fallen in a rainy and strong wind with some neglect of the procedures and methods presented in the design.
        3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설재난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 중 호우나 태풍과 같은 풍수해에 이어 피해규모가 큰 재해에 해당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여름철의 태풍, 호우에 의한 피해와 겨울철 자연재난인 대설, 한파 등의 강도가 점차 강해지고 있다. 대설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교통, 건축, 시설 등 다양한 부문에서 나타나며, 대설재난 관리를 위해서는 기상학 분야, 교통 분야, 건설 분야 등에서의 통합적 대응체계가 요구된다. 또한 효과적인 재난 관리를 위해서는 대설에 대해 직접적으로 다룰 수 있는 법령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과 제도적 측면에서의 대설재난에 대한 대응체계가 미미하고, 대설재난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 전문분야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자연재해대책법 등 대설과 관련된 법령과 조례, 관련 계획 등 제도적 현황에 대한 검토 및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설재난대응에 대한 현안 문제를 파악하고, 대설재난대응을 위한 통합적 관리방안 수립 및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36.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a floor falls onto the floor below, the impulse transmitted to the lower system results in considerable deformation in the impacted floor. In this paper, a linear static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procedure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impact of failed members. The impact loads computed from various simplified methods were calibrated with FEM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procedure was applied to a moment frame and a braced fram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ithout considering impact load.
        37.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ABA차를 본태성 고혈압 쥐에 음용시켰을 때, 1.5% GABA차가 포함된 먹이를 섭취한 본태성 고혈압 쥐의 3주 후 수축기 혈압은 처음의 175.53mmHg에 비해 177.35mmHg로 별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구는 192.06mmHg로 수축기 혈압이 상당히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혈장 중 aldosterone 농도도 GABA차 1.5% 섭취 쥐는 248.56±30.44pg/ml인데 반해 대조구는 606.98±57.79pg/ml로 2.5배 이상 농도 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