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6

        2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 aim to breed an early-maturing varie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t was conducted at the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Korea, from 2022 to 2023. The new variety named “Oasis” is a diploid with green leaves and has a semi-erect growth habit in late fall, and an erect growth habit in early spring. With a heading date of May 10, Oasis is categorized as an early-maturing variety. Compared with the “Florida80” as a control variety, Oasis’s flag leaf was 1 mm wider and 2 cm shorter, while the plant length was 7.8 cm longer. Additionally, the ear of Oasis was 1.2 cm longer than that of Florida80, and it showed lodging resistance. The dry matter yield of Oasis (8,805 kg/ha) was higher than that of Florida80.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Oasis were 64.5%, and 9.3%, respectively, which were 1.1% and 0.6% higher than those of Florida80, respectively. The neutral an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s in Oasis were 54.2% and 30.8%, respectively, which was 1.9% and 1.4% lower than those of Florida80,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asis has good dry matter yield in the most of region and especially, middle and northern region of South Korea.
        4,000원
        2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were confirmed by bean sprout waste(BW) as an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rice bran. The mycelium growth of Sanjo701, a major cultivation variety of L. edodes, was compared between a medium mixed with 8:2(v/v) of oak sawdust and a medium mixed with BW 50% and BW 100%. The mycelium growth in BW 50% was 13.5 cm. Compared to the control, BW 50% increased the diameter of the pileus by 1.6 cm. 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pileus decreased by 0.4 cm when comparing the growth of the fruit body. In contrast, at BW 50%, the diameter of the pileus decreased by 9.6 cm and the length of the stipe decreased by 1.4 cm.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constituent amino acids, BW 50% showed a lower overall nutritional content than the control, whereas BW 100% had a lower amino acid content than the control. However,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hich are flavor-enhancing ingredients, were observed at levels of 3.954 mg/g and 1.436 mg/g, respectively, in BW 100%. Therefore, if bean sprout by-products are efficiently processed and utilized, it is believed that they will be beneficial to farmers as a substitute for rice bran and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substrate
        3,000원
        23.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곰솔 현실림의 생장특성을 반영한 지위지수곡선을 개발하고자 최근 산림자원조사를 통해 획득한 493 plots의 곰솔 임분 자료를 수집하여 진행되었다. 수고생장모델 개발을 위해 생장추정에 널리 쓰이고 있는 Chapman-Richards, Schumacher, Gompertz 및 Weibull 대수차분방정식을 적용한 결과, 적합도가 가장 높은 Weibull식을 수고 생장모델에 대한 최적합식으로 선정하였으며, 유도곡선법을 이용하여 지위지수 곡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해안⋅내륙 각각의 곰솔 지위지수 분류곡선을 이용하여 임령에 따른 독립된 두 집단의 우세목 수고생장을 비교 분석한 결과, 임령 50년 이후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된 곰솔 현실림의 생장특성을 반영한 지위지수를 통해 지역 간 생장특성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지역별 맞춤형 임분관리계획 수립 시 활용가치가 더욱 기대되는 바이다.
        4,000원
        24.
        202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FT 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밀폐형 식물생산시스 템에 MB처리 유무에 따른 상추(Lactuca sativa L.)와 배초향 (Agastache rugosa Kuntze)의 생육과 양액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추와 배초향은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 서 23일간 재배되었다. MB는 매일 9시, 13시, 17시에 5분씩 16일간 처리하였다. 상추와 배초향의 엽장, 엽폭, 엽면적, 생 체중 및 건물중은 MB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 았다. 상추와 배초향의 총 뿌리길이, 뿌리 표면적, 근단 수도 MB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평균 뿌리 직경의 경우, 상추는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배초향은 MB처리 구에서 유의적으로 굵어 종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DFT 방식으로 상추와 배초향을 재배할 때 MB 처리는 비생물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4,000원
        25.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은무(Kalanchoe pumila)는 돌나물과(Crassulaceae)에 속 한 다육식물의 일종이다. 이 종은 학술적으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 미지의 식물이나 군생하여 자라며 분홍색 꽃을 개화 하기 때문에 관상가치가 높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온도 처리에 따른 백은무의 생육과 개화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온도는 주간/야간의 온도를 20/15, 24/19, 28/23, 32/27℃ 의 네 가지 단계로 설계하였다. 결과에서 백은무는 20/15℃ 처리구에서 초폭, 줄기의 지름, 피복면적, 엽수, 엽장, 엽폭,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꽃대의 길이, 꽃수, 화 장, 화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은무는 상대 적으로 저온의 환경에서 더 많은 탄소동화작용을 수행하는 것 으로 보인다. 한편, 24/19℃ 처리구에서는 초장과 정규식생지 수를 나타내는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8/23℃ 처리구에서 는 근장과 안토시아닌 반사 지수 2를 나타내는 anthocyanin reflectance index 2(ARI2)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2/27℃ 처리구에서는 대부분의 매개변수가 가장 낮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생육이 거의 정지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과 거 연구에서 스트레스 지수로 활용된 매개변수인 CIELAB L* 과 b*는 32/27℃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L*은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잎의 명도(lightness)가 높 을수록 식물의 생육에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추가적으 로 b*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백은무 의 식물체 크기를 유의미하게 증대시키고 개화 품질을 촉진시 켜 관상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20/15℃ 수준에서 재배 할 것을 권고한다.
        4,000원
        2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추속은 수선화과에 속하며 약 1000여종에 이른다. 좀부 추는 자생 부추속에 속하며 식용이 가능하고 크기가 작아 분 화식물로 적합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좀부추를 분화 소재 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식물의 측지성장을 촉진하고 꽃의 품질 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좀부추의 구근 을 생장조절제(GA3, BA, 에테폰, TDZ)에 다른 시간(1, 5시 간)동안 침지처리했을 때 식물의 생장과 꽃에 어떤 영향을 주 는지 조사하였다. GA3 처리구는 엽수와 자구의 수가 증가해 증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게다가 GA3는 화수의 증 가와 조기개화를 유도했다. 그러나 엽폭과 화경의 폭은 감소 하였다. 에테폰은 좀부추의 초장과 초폭에서 영향을 주지 않 았으나 1h에서 자구의 수가 증가하였다. 에테폰은 화서 발생 을 억제하여 화경의 수가 감소하였다. BA는 식물의 생장과 개 화 특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TDZ처리한 식물 은 왜화되고 생육상태가 불량하였으며, 식물을 고사시켰다.
        4,000원
        27.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mprove the quality of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var. hoonensis), which is a fruit of health functional, the effect of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 on the fruit characteristics of two cultivars (cv. Bokjo and cv. Sangwang) of jujube was investigat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eight and breast diameter of jujubes tested between the polyphenol treatments and non treatment. Jujube trees treated with polyphenol preparation produced significantly more fruit than untreated in both cultivars. In cvultivar of Bokjo, the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 increased the fruit'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more than two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untreated treatment. Polyphenol preparation tr eatments also changed the leaf characteristics of jujube trees. In the polyphenol-treated trees, leaf thickness tended to be thickest at the top and thinnest at the bottom. Polyphenol preparation treated jujube trees showed no difference in chlorophyll content. Moisture content was slightly higher in the untreatment than in the treatments. Visually, the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 had a dark green color. Jujubes treated with polyphenol preparations showed differences in polyphenol content in fruits. The polyphenol content in both peel and flesh of the treatment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ment. Reducing sugar was contained more in the peel than in the flesh and was higher in the untreatment than in the polyphenol preparation treatments. Treatment with polyphenol preparation showed differences in fruit appearance. As describ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treatment of polyphenol preparation changed the leaves, fruit shapes and components of jujube trees. In particular, jujubes treated with polyphenol prepara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co-friendly and highly functional jujube cultivation, as they appear to produce many fruits and increase the content of polyphenols and sugars.
        4,200원
        28.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차나무 품종을 대상으로 연평균 기온이 낮은 봉화군에 식재하여, 봉화지역 차나무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봉화군 시험지 토양 조사 결과, 시험지별 토양의 pH, EC, 치환성양이온, 유효인산은 적정수준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대체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 다. 봉화군 시험지 기온 조사 결과, 최저 기온은 소천면이 -14.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춘양면 -12.6℃, 명호면 -12.6℃, -10.2℃ 순으로 모든 시험지는 -10℃ 이하의 낮은 온도로 조사되었다. 차나무 재배 생육평가 결과, 명호면 시험지에서 생육 정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소천면, 온실, 춘양면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재배품종 보향과 대조품종 다산은 시험지 생장량과 광합성량이 다른 수종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 다. 봉화지역과 하동지역에 식재된 참녹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catechin과 caffeine 함량을 조사한 결과, Catechin 함량은 EGC와 EC, EGCG 함량은 하동이 높게 조사되었고, 반면 ECG는 봉화지역의 참녹이 월등히 높았다. 총 catechin 함량은 봉화 5.23%, 하동 5.22%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Caffeine 함량은 봉화 0.05%, 하동 0.38%로 하동지역의 참녹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봉화군 차나무 재배 생육평가 결과 명호면, 소천면이 차나무 재배에 유리할 것이며, 봉화지역 차나무 재배 시 재배품종 보향과 대조품종 다산은 재배 적응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9.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yster mushroom is a widely cultivated edible mushroom in Korea. It is a regionally specialized crop in Gyeonggi-do, where 68% of the national production is produce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highquality cultivar with stable cultivation. ‘Manseon’ is a new variety of oyster mushroom suitable for bottle culture. It was produced by mating monokaryons isolated from ‘HB-18’ and ‘P15159-16’. The optimal temperature for ‘Manseon’ mycelial growth was 26–29 °C on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and for primordia formation and the growth of fruit bodies the optimal temperature was 18–19 °C on sawdust medium. Spawn running required 30 d, primordia formation required 4 d, and fruit body growth in the bottle culture required 4 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bodies, the pilei were round and dark grayish brown, stipe color was white, and stipe shape was short and thick. The yield per bottle was 192.7 g/1,100 cc, which was 9%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strain (Suhan-1ho). The physical properties of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stipe tissue were 87.9%, 77.4%, 445.1 kgf, and 389.6 kgf, respectively.
        4,000원
        30.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콩의 한해 및 습해에서의 안정생산 재배법 확립을 위한 물관리 방법별 생육특성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1년과 2022년 2년에 걸쳐 무처리, 무굴착 땅속배수, 지중점적 관개 및 무굴착 땅속배수 + 지중점적 관개(관·배수 통합) 4처리로 수행하였다. 연차간 토양수분함량 및 토양수분장력은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토양 수분 장력 변이가 낮고, 안정적 토양수분 유지가 가능했으며, 2021년 생육특성 조사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 초장이 57.1㎝로 가장 길게 나타나, 가장 짧은 무관개 43.1㎝ 대비 32.5% 더 길게 조사되었으며, 2022년 초장 또한 같은 경향으로 관·배수 통합 > 지중점적관개 > 무굴착 땅속배수 > 무관개 순서로 길었다. 수량구성요소에서도 생육특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수량도 수량구성요소가 가장 높았던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연차간 각각 409, 346 kg/10a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관개량 및 물 이용효율 평가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가 지중점적관개 처리구 대비 일평균 관개량 203.1 ton/10a 더 많을 뿐만 아니라, 물 이용효율에서도 45.6% 더 낮게 나왔기 때문에 추후, 기후변화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물관리와 한정된 농업용수 사용을 최대화로 할 수 있는 관개량에 따른 더 세부적인 연구가 추가된다면, 현재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범지구적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환경에서 보다 더 물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안정적인 콩 물관리 재배기술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ow media on the mineral contents of the leav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grown under aquaponics system in a plant factory. For aquaculture, 12 fish (Cyprinus carpio) (total weight, 2.0 kg) were raised in an aquaponics tank (W 0.7 m × L 1.5 m × H 0.45 m, 472.5 L) filled with 367.5 L of water at a density of 5.44 kg·m-3 and total 34 of strawberry seedlings were transplanted in the pots filed with 200 g of orchid stone, hydroball or polyurethane sponge in the growing bed (W 0.7 m × L 1.5 m × H 0.22 m) laid out with holly acrylic sheet (140×60 mm, Ø80) on the top of the system. The pH and EC of the aquaponic solution was ranged from 7.6 to 4.9 and 0.24-0.91 dS·m-1,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NO3-N was about 28% lower than that of the hydroponic standard solution, and K, Fe and B were 10, 27 and 3.8 times lower, respectively; however, the mineral contents of strawberry leaves were in the appropriate ranges with lower contents in the leaves grown with sponge media. The organic content (OM),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of the sludge were 61.5, 5.72, 8.92, and 0.24%, respectively. The leaf area, leaf number, and dry and fresh weights of shoot at 81 D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ydroball, and the average number of fruits per pla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the orchid stone and hydroba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fruits. Integrated al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rchid stone and hydroball media are more effective to utilize nutrients in solid particles of aquaponic solution, compared to the polyurethane sponge.
        4,000원
        3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헛개나무 용기묘를 생산하기 위한 적정 차광수준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헛개나무 1년생 용기묘를 대상으로 4가지 차광처리(0%, 35%, 55%, 75%)에 따른 용기묘의 간장, 근원경, 건중량, 묘목품질지수, 엽록소 함량 등의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헛개나무 용기묘의 근원경, 잎 건중량, 뿌리 건중량은 차광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간장, 줄기 건중량, 엽록소 함량은 차광처리에 의해 55%와 75%의 차광처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다(p<0.001). 간장과 줄기 건중량의 증가로 헛개나무 용기묘의 H/D율과 T/R율은 증가하였으며 묘목품질지수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헛개나무 1년생 용기묘 생산을 위한 적절한 차광수준은 묘목품질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35%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우량한 헛개나무 용기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6.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접목선인장은 수출 화훼류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품목 으로 품종 육성과 재배 기술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된다. 품종 육성은 접목선인장에서 적색 외에도 다양한 색상의 품종이 요 구되어 접목선인장의 품종 개발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고자 밝 은 분홍색이 선명하고, 기호도가 좋은 ‘연실(YeonSil)’ 품종을 육성하였다. 접목선인장 ‘연실’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구 의 색상이 흑·분홍색인 ‘0105057’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같은 흑·분홍색인 ‘BP72’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얻은 실생 품종(등 록번호 제 3920호)이다. ‘연실(YeonSil)’은 편원형으로 구색 은 분홍색(RP N66B)에 돌출된 결각(tubercle)이 있는 모양 으로 대조구 ‘연시’보다 높은 기호도를 가졌다. 재배 방법을 달리하여 육성된 ‘연실’ 품종을 토경과 양액재배(저면매트를 활용한 양액급액)방법으로 재배 후 생육 특성을 검토하였다. 접목선인장 재배방법에 따른 토양재배와 양액재배 방법 간 생 육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양액재배에서 우수한 경향을 보 였다. 생육 중 저면 매트를 활용한 양액재배가 토경재배보다 생체중, 구폭, 구고, 구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목 선인장 재배에서 토양재배는 뿌리썩음병 등의 병 발생 문제가 심각하여 저면매트를 활용한 양액재배가 토양재배를 대신하 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접목선인장에서 품종 개발과 함께 재배방법에 대한 일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7.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용 튤립(Tulipa spp.) 4품종을 대상으로 재 식밀도에 따른 생장과 발육 특성을 알아보고 광이용효율을 분 석하여 우리나라에서 튤립 촉성재배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 고자 실시되었다. 절화용 튤립 ‘Novi Sun’, ‘Timeless’, ‘Il de France’, ‘Dow Jones’ 4품종을 대상으로 구근용 재배 상자 (가로×세로×높이; 60cm×40cm×20cm)에 상자당 48, 70, 96개의 구근을 정식하여 저온처리 이후 비닐하우스로 운반되 었다. 그 결과, ‘Novi Sun’과 ‘Timeless’는 온실 이식 이후 35 일 만에 수확되었으며 ‘Il de France’와 ‘Dow Jones’는 그보 다 빠른 30일 만에 수확되었다. 모든 품종에서 재식밀도가 증 가할수록 생체중, 줄기 직경, 엽면적이 감소하였다. 정상개화 율은 96bulbs/box 처리에서 특히‘Novi Sun’ 32.7%과 ‘Timeless’ 4.7%로 감소하였으며 이 두 품종에서 줄기와 꽃의 건물중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이용 효율과 밀접 한 지표인 엽면적지수는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광합성 효율은 ‘Novi Sun’과 ‘Timeless’의 경우 저광도에서 재식밀도에 따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면적 감 소와 형태적인 변화가 작은 ‘Il de France’과 ‘Dow Jones’에 서 광합성 효율이 크게 변화하였다. 재식밀도에 따라 다양한 생육 반응은 유사한 경향은 있으나 품종에 따라 광합성 효율과 동화산물의 분배가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튤립 촉성 재배 시 정상적인 꽃의 발달과 생육 확보를 위해서는 충분한 재식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재식밀도로 정식해야 한다.
        4,000원
        38.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s of seed rate of native grasses, called native summer forage crops (NSFC), on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s in no-tillage paddy fields in central provinces. NSFC cultiv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gricultural guideline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during 2020 to 2022. Echinochloa crusgalli ‘Jeju native’, Setaria viridis ‘Korean native type’, Digitaria sanguinalis ‘Korean native type’) were sown by various seed rate in the experimental field (3m × 4m plot) of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Development, Seonghwan–eup, Cheonan, Korea in late-May or early-June for 3 years and harvested in middle-September. Dry matter yields (DMY) in Echinochloa crusgalli and Setaria viridis increased as increasing seed rate. DMY in 40 kg ha-1 of Echinochloa crusgalli was the highest and DMY in 60 kg ha-1 of Setaria viridis was the highest. However, All treatments of Digitaria sanguinalis showed similar DMY. Yields of NSFC were the order of Echinochloa crusgalli (9,681~11,092 kg ha-1) > Digitaria sanguinalis (8,311~9,023 kg ha-1) >etaria viridis (3,145~4,749 kg ha-1).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in NSFC were the order of Digitaria sanguinalis > Echinochloa crusgalli > Setaria viridis. The contents of ADF and NDF in NSFC were the order of Echinochloa crusgalli > Digitaria sanguinalis > Setaria viridis. As shown in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introduction of NSF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kills in order to stably increase yields of forage crops for utilization of the double cropping system in no-tillage paddy fields.
        4,000원
        39.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olvariella bombycinais an edible mushroom commercially cultivat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this study, the culture characteristics and optimal growth conditions of milky mushroom strains were determined. The growth temperature and pH range of V. bombycinawas extensively investigated between 15 and 35oC and pH 3–11. For efficient cultivation, 20 types of nutrient sources were selected, specifically, 21 carbon sources, 6 organic nitrogen sources, 7 inorganic nitrogen sources, 13 amino acids, 9 organic acids, and 13 inorganic salts. The impact of each of the selected nutrition sources and their concentration on growth was investigated.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were determined to be 30oC and pH 8.0, respectivel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medium elements required for mycelial growth of V. bombycinawas determined to be as follows: carbon source, 0.7% Soluble starch; organic nitrogen source, 0.7% Soytone; inorganic nitrogen source, 1.0% (NH4)2C4H4O6; amino acid, 0.1% cysteine; organic acid, 0.07% lactic acid; and inorganic salt, 0.07 mM CaCl2.
        4,000원
        40.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inity is a major problem affecting crop production worldwide because it reduces yield and limits the expansion of cultiv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rrigation water of different salinity levels on the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lily ‘Woori Tower’ and ‘Siberia’ cultivars. In both ‘Woori Tower’ and ‘Siberia’, the sprouting rate decreased and the sprout was delayed with increased irrigation water salinity.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leaf width decreased by 44.7%, 18.8%, and 20% in ‘Woori Tower’, respectively, and 50.7%, 36.4%, and 40% in ‘Siberia’, respectively at 0.5% NaCl compared to the control. Day to leaf yellowing was about 8 days earlier in ‘Woori Tower’ and 51 days earlier in ‘Siberia’ at 0.5% NaCl. SPAD decreased by 21.7% in ‘Woori Tower’ and 53.5% in ‘Siberia’ at 0.5% NaCl. In ‘Woori Tower’, flower height decreased by 9.6% at 0.5% NaCl, and the flower width and pedicel length gradually decreased as the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Days to the flowering of ‘Woori Tower’ increased up to 3.5 days, as the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bulb characteristics of ‘Woori Tower’ also decreased. As the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Na+ and Cl- contents of the leaves of ‘Woori Tower’ and ‘Siberia’ increased, while the contents of K+, Mg2+ and Ca2+, decreased.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