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affective factors which affect primary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quantitative data was obtained from 576 primary school English teachers who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Qualitative data was also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focus group interviews and ten individual interviews. A quantitative data analysis shows that collective teacher-efficacy is the best predictor of primary school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ism among the three factors of self-efficacy,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fficacy.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interview data which shows that more positive than negative comments are observed in regards to collective teacher-efficacy. Pedagogical implications have been discussed.
        6,000원
        2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준 높은 발레교육을 펼치기 위해 발레교육자는 어떠한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기초 단계로 기존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에 나타난 전문성 개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동안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정립되지는 않았 다. 이 때문에 오랜 시간 발레를 전공하고 무용수로 활동하거나 대학 및 대학원에서 수학한 전 문 발레인들이 교육자로서 필요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했으며, 협회 및 주요 교육기관에서의 발 레교수법, 자격과정 이수를 통해 경력을 쌓아갔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발레를 전공한 학 생들이 발레무용수로 기량을 갖추는 과정 역시 발레교육자로서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로 간주하 고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상적 사례선택의 방법으로 선정된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은 국외 발레학교 교육과정, 발레교수법, 자격과정, 국내 예술중·고 등학교, 대학교 교육과정, 자격과정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레교육자만을 위한 특 화된 교육은 매우 부족했으며,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이나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자격 을 수여하는 사례 또한 드물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국내외 양성과정 분석을 통해 나타난 전문성 요소는 발레지식, 발레교수지식, 발레소양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발레 를 기능적, 예술적으로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 발레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적 측면의 능력으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레교육 및 발레교육 자와 관련한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6,300원
        2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ethics-focused teacher training through exploratory action research methodology. Issues of ethical assessment has been taught at an university-based research program. The program implementation was planned and carried through continuous reflections-in-action. The following activities were collected or recorded among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journal writing, e-mail exchanges, official documents, and other relevant assessment records.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ethical issues of English language assessment were re-valued in Korean contexts. This research reported how Korean teachers has understood the meaningfulness of ethical dimensions in the field of English language assessment. It was not easy that they could formulate ethical assessment in their professional lives. The issue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7,700원
        2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tent knowledge and beliefs of primary school teachers about reading instruction from the Shulman’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view, and explores the realities of reading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questions were consisted of three areas: items for in-class reading instruction, teacher’s belief on reading, and teacher’s content knowledge about reading. The data revealed that the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insufficient content knowledge for reading instruction, particularly in word analysis skills such as phonemic awareness, letter sound relationships, word frequency, and other topics related to reading. However, teachers’beliefs were different from their knowledge. Whereas their content knowledge about phonics, reading aloud, or story-based reading method is lower, they believe that those skills are effective for read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alities of reading classroom were different from teachers’ beliefs. Although teachers believe that rich print environment facilitates the learners’ reading development, the print environments were little provided and they did not refer to print for their teaching.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s that teacher training which focuses on reading instruction needs to be emphasized for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6,600원
        25.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public gives more attention on the well being trend, the aim of this study on the Sommelier - an industry profession in the hotel and food service industry is to suggest the educational plan to meet the demand as a professional and to help establish the direction to the effective curriculum.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a Sommelier need to possess knowledge in not just wine but in areas such as foreign language, computer, management, hotel and restaurant, global manner, and etc. It was also recommended to authorize the sommelier license as an official and to develop educational entities for sommelier.
        4,000원
        26.
        1987.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7.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현장실습의 가치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몇십 년째 계속 똑같은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학교현장실습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초등교사 전문성을 신장하고, 현장에서 교사로서의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실질적인 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학교현장실습 제도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Hargreaves & Fullan(2012)이 교사 전문성 신장의 원동력으로 제시하고 있는 전문적 자본의 관점으로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바라본 학교현장실습과 학교 현장의 초등교사 전문성과의 연 계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교사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학교현장실습 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원양성기관인 K대학교의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졸업한 초등학교 초임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 면담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K대학교 출신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 경험을 심층 면담으로 연구한 바,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은 상당 부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나, 상대적으로 의사결정적 자본은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학교현장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실습 제도 개선 방안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28.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이 교사의 개인내적 특성인 교수몰입과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유치원 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는 자신의 교직 전문성, 교수몰입, 교직헌신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수몰입 그리고 교직헌신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직헌신보다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수몰입 간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직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운영관리능력과 교육과 보호능력은 교수몰입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과 전문성 신장능력은 교직헌신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높이는 지원은 곧 교수몰입과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성장과 교사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을 시사한다.
        29.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치원 교사의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 다. 현직 유치원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하여 그들이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 는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이 루기 위하여 6명의 유치원 교사들과 3번씩의 개인면담, 그리고 1번의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그들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유치원교사로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자료분석은 해석학적 현상학에 기초하였다. 6명의 교사들에 의하면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은 서로 관련되어 있었다. 교육과 훈련, 높은 보수, 공공에 대한 봉사,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특별한 지식이 전문 직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 훈련, 경험, 보수, 일에 대한 열정, 능력과 한계 알기,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이 전문가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열정, 직업에 대한 사랑, 일에 대한 뛰어난 능력 이 전문성의 정의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용어의 정의와 그 정의들이 유치원 교 사들에게 의미하는 바를 찾고자 시도해보았다.
        30.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관내 국․공립 단설 및 병설유치원, 사립유치원 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상·중·하 집단의 인식을 보면 모든 집단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주된 목적은 ‘교육의 질 향상’으로, 가장 필요한 사항은 ‘공정하고 신뢰로운 평가도구’를, 불필요한 사항은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 불충실’로 나타났다.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는 교직전문성 인식의 상·중·하 모든 집단 교사가 ‘수업실행’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기준점수를 정하고 그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을 때’ 우수교사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교사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동료 교사 간 갈등과 위화감 조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결과는 교원 스스로의 전문성 향상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하며, 전문성과 자질 이 우수한 교사는 학습연구년제 등 특별연수 기회를 부여해야 하고, 전문성과 자질이 부족한 교사는 현장 근무와 동시에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별 맞춤형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치로써 교원능력평가에 따른 업무경감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원능력개 발평가의 전면 실시에 앞서 유치원 교육의 신뢰와 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평가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의 안정적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31.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본격화된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이 정부에 의한 강력한 행정적 통제와 수요자 중심 개혁 논리를 기반으로,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정체성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교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대안적 논의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직을 보는 전통적 관점과 전문직 기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토대로 교사에 대 한 행정적 통제 강화에 따른 교직의 비전문화, 탈전문화, (감정)노동자로서 교사 개념의 발달 등 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교직의 전문성을 재정립, 강화하기 위한 대안적 논의들로 Lauglo(1995)의 신전문주의, Whitty(2000)의 협동적·민주적 전문성, Hargreaves와 Fullan(2012)의 전문적 자본 개념을 제시하였다.
        3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cience in the 21st century does not consider participants’ welfare, safety and human rights in clinical studies, but modern science puts economic profits in its priority. This leads to a growing concern about social responsibility and professionalism ethics of companies, sponsors and scientists. Specifically, there is no way to control conflicts of participants’ welfare with economic profits, leading to simply relying on individual ethic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audit. This paper helps relevant agencies and people involved understand conflict of interest. Also this study presents the guidelines as well as independence, autonomy, ethical imagination and phronesis required for scientists.
        33.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국립수목원에 근무하는 숲해설가를 대상으로 전공영역에 따른 어린이정원에서의 활동 현황과 식재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정원의 개선 방안과 숲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타전공자인 해설가들이 어린이정원에 대한 관련 자료 등 교육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설에 어려움을 느낀 경우가 많아 어린이정원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기본 개념과 기본 목적을 해설가들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자연생태계에 따라 적절하게 교육 프로그램이 세분화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해설가들에게 다양한 식물을 활용한 생태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및 교과 외 쉽게 접하지 않았던 분야에 대한 직무연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정원의 식재공간에 대한 해설가들의 인식은 전공자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어린이정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공자별로 차별화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이정원의 운영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국립수목원 전체 안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3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 의견에 대한 가치체계의 근간을 스노우(C. P. Snow)의 ‘두 문화’ 문제 - 과학문화와 인문문화 - 개념을 모티브로,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 전통우생학과 자유주의우생학 등 가치선택의 다양한 갈래가 공존하고 있음을 논하는데 있다. 또한, 과학과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잘못된 신화’- 과학의 객관성에 대한 신화, 과학과 과학자의 독립성과 자율성, 생명공학 기술의 세계기아 해결 - 를 지적함으로써 과학기술에 대한 적확한 판단을 모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생명공학 기술의 생산주체인 생명공학자에게 연구윤리와 사회적 책임은 물론 개방성, 도덕적 민감성과 상상력, 성찰과 품성의 윤리학을 요구하고 있다.
        35.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하며,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하위영역별로 고도의 지적 능력,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봉사 기능, 사회 경제적 지위의 순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 내용의 하위영역은 유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유아교육의 기초, 교사 교육, 정보화 교육, 교육 행정 및 운영, 건강, 대인관계 기술, 예술 및 문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연수 방법의 하위영역은 문화 활동 참여, 매체 활용, 교육기관 참여, 단체 활동 참여, 사설기관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개인연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는 전체적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가 중집단인 교사가 하집단 교사에 비해 높고, 상집단 교사가 중집단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