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

        21.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기존 RC 보강방법인 철골프레임 적용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접합철물을 최소화하고 팽창형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H형강 프레임을 기존 RC 골조에 보강하고자 하였다. 철골프레임 적용 유․무를 변수로 RC 골조에 대한 반복가력실험을 실시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철골프레임을 적용한 RC 골조의 최대내력이 기존 RC 골조에 비해 약 1.4배 향상되었으며, 등가점성감쇠비 평가결과 또한 평균 2.4% 향상되어 에너지 소산능력이 개선되었다. 유한요소해석결과 해당 실험결과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2.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pecimens beam by changing the depth and width of the U-shaped composite beam. To this end, experimental specimens by changing depth and width as compared with a reference specimen were prepared and tes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wth of the depth has great effect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while a width increas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composite beam.
        23.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탄소섬유시트, 아라미드섬유시트, 그리고 유리섬유시트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를 제작하였으며, 제작한 보강 플레이트를 보강한 후, 최대한의 휨 보강 효과가 발생되도록 다시 보강 플레이를 긴장시켜 RC보의 휨 보강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긴장시키는 보강방법을 제시하는 동시에 무보강 실험체에 비해 보강효과가 어느 정도 되는지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실험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8개의 RC 보 부재를 동일하게 제작하여 1 개의 실험체(N 실험체)를 제외한 7 개의 실험체는 보강재 종류, 단부 정착 앵커 개수, 보강재 두께 등을 주요 변수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휨 거동을 보이는 실험체에 긴장을 가한 FRP 플레이트로 보강하면,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우수한 휨거동(초기강도, 항복시 강도 및 강성, 최대강도 등)보여 주었으며, 단부정착 앵커의 개수가 많고, 보강재의 두께(보강량)가 클수록 보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긴장시킨 보강재는 단일 FRP 플레이트에 비해,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를 적용했을 때 보강효과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2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mpared the experimental values obtained from existing papers and the analytical values obtained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s. The results show a similar aspect, with a yield load of 74.5 kN in the experiment and a yield load of 69.3kN in the analysis result showing a difference of about 6%.
        25.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에 탄소섬유시트, 유리섬유시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등을 이용하여 보강 했을 때, 보강재 종류, 보강재 물성, 보강량 등에 따른 보강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변수별 보강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가상의 휨부재를 기준실 험체로 선정하여, 기준실험체에 대해 항복단면과 극한단면일 때의 모멘트-곡률 관계를 파악하였다.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에 보강재 종류, 보강재 물성, 보강량 등 다양한 변수를 적용하여 총 11개의 실험체의 모멘트-곡률 곡선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보강한 실험체의 휨강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성에 대해서는 보강하지 않은 기준실험체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별 휨 보강 효과는 보강량이 많고, 파괴시 재료강도가 높을수록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연성효과는 보강재의 파괴시 변형률이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전과 손상 후의 보강효과에 대해서는 휨보강 효과와 연성효과 모두 10% 이내로 미미하게 나타나 손상상태에 있더라도 온전한 상태로 해석해도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2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valuated service life in a RC continuos beam with 2 spans considering loading condition, cold joint, and substitution ratio of GGBFS. Based on the previous test results for 91 and 365 days, changing ratio of diffusion coefficients with applied stress are normalized considering substitution of GGBFS and cold joint. For evaluation of service life in RC continuous beam with 2 spans, non-linear analytical model is adopted. The reduction of service life with cold joint and loading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in maintenance even if GGBFS which shows excellent resistance to chloride ingress is used for the RC structures.
        2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s a prestressing effect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 strengthened with a pre-strained iron shape-memory alloy (Fe-SMA) strip. A pre-strained value was chosen as experimental variable to investigated the prestressing effect on the RC beams. A recovery stress on the pre-strained Fe-SMA strip occurred by heating, when the deformation of the strip was restricted. The recovery stress introduced a compressive force to the surrounding concrete, resuting in the upward deflection (camber effect). With this finiding from experimental tes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Fe-SMA strip can be used as the strengthening material to strengthen the damaged structure and to increase its durability.
        2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3 point-bending test was performed on the RC T-beam and the image processing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 of curvature according to the step of loading. As the loading step progressed, the bending deformation and inflection point of curvature by shear cracks occurred.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the detailed behavior of the RC structure by using the image processing method used in this study.
        29.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SIFCON으로 제작된 휨부재의 휨거동에 대한 실험적·해석적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우선, 12개의 SIFCON 보에 대한 휨실험을 실시하고 휨거동을 평가하였다. 실험변수로는 강섬유 종류, 인장철근 유·무, 단면의 높이를 고려하였다. Type-A 강섬유보다 뽐힘저항성이 우수한 Type-B 강섬유를 사용한 시험체는 전단파괴가 발생하지 않고 휨파괴 거동을 보였으며, 강섬유 형상비는 인장철근을 사용하지 않는 SIFCON 보의 거동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인장철근을 갖는 SIFCON 보의 거동에 대해서는 그 영향이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본연구에서는 SIFCON에 대한 휨강도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휨강도 예측값에 대한 실험값의 비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각각 1.02와 0.04로 나타나 휨강도 예측식은 SIFCON 보의 설계 및 성능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introduce the experimental program of investigation on the performance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Uni-Directional Narrow Fabric. A total of twelve shear-critical specimens were constructed and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rough static loading tests. Experimental parameters include the shear rebar, the type of fiber, and spacing of the fiber. Testing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specimens retrofitted or strengthened with Uni-Directional Narrow Fabric compared to the behavior of the non-retrofitted RC beam.
        32.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ductile behavior of hybrid steel-reinforced concrete beam systems under reversed cyclic lateral loads. All specimens showed a high ductile performance with the displacement ductility ratio of more than 4.6, regardless of the details of dowel reinforcement at the joint region of the developed hybrid beam system.
        33.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ttempts to manipulate brittle shear failure in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 which has shear span-to-depth ratio, a/d=2.0 with aid of lattice model. Timoshenko beam type of lattice model was basically used for reinforcing steel in order to incorporate the dowel action. Truss type of lattice model was applied for plain concrete domain using union-jack type of structured mesh. Mesh sensitivity analyses focused with varying different level of unit union-jack block discretization.
        34.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폴리머 모르타르로 보수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을 실험적 ·해석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실험적 연구에서 는 보수위치, 모르타르 재령을 실험변수로 고려하여 제작된 13개의 보에 대한 3점 휨실험이 실시되었다. 인장측 및 압축측을 보수한 실험체들 의 파괴는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의 계면에서 발생하지 않았으며, 폴리머 모르타르의 인장변형률이 극한변형률을 초과하는 순간 발생하였다. 압축측을 보강한 실험체들은 기준실험체의 최대하중과 유사하였다. 그들의 연성지수는 기준실험체보다 훨씬 컸다. 인장측을 보수한 실험체 는 매우 취성적으로 파괴되었으며, 연성지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폴리머 모르타르로 보수된 철근콘크리트의 보의 휨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Opensees을 사용한 재료비선형 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 모델을 단순화하기 위해 2차원 골조요소를 적용하였으며, 재료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해 파이버 모델을 적용하였다. 해석결과는 비선형 구조해석은 압축측 보수 실험체의 휨거동을 적절하게 예측하나, 인장측 휨거동는 다소 과 대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5.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고연성과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PET 섬유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착특성과 휨거동을 각각 부착실험 및 휨실 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착실험은 CSA S806에 따라 수행하였고, 실험변수는 섬유 종류와 보강량(CF 및 GF 시트 각 1겹, PET 시트 10겹)이었다. 총 8개의 보 실험에서 주요 실험변수는 단면의 연성비(μ = 3.4, 7.0), 보강섬유 종류(CF, GF, PET) 및 보강량이었다. 보 단면의 모 멘트-곡율 해석을 병행하였다. 부착실험의 결과, CF, GF 시트 1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각각 120, 60 mm 이었고 최대부착응력은 각각 3.25, 2.99 MPa 이었다. PET 10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60 mm, 최대 및 평균 부착응력은 각각 2.30, 2.10 MPa 이었다. 또한 최대 강도 시 CF, GF, PET의 변형율은 각각 0.36%, 0.49%, 6.29% 였으며 CF, GF 부착실험체는 계면에서 시트가 최종적으로 탈락하였지만 PET 부착 실험 체에서 박리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휨실험의 결과, PET 10, 20, 30겹으로 보강한 RC 보의 휨강도, 휨강성이 모두 무보강 보에 비해 증가하였 고, 연성적인 휨파괴 양상을 보였으나 PET 30겹의 경우 20겹에 비하여 연성이 감소하였다. 모멘트-곡율 해석의 결과, PET 보강 보에서 접착제 의 물성을 해석에 포함시키면 해석의 정확도가 향상하였다. 한편 PET 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문헌이 없어서 현재 연구 진행 중이다.
        36.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trengthening effect of fiber-reinforced polymer(FRP) grids on flexural members. For this purpos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seven flexural specimens with the main variables of an FRP grid and inorganic mortar used as adhesive. All the specimens failed due to the tensile rupture of FRP grids without debonding between FRP grids and inorganic mortar.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ening effect was dependent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FRP grids.
        37.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about experimental work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iber reinforcement to shear behavior of RC deep beams with high strength hooked bars. It was planned two specimens with different shear span-to-depth ratio. Specimen had three loading points to induce shear failure. From test results, it showed that maximum shear strength of specimen with shorter shear span to depth ratio was higher.
        3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C(Reinforced Concrete) 부재는 인장영역에서 보강재가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철근부식은 내구성 뿐 아니라 안전성에서도 매 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FRP Hybrid Bar와 일반 철근을 매립한 RC 보부재를 제작하였으며, ICM(Impressed Current Method) 를 적용하여 철근부식을 촉진시켰다. 기존의 이론식인 Faraday 법칙을 이용하여 부식량을 평가하였으며, 일반설계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보부 재에 대하여 휨시험을 수행하였다. 일반 철근에서는 부식량이 4.9∼7.8%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이에 따른 휨 저항능력은 -25.4∼-50.8% 수준 으로 감소하였다. FRP Hybrid Bar를 매립한 RC 보에서는 부식과 휨 저항 감소가 평가되지 않았는데, 이는 에폭시 도료로 코팅된 철근의 우수 한 내부식성에 기인한다. 촉진 부식실험에서는 FRP Hybrid Bar의 우수한 내부식성 및 부착성능을 확인하였는데, 실용화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침지를 통한 내구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aper, newly invented FRP Hybrid Bar and normal steel are embedded in RC beam member, and ICM(Impressed Current Method) is adopted for corrosion acceleration. Corrosion amount level of 4.9∼7.8% are measured in normal RC member and the related reduction of flexural capacity is measured to –25.4∼-50.8%. But, durability evaluation through long-term submerged condition is required for actual utilization.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