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21.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남권 해안은 대한민국의 전체해안선 중에서도 갯벌의 면적이 가장 크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청정 갯벌지역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관광 자원과 활용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3,000원
        22.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목포권 마리나를 중심으로 한 요트항해 경로 개발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목포 마리나에서 호남권(전북, 전남)의 주요 요트 기항지를 중심으로 해로를 통한 접근성, 기항지를 중심으로 한 볼거리, 숙박정보를 통합하여 지역을 방문하는 요트 관광객에게 유용 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를 통한 지역 해양관광 활성화 방안으로서도 발전시키고자 한다.
        3,000원
        23.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민소득수준의 향상과 주5일 근무제 확산으로 인해 레저활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모터보트, 요트, 수상오토바이, 스킨스쿠버다이빙 등 바다를 활동무대로하는 해양레저관광 영역이 날로 확대되고 있으며 해양관광레저 유입 인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목포 및 주변 지역의 경우 우수한 해양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양자원의 활용도가 매우낮은 것으로 조사됨. 본 연구에서는 향후 목포시를 중심으 로 해양레저관광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목포시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해양레저관광 코스들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 음. 또한 목포 내항에 구축되는 요트 마리나 시설과 연계한 다양한 해양관광레저 코스를 개발하여 마리나 시설 활성화 전략을 마련하는데도 목 적이 있음.
        3,000원
        24.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는 자연 환경에서 발견되는 각종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주 대상으로 내재적 가치를 이해시키고 자연보존을 촉진하는 지질관광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연구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질관광 대상지역의 다양성 제고를 촉진하고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제공하는 자연해설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배가하기 위하여,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부존하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의 유형 및 분포상황을 조사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지역인 태안해안국립공원을 구성하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의 개체수 및 유형을 살펴보면, 총212개로서 해안지형→풍화지형의 순서로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조사 자료는 지질학 및 지형학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집단과의 심도 있는 선별과정을 거쳐 일반대중에게 흥미와 과학의 이해를 돕는 지질관광 대상지역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수요자 지향형의 지질관광대상지역 개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질 관광지역 방문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지질관광 대상지역에서의 방문객 행동특성, 지질관광대상지별 방문객 성별에 따른 방문객 행동성향비교 및 지질관광 프로그램 및 이벤트 개발을 위한 분석 등의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질관광 대상물에 대한 풍화도 평가 및 보존기술개발 등 지질공학적인 부분과 환경과학적 측면이 병행된 연구 노력이 이루어질 때 관광지질학의 활성화가 결실을 거둘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star menus and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tar menus in the western restaurants of the tourism hotels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hefs who have been working over 15-years in tourism hotels in Seoul by judgement sampling.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Miller and Pavesic's 'Fifty tips for a successful menu' and Khan's 'The evaluation of menu item development', The 30-menu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1st survey on the menu items that were high in both popularity and contribution margin by menu engineering method. The selected menu items were analyzed by 14 lists: simplicity, ready availability of ingredients, quality, flavor, presentation, preparation, service method, nutrition quality, preference, profitability, serving temperature, descriptive copy of menu and publi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appetizer category was recorded the highest score by 4.09. Smoked salmon, Tomato and mozzarella cheese, Cream of mushroom, Cream of asparagus, French onion soup, Grilled beef tenderloin, Grilled rib-eye steak, Roasted lamb rack, King prawn, Seafood spaghetti, Chef's salad, Caesar salad, Organic salad, Fruit plate, Italian tiramisu and Yogurt ice cream were recorded high scor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tar menu is belows : the menu writer must consider the productivity, effectiveness, popularity and profitability, the regular customers want varieties and creativity in the menu and the operators have to include the star menu items in the set menu.
        4,000원
        28.
        200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tuation to develop Kyonggi Province area to universal tourist attraction area keeping in step with national large size event holding such as sun of Korean visit with opening a port of the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the world ceramics Expo, World Cup was made up. Growth possibility is big to culture tourism resources and representative tourist resort of the Korea that use view of nature photon circle properly such as ceramics that target area possesses. Area development plan through growth possibility should be arranged to international ceramics production complex and distribution complex. Therefore, plan analyzing future district theme establishment and strength in priority via past and present of target area.
        3,000원
        2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관광개발 추진에 있어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영향 평가작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계획되었으며 관광개발의 영향주체인 지역주민과 관광객 시각에서 관광개발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간현지역에서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은 관광개발의 결과로 나타난 지역경제의 활성화 분위기는 감지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주민고용이나 지역의 경제자립도 향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관광개발로 인해 지역이미지는 크게 개선되었으나 교통혼잡이나 쓰레기 문제와 같은 사회 문화적 영향으로 생활의 불편함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환경적 영향은 경제적 영향과 사회.문화적 영향에 비해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간현관광지에서 관광객이 느끼는 제반환경에 대한 질적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관광만족도 수준도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간현지역이 성공적인 관광지로 발전하기 위한 안을 제언하였다. 향후 지역주민과 관광객 시각에서의 심리적 평가와 더불어 관광지의 물리적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관광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의 제시가 요망된다.
        4,000원
        30.
        202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은 광대 한 국가이며 각 지역마다 문화적 배경이 다르며 이는 각 지역의 관광 발전에 중요한 자원이 다. 자원마다 관광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관광의 지속 가능하고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 래 지향적인 관점에서 관광 관련 자원을 차별화하고 통합하고 관광 산업 시스템을 개선하여 관광의 발 전 잠재력을 자극해야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옌타이 관광 산업의 맥락에서 관광 자원 개발을 고 려하고 자원 개발의 우선 순위를 식별한다.
        31.
        2023.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 전략, 농촌발전 전략, 농민의 자체적 발전, 풍부한 농촌의 음식자원과 방대한 관광객 시장, 다양한 농촌관광 수요 등의 요인의 작용 하에 중국 농촌 음식관광은 점차 발전하면서 관광촌, 특색마을, 음식축제 등 세 가지 발전의 모델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 농촌 음식관광의 발전은 정책 및 관리, 관광객 시장, 문화적 함의의 결여, 부족한 브랜드 의식 등의 문제에 의한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 농촌 음식관광의 발전은 시장의 수요 및 농촌관광 발전 추세에 부응한다는 전제 하에 계획적 지도와 부처 간 협력,정책적 지원과 제도 개선,건전한 농촌 음식관광 관련 법체계 구축,음식관광 관련 인재 육성 강화,지역 간 연동과 차별화된 발전,관광객 시장 개척과 브랜드 구축,문화와의 융합을 통한 내부 소양의 발전,요리 교육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2.
        202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관광은 우리의 삶 속에 빼놓을 수 없는 생활패턴이 되었고, 관광자원은 관광지의 중요한 생존요소로서 현지 경제를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 2006년 이후 일부 중국의 무술 종목들이 중국 국가급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무술 무형 문화유산이 중국 관광자원의 블루오션으로 부상하였고, 해당 자원의 개발은 중국 관광산업 발전과 우수한 중국 무술문화 확산에 관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중국의 무술 무형 문화유산 현황과 기본정책을 해석하고 무술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권법의 종류와 종목 수, 지역 분포와 관광 가치를 설명하며, 이를 기반으로 중국 무술 무형 문화유산의 개발 현황을 연구하고 무술 문화관광 자원의 현실적 문제를 파악하면서 중국 무술 무형 문화유산의 개발 방안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무술 무형 문화유산의 국제적 전파 과정에서 참고할 만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33.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ourism growth on human development in Indian economy.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s annual data from 1980 to 2018 and utilizes two proxies for tourism growth – tourism receipt and tourist arrivals – and uses human development index calculated by UNDP. The study uses control variables such as government expenditure and trade openness. The study employs auto 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cointegrating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e model. Further, the study also explores the causal nexus between tourism sector and human development by using the Toda-Yamamoto Granger non-causality test. The result of ARDL bounds test reveals the existence of cointegrat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 development indicators, government expenditure, trade openness, and tourism sector growth. The cointegating coefficient confirm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sector growth and human development in India. The causality result suggests that economic growth and tourism have a positive impact while trade openness has a negative impact on human development in Indi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ur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Indian economy in recent years and the country must develop this sector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34.
        202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stainable development – including tourism development – is the general trend of all economies. With the orientation to build and develop the tourism industry into a key economic sector and become a tourist center of the Southeast region, Vietnam, Ba Ria-Vung Tau Province is demanding a proper, rational, development policy, while ensuring the development and exploitation of immediate natural advantages, and ensuring long-term sustainable develop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nd their trends in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n Ba Ria-Vung Tau Province, Vietnam. Methods used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sults of a survey of 550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visiting Ba Ria-Vung Tau. With the help of SPSS statistical software, 12 groups of factors affecting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dentified including: economy, society, environment, humanistic tourism resources, natural tourism resources, tourism human resources, tourism products and service, tourism quality, infrastructure, technical facilities, governmental management and group of criteria to evaluate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are four groups of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n Ba Ria-Vung Tau. These are groups of factors: Society, Environment, Tourism products and service, and Technical facilities.
        35.
        20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6년부터 북한은 핵실험을 진행하여 유엔의 안전보장이사회는 대북 제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 지 북한은 총 6회의 핵실험과 여러 번의 탄도 미사일 실험을 진행했으며, 각각의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실험 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는 즉시 이에 대응하는 제재 결의를 발표하였다. 현재까지 유엔의 안전 보장이사회는 대북 제재를 11회 진행했으며, 북한에 대한 제재 수위가 지속적해서 확대되었고, 특히 2017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2371, 2375, 2397호 결의는 북한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데이터에 따르면, 북한의 국제 무역 파트너는 주로 아시아의 중국, 한국, 러시아, 인도, 파키스탄 등 이며 제재 영향으로 한국, 태국, 필리핀과 싱가포르가 잇따라 북한과의 무역을 축소하였다. 이로 인해 해당 국가들의 2017년 북한과의 무역액이 크게 감소하여 중국이 북한의 가장 큰 무역국이 되었다. 유엔의 대북 제재가 심화하면서 북한 대외 무역의 에너지, 금융, 노동력 수출 등 각 측면이 포함되었고, 유일하게 관광업만이 제재 대상에 속하지 않아 관광업만이 북·중 무역 교류의 주요 내용이 되어 북한 경제와 사회의 지속에 핵심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북한 경제 발전과 북·중 무역 및 교류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위해서는 북·중 관광 발전의 상 황과 특징을 깊이 연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북한 경제, 동북아 지역 발전과 정책 수립, 북·중 협력 발 전, 한반도 상황 판단 등에 일정한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정성 및 정량 분석을 결합하여 유엔의 대북 제재 과정, 내용, 영향 등에 대해 분석한 후, 북·중이 해당 상황에 따른 관광업 교류 발전에 대해 연구하여 북·중 관광 교류와 발전 성과 그리고 특징을 고찰한다. 다만, 유엔의 대북 제재 시간과 영역이 비교적 광범위하고, 또한 11회 제재 포인트와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본 논문은 2013년 북한의 제 3차 핵실험 이후 유엔의 제재에 대한 연구를 중점으로 한다.
        36.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대적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문화의 변화로 인하여 점점 쇠퇴해져가는 고창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고자 고창의 지역고유의 자원(관광, 문화, 예술, 특산품)을 연계한 전통시장의 차별화된 스토리텔링 개발하여 문화관광형시장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무형 및 유형의 지역문화자원 콘텐츠를 접목한 전략적 스토리텔링 발굴을 통해 문화·관광·소비가 공존하는 테마형 문화 복합전통시장을 조성하여 고창지역을 찾는 관광객을 유인하고 지역인의 참여를 도모하여 지역문화·경제 중심지로의 위상을 확립하고자 한다. 고창전통시장의 문화관광형시장사업을 위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여 향후 공간설계, ICT융합, 홍보, 이벤트 등의 사업진행에 있어 시장 활성화의 축으로 활용함으로서 각 사업의 연계적 추진 및 일원화된 브랜드가치를 구축 하고자 하며 고창전통시장의 차별화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여 대외적으로는 고창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대내적으로는 문화·예술·경제·편의시설 등의 구축 및 활성화를 통해 고창 지역민들의 애향심과 유대감 형성을 도모한다. 고창지역의 지속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제안하고 지역민의 참여를 통한 지역문화 허브로서의 교육 및 홍보프로그램 및 관광객 유입 및 참여를 위한 문화·예술·기행의 융·복합형 프로그램 제안한다.
        37.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0년대 이르러 세계화와 맞물려 지역발전정책은 자원 분배적 차원의 한계를 벗어나서 지역특성화를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와 자립형 지방화에 집중하였다. 이 시기부터 지역발전에 대한 시각이 ‘개발과 성장 지향’에서 ‘문화와 환경 지향’으로 전환되고, 삶의 가치관도 물질주의적 가치에서 탈 물질주의적 가치로 이동하였다. 또한 지역민의 ‘삶의 질’, 지역 환경의 ‘쾌적성’, 지역다움 등에 가치가 중요하게 되었다. 지역발전과 관광이 연계되어 추진된 시기는 2010년 들어서라고 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정책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들로 본격 가동되고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주민참여형 관광사업이 시작되면서 관광이 실질적으로 지역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1) 그리고 광주광역시를 방문한 관광객 및 여행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객이 선호하는 문화관광상품의 아이템과 광주광역시 이미지를 조사하고 분석을 하여서 그에 맞는 적합한 광주관광대표상품을 스토리텔링 하여 제작함으로서 많은 경험을 줄 수 있는 광주관광대표상품 전략을 세웠다. 이에 광주광역시는 관광문화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관광대표상품은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특색 있는 공예산업의 생산 잠재력을 확충시킬 수 있으며, 지역의 유무형 문화자원의 가치부각과 함께 수공예산업의 발전 도모, 그리고 광주의 문화 역사에 따른 향유와 혁신을 기대하고 설득력 있는 소비문화를 제고할 것이다.
        38.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 속의 대한민국이라는 브랜드는 K-pop으로 대변되는 엔터테인먼트 기반의 한류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한 분야에 국한된 사례로는 대한민국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기가 벅찬 까닭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류관련 미디어 콘텐츠들과 접목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신 한류 콘텐츠 사업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정밀 세공 능력을 자랑하는 수작업과 산업 인프라의 융합과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교육과 기술의 집약을 도출하여 지속가능한 종합적인 콘텐츠 실현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향으로는 전통적인 크래프트 산업을 대표하는 디오라마 제작과 ICT의 기술, 엔터테인먼트의 집합체를 더한 문화관광 콘텐츠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디오라마의 개념과 해당 분야 선진국인 독일, 네덜란드, 미국, 일본과 대한민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디오라마 산업 현황과 ICT 융합을 통한 국가적 콘텐츠 창출 방안과 그 내용에 대하여 개발 프로세스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분석과 결론은 ICT 플랫폼과 4차 산업에 기반하여 관광증진, 홍보강화, 교육연계, 고용창출로 이어지는 4가지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강점을 지닌 재래식 전통 전시사업과 첨단기술을 연계하여 현재 미디어에서 만들어 내고 있는 한류관련 미디어 콘텐츠들과 접목한 문화관광 프레임을 도출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신 한류 콘텐츠 사업의 확장에 초석이 되는 연 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추후 세계시장의 리더로 성장하는 새로운 플랫폼 사업의 전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39.
        2019.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new-fashioned tourism styl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health tourism has been going through a more and more rapid development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TCM health tourism of Shandong Province mainly depends on the unique TCM resources and profound TCM cultures in different regions. The exploitation of TCM health tourism can not only protect the unique TCM resources and inherit TCM culture, but also promo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provi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ed resources, exploitation present conditions and the problems emerged in the development of TCM health tourism in Shandong Province, this article put forward a frame proposal of industry-based, industry-leaded and tourism idea-guided development mode for the TCM health tourism development in Shandong Provinc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integrated development between TCM and health tourism in Shandong Province. This will be of quite significant strategies and measurements to the TCM health tourism development in Shandong Province.
        40.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pose urban park utilization and master plan in rural areas. Urban parks designed for the rural area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 themed type for rural tourism, a community type for hub regenerations and a waterfront type for using agricultural reservoirs. To use the them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ness, these types are required a multi-layered spatial structure. And ecological, cultural and economic networks of local tourism resources have to be integrated by utilizing agricultural reservoirs. Therefore, urban parks in rural areas can be defined as a part of the public benefit project aiming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lso, urban parks are necessary to use attractions and amenities in rural area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proposed two sustainable master plans as th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for Baelyeonje, Gulye-gun. For ecologic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is study proposed the environment restoration plan which reinforces the scenic resource of Nogodan in Mt. Jiri by developing the underdevelopment plan with consideration of the lo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For economic sustainability, building the Mt. Jiri tourism complex and economic communities are needed to promote investments for securing mutual economic benefits. To achieve the sustainability,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social equity and investment of private capital in rural areas are needed.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