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6

        2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산림, 하천, 자연 녹지 등 자연생태환경과 격리된 도심 속의 생태적 패치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생태적 가치가 높은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지역은 도심 속의 생태적 패치로 다양한 입지 조건으로 조성되어 활용되고 있는 국립과천과학관(경기도 과천시 상하벌로 110일원) 일대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생태적 패치(patch) 입지별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각 조사 구역 별 결과에서 곤충상은 Ⅰ구역에서 61과 135종, Ⅱ구역에서 31과 46종, Ⅲ구역에서 31과 42종, Ⅳ구역에서 13과 14종 등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조사구역의 군집 분석 결과, 다양성 지수 4.30, 종풍부도 22.74, 균등도 0.84 등으로 구분되었다. 조사 결과, 수환경과 키 작은 수목을 중심으로 하고 경작 및 원예가 재배되는 Ⅰ구역에서 종 조성이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소규모 생태적패치를 조성할 경우 수환경과 원예화원, 소규모 경작지 등이 분포할때 종 다양성이 높고 생태적으로 안정된 양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2.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climate scientists have observed significant climate change events. Climate change scenarios characterized by increas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urban areas have resulted in disasters such as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or street flooding. In response to these extreme climate scenarios, engineers have proposed permeable pavement technology. Permeable pavement is a type of pavement that allows water to flow through existing cavities into the pavement. The benefits of permeable pavement include reducing storm water runoff, reducing the heat island effect, and improving water quality, and reducing noise. In this study, a mechanistic-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model the performance of permeable pavement in a subtropical climate with two variations of base and soil materials under both low and high traffic scenarios. The performance criteria for fatigue cracking and rutting were used to determine the service life of the permeable pavements. Furthermore, the estimated pavement performance was used to perform the life cycle analysis of the permeable pavements.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aspects during the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operation periods were modelled for a 20 year analysis.
        2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wnscape of the market area in the Hongju Eupseong walled town based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modern urban tissue. Based on an analysis of the town plan using a cadastral map, land register, building management register, and aerial images, the change process of the urban tissue and townscape in the market area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expansion phase of the market’s function from the 1910s to 1940s, which featured an open market-based townscape; the declining phase of the market’s function from the 1940s to 1960s, which featured a route-shop-based townscape; and the expiration phase of the market’s function after the 1960s. More specifically, with the opening of roads, the functions of the open market gradually diminished from the 1940s on, and after the war, especially during the rapid urbanization of the 1960s, the market area changed into a roadside shop and inner residential area, and the foundation of the current townscape was fixed. Above all, it is noteworthy that since the 1960s, the urban tissue and townscape have formed on the foundation of the former open market based on Japanese capital.
        4,300원
        2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강남 선정릉지역에서 전산유체역학모델(CFD)을 사용하여 도시지역의 흐름 및 열 환경 모의를 검증하는 것이고, CFD 모델의 모의결과와 선정릉 지역의 관측 자료와 비교하는 것이다. CFD 모델은 국립기상과학원과 서울대가 공동으로 연구 개발된 모델이다. CFD_NIMR_SNU 모델은 기상청 현업 모델인 국지예보모델(LDAPS)의 바람성분과 온도성분을 초기 및 경계조건으로 적용되었고 수목효과와 지표 온도를 고려하여 2015년 8월 4일에서 6일까지 강남 선정릉 지역을 대상으로 수치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정릉지역에서 수목효과 적용 전후의 풍속을 비교하였을 때 평균 제곱근 오차(RMSE)는 각각 1.06, 0.62 m s−1로 나타났고 수목효과 적용으로 풍속 모의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기온은 LDAPS 과소 모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CFD_NIMR_SNU 모델에 의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CFD_NIMR_SNU 모델을 이용하여 복잡한 도시지역의 흐름과 열 환경을 자세하고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며, 도시 환경 및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2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traditional area” of Dunsan in Daejeon, and 22 apartment complexes in Doan new city in the “new urban area”. Its goal was to compare and analyze green percentage of each apartment complex’s exterior space. The application examples of the green percentage were examined.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exterior space types of apartment housing were divided according to chronical change. Five kinds of space (entry space, main pedestrian space, auxiliary pedestrian space, building surroundings space, and playground space) were designated to enable comparison analyses between green-space percentages of the apartment complex in both the Dunsan and Doan areas. Five exterior spaces and 22 apartment complexes in the Dunsan area and in the Doan new urban area were photographed. This study serves as a basic exploratory study to derive the baseline Index of Greenness results of traditional area and new urban area, addressing the lack of such research on the residential facilities. The study also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eenness indexes with respect to shape and space. Compared with the average rates of index of greening in traditional areas and new urban areas, Doan (a new urban area) showed an Index of Greenness rate of 34.1%, and Dunsan (a traditional area) showed an Index of Greenness rate of 40.5%, which was 6.4% higher. It is considered that the shape of each green space, the arrangement of various facilities, and the design of the spac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ifferences of the Index of Greenness.
        4,300원
        26.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들의 경관생태학적 특성과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잠재적인 녹지패치들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생활권 내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정원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공원 서비스 소외지역 및 중점녹화지구로 분류된 역삼동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우선, 대상지 일대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의 현황을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녹지 네트워크 분석 및 잠재적 녹지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FRAGSTATS를 통한 경관지수 분석 및 다중버퍼생성분석을 통한 연결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 내 녹지면적은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녹지의 유형별 특징으로는 가로녹지의 경우 핵심지역면적 (TCA)이 1,618m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선형 연결 녹지임에도 공원(1,128m2)에 상응하는 크기를 보였고, 개인정원의 경우 패치의 모양이 불규칙하면서도(ED=78.1m/㏊), 최근린 평균거리가 33.9m로 낮아 사유지내에서의 자유로운 정원 조성을 통해 고밀 시가화지역의 녹지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대상지 내 가장 고루 분포하는(LPI=5.7%, SHEI=0.9) 녹지유형이나 외부교란에 노출되어 있어(TCA=66m2), 이를 고려한 정원으로의 활용 방안을 시사하였다. 대상지 내 녹지네트워크 형성에 있어서도 50m의 버퍼 범위를 연결녹지로 상정한 경우 전체 대상지 의 84%가 소규모 녹지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투리공지의 연결만으로도(27%) 가로녹지(26%) 조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구축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에, 주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투리 공공녹지 에 지역기반의 커뮤니티 가든 등 도시정원 조성을 장려하고, 가로녹지, 개인정원, 옥상정원도 동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고밀 시가화지역 내에 녹지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4,600원
        2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performed a survey for flavivirus infection and distribution of Aedes albopictus that known as Zika and Dengue virus vector using black–light trap and BG-sentinel trap around urban area in Korea. Mosquitoes were collected in 27 cities during March to November (twice a month) year 2016. Total numbers of mosquitoes collected 102,102 including 19 species 8 genera during collecting period. Total 21,467 Ae. albopictus was collected that 20,961(24.3%) by BG-sentinel trap and 506 (3.2%) by Black-light trap in urban area. Trap index(trap/night) of Ae. albopictus was showed highest in Hamyang (TI:992.3) and lowest in Taebaek (TI:0.3) there was only collected by Black-light trap. A total of 894 pools from all collecting Ae. albopictus were performed a Flavivirus detection. Flavivirus was not detected during study period.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urveillance of imported diseases (include Zika virus) and vectors in Korea.
        2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 확장에 따른 녹지 감소와 불투수포장면적의 증가, 과도한 에너지 소비 등으로 인해 발생한 도시열섬은 전지구적인 기후변화, 도시 생태계, 거주환경의 쾌적성 등 다양한 문제와 맞물려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도시열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온도저감 영향요인에 대한 파악이 중요한데, 이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인공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대규모 면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기존 인공위성영상은 촬영시기, 해상도, 자료취득 등의 한계로 인해 복잡한 도시구조에 의한 미기후적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최근 무인항공기(UAV)의 기술발달로 다양한 센서의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소규모 지역의 정밀한 공간정보 취득이 용이해졌다. 본 연구는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도심녹지공간의 온도저감 효과 파악이 목적이며, 고해상도의 UAV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도심녹지의 공간정보를 구축한 후, 녹지유형(토지피복, 식생, 수종)별 온도 차이 및 수종별 용적과 온도의 관계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소라산 자연마당이다. 대상지는 시가지에 둘러싸인 소규모 잔존산림에 위치하며 과거 경작지와 공업 및 주거지 등으로 이용되던 지역이었다. 2015년 자연마당으로 조성되면서 숲 복원을 위해 넓은 면적에 수목을 식재하였고, 기존 수계를 활용한 습지와 계류를 조성하였다. 자연마당 조성면적은 55,000㎡이다. UAV 영상은 토지피복 및 식생현황도 작성을 위한 컬러(RGB) 영상과 온도 분석을 위한 열적외선(TIR) 영상을 촬영하였다. 공간해상도(GSD)는 RGB 영상은 5㎝, 열적외선(TIR) 영상은 31.5㎝이었다. 영상촬영은 senseFly사의 eBee(고정익)를 사용하여 2016년 8월에 촬영하였다. 촬영된 영상의 접합, 섭씨온도 변환, DTM(Digital Terrain Model), DSM(Digital Surface Model) 제작은 Pix4Dmapper와 PhotoScan Professional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토지피복 및 식생유형 분석은 UAV로 촬영된 RGB 영상과 1:5,000 수치지도를 중첩하여 종이지도로 출력 후 현장조사를 통해 유형을 구분하였다. 조사자료는 AutoCAD Map 3D를 이용해 디지타이징 한 후 ArcMap 10.3을 활용해 공간지도로 작성하였다. 토지피복 유형은 산림, 조경수식재지, 초지, 습지, 포장지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식생유형은 산림과 조경수식재지 각 유형 내에서 침엽수와 활엽수로 세분하였고, 초지 유형은 수고 1m를 기준으로 장초지와 단초지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온도 차이는 토지피복 및 식생현황도와 열적외선 영상을 섭씨온도로 변환한 지표온도 지도를 중첩하여 각 유형을 구성하는 단위 cell(1m×1m)당 온도값을 추출하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3단계로 진행하여 토지피복 유형별 온도차이, 식생유형별 온도차이, 산림 수종별 온도차이를 확인하였다. 산림 수종별 온도차이는 산림 중에서 분포면적이 넓고 조밀하게 수관을 형성한 영역 중에서 단일수종으로 구성된 소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 그리고 산벚나무가 우점하며 상수리나무, 밤나무 등이 동반 출현하는 기타활엽수림의 3가지 유형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녹지용적과 온도의 관계는 수종별 온도차이 분석에서 선별한 소나무림, 아까시나무림, 기타활엽수림의 3개 유형별로 단위 cell당 용적과 온도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지용적은 단위 cell당 DHM(Digital Height Model) 값으로 산출하였는데, DHM은 RGB 영상에서 생성한 DSM과 Ground Points 분류를 통해 생성한 DTM과의 차로 계산한 녹지의 높이 값이다. 이상의 공간자료 처리와 통계분석은 ArcMap 10.3, IBM SPSS 2.2를 사용하였다. 토지피복 및 식생유형 분석결과 토지피복 유형의 분포비율은 산림(35.1%), 조경수식재지(32.2%), 습지(10.5%), 초지(10.5%), 포장지(4.3%) 순이었고, 식생유형으로 세분한 결과 산림 침엽과 활엽이 각각 30.5%, 14.6% 비율로 분포하였다. 조경수식재지의 침엽과 활엽의 분포비율은 각각 17.4%, 14.8%, 초지를 세분한 장초지와 단초지는 각각 4.4%, 6.1%이었다. 산림 중에서 분포영역을 선별 추출한 수종별 유형인 소나무림, 아까시나무림, 기타활엽수림의 면적은 각각 2,608㎡, 493㎡, 691㎡이었다. 유형별 온도차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토지피복 유형별 온도, 식생유형별 온도, 산림 수종별 온도 모두 F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유형별 온도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후검정을 통한 유형간의 온도차이를 확인한 결과 토지피복 유형에서는 습지<산림<조경수식재지<초지<포장지 순으로 평균온도의 차이가 있었고, 식생유형에서는 산림활엽<산림침엽<장초지<조경수침엽<조경수활엽<단초지 순으로 온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수종별 온도차이에서는 아까시나무림<기타활엽수림<소나무림 순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습지와 산림은 저온역이었고, 산림 중에서도 침엽수 보다는 활엽수의 온도가 더 낮았다. 고온역은 포장지의 온도가 월등히 높았고, 초지와 조경수식재지도 온도가 높았다. 조경수식재지가 온도가 낮은 것은 식재 초기로서 수관의 발달이 미약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산림 수종별 녹지용적과 온도와 상관관계 분석결과 소나무림과 기타활엽수림은 0.01 유의수준에서 Pearson 상관계수가 각각 -.417, -.466인 음의상관관계이었고, 아까시나무림은 상관계수 +.181로 약한 양의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소나무림과 기타활엽수림에서는 녹지용적 증가시 온도가 감소하였지만, 아까시나무림은 온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용적과 온도의 관계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였다. 소나무림과 기타활엽수림의 녹지용적에 따른 온도변화에 대한 선형회귀분석 결과 소나무림의 회귀식은 Y=39.932-0.125X, R²는 .174, 기타활엽 수림은 Y=39.121-0.154X, R²는 .217이었다. 본 회귀식에 따르면 단위 cell당 DHM 수치(녹지용적) 1증가시 온도는 0.125~0.154℃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도심녹지의 온도저감 효과 파악을 위해 UAV를 활용한 고해상도 지표온도 영상을 취득하여 녹지유형별 온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습지와 잔존산림의 온도저감 효과가 컸고, 산림에서 침엽수 보다 활엽수의 온도가 더 낮았다. 도심 온도저감을 위해서는 잔존산림의 보전과 침엽수보다는 활엽수 식재가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지는 비교적 고온이어서 온도저감 측면에서는 효과가 낮았고, 포장지에서는 온도가 급증하여 포장면적의 최소화가 필요하였다. 잔존산림 내 수종별 녹지용적과 온도의 관계는 음의상관이 확인되어 용적의 증가시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아까시나무림에서는 온도가 증가하는 수종 간 차이가 확인되어 추후 연구가 필요하였다.
        2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ndscapes are dynamic and therefore they experience frequent changes over time. This research analyzed the landscape chang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oodlands in an urban fringe landscape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sustainable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ied landscape changed between 2002 and 2014 mainly due to new road construction and residential development. Several landscape ecological indicators were used to assess the woodland changes and the overall effect of woodland changes on the landscape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revealed a decrease in patch size of less 5ha (n=13) and between 5ha and 9.9ha (n=2). AWSI decreased from 4.03 in 2002 to 3.89 in 2014, and MND increased from 38.41m in 2002 to 49.12m in 2014, and SDI of land cover type decreased from 1.16 in 2002 to 0.18 in 2014. The results suggest that woodlands have become smaller and more isolated. The shape of the woodlands has also become simpler and more regular. These spatial woodland changes adversely impact the biodiversity. For further information on landscape ecological conditions,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more landscape ecological metrics and ecological information such as habitats and species surveys is needed in future studies.
        4,000원
        3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람이 불어오는 과정에서 지형 및 지물을 지나칠 경우 바람은 흐트러진다. 이 흐트러짐에 의해 풍속은 빨라질 수도 있고 느려질 수도 있다. 특히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에서는 주로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물축척의 도심지를 재현하여 풍동실험을 통해 도심지에서의 차폐효과에 의한 풍속이 느려지는 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차폐효과에 큰 영향을 미칠 인자들을 도로폭과 주변건축물들의 평균적인 높이로 선정하였고 각각의 조건에 따른 차폐의 정도를 차폐계수로 정의하여 나타내었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로방향으로 바람이 불 경우 왕복4차선 이하의 도로변에서의 차폐계수는 0.85 이하로 나타났고, 도로직 각방향으로 바람이 불 경우 왕복6차선 이하의 도로변에서의 차폐계수는 0.9 이하로 나타났다.
        4,000원
        3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this study, noise reduction effect of a two-layer porous asphalt pavement was investigated through site measurement and computer simulation. METHODS: To examine noise reduction effect, a 3 km long quiet pavement was installed by removing previous normal pavement, which had a rather low porosity. The studied site was a high-rise apartment building surrounded by the quiet pavement and Seoul ring road with heavy traffic volume, indicating relatively high background noise. RESULTS: The measurement result before and after installing the quiet pavement showed a noise reduction effect of 4.3 dB(A) at a distance of 7.5 m from the road. After validating the accuracy of simulation using SoundPLAN, the reduction in SPL(sound pressure level) at the facades by the quiet pavement was predicted by considering five different road conditions generating traffic noise from each road or in the combination of the quiet pavement and Seoul ring road. In the case of no noise from Seoul ring road, noise reduction at the facades was 4.2 dB(A) on average for 702 housing units. With background noise from Seoul ring road, however, the average SPL decreased to 2.0 dB(A). Regarding subjective response of noise, the number of housing units with a noise reduction of over 3 dB(A) was 229 out of 706 units (approximately 32%). For 77 housing units, the noise reduction was between 1~3 dB(A), while it was less than 1 dB(A) for 400 housing units. CONCLUSIONS: The overall result indicates that the quiet pavement is useful to reduce noise evenly at low and high floors compared to noise barriers, especially in the urban situation where background noise is low.
        4,000원
        3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rldwide conversion of natural lands into urban land uses is the most significant process affecting landscape character and ecological condition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hanges of landscape character and ecological conditions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to assist policy makers in meeting wider sustainability objectives in an urban fringe landscap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landscape experienced the decrease in woodland cover (-22.70%) and agricultural land cover (-10.30%) between 2002 and 2014. However, the urban land cover sharply increased from 5.07% in 2002 to 38.07% in 2014. Due to their location on the edge of the core urban area, this landscape character unit had been under increasing pressure from new built developments. Development pressures include housing expansion from adjoining urban areas, and business development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key road intersections and expansions of public infrastructure. Furthermore, the landscape had been changing rapidly as massive high-rise apartment developments were built as the core urban area expands, with the removal of woodlands and arable fields. These landscape changes in the study area had a strong impact on landscape character for this period. The index of landscape heterogeneity declined from 0.802 in 2002 to 0.712 in 2014. The index of area weighted mean woodland patch shape was decreased from 3.196 in 2002 to 2.784 in 2014. The result suggested that it became a more homogeneous landscape and had less species and a less stable ecological structure for this period. This research only used the index of landscape heterogeneity for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For more ecological information,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based on landscape ecological metrics is needed in future researches.
        4,000원
        3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ater cycle within the human civilization has become important with urbanization. To date, water cycle in the eco-system has been the focus in identifying the degree of water cycle in cities, but in practicality, water cycle within the human civilization system is taking on an increasing importance. While in recent years plans to reuse water have been implemented to restore water cycle in cities, the effect that such reuse has on the entire water cycle system has not been analyzed. The analysis on the effect that water reuse has on urban areas needs to be go beyond measuring the cost-savings and look at the changes brought about in the entire city’s water cycle system. This study uses a SWAT model and water balance analysis to review the effects that water reuse has on changes occurring in the urban water cycle system by linking the water cycle within the eco-system with that within the human civilization system. The SWAT model to calculate the components of water cycle in the human civilization system showed that similar to measured data, the daily changes and accumulative data can be simulated. When the amount of water reuse increases in urban areas, the surface outflow, amount of sewer discharge and the discharged amount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decrease, leading to a change in water cycle within our human civilization system. The determinant coefficients for reduced surface outflow amount and reduced sewer discharge were 0.9164 and 0.9892, respectively, while the determinant coefficient for reduced discharge of sewage treatment plants was 0.9988. This indicates that with an increase in water reuse, surface flow, sewage and discharge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all saw a linear reduction.
        4,200원
        3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기반 라이프라인은 지진발생시 시설물의 붕괴뿐만 아니라 붕괴로 인한 도시기능 마비, 대형화재와 같은 2차 피해를 동반하여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국내에서는 지진재해대응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지진재해대응시스템은 각 시설물별 지진취약도 모델을 통해서 시설물의 파괴확률을 산정하고, 지진재해 정도를 평가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반특성을 고려하여 도시기반 라이프라인 시설물 중 매설가스배관의 시간이력 해석을 수행하였고, 확률론적인 해석방법인 최우도추정법을 이용하여 지진취약도 모델을 개발하였다. 해석모델은 국내 대표도시인 서울지역에 매설된 고압관과 중압관으로 선정하였으며, 지반의 모델링은 Winkler foundation 모델을 이용하였다. 또한 개발된 취약도 모델의 GIS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3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ecies diversity of ant fauna inhabiting the university campus i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Hanyang University is documented in this investigation. Totally, 14 species of 8 genera belong to 3 subfamilies discovered in study area. Our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works on ant fauna in the forest and urban habitats based on species number difference. In study area, site 12 and 13 contain wide forest area and diverse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rotten wood, leaf mold and group of living tree. Site 7 has small forest area, but show wide variety of environments like site 12 and 13. Urbanized region like site 8, 10 or area in construction like site 1 show the most lowest diversity. Aside from diversity, Four ant species, Paratrechina flavipes, Lasius spp., Camponotus japonicas, Tetramorium caespitum, appear at almost all habitat, seems to have strong tolerance to environmental change.
        3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측정망에서 2004년부터 2013년간 관측한 대기질 자료를 중심으로 SO2의 환경거동을 시간적 기준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관측한 기타 대기오염물질들(PM2.5, PM10, TSP, CH4, CO, NO, NO2, NOx, O3, THC, NMHC)의 농도자료와 기상자료들과의 관계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SO2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10년간 측정한 용산구 지역에서 측정한 SO2의 연간 평균농도는 대기환경기준치인 20nmole mole-1보다 5배 정도 낮은 4.36-5.86(최저-최고) nmole mole-1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간 평균농도가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는 성분들과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여러 가지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SO2의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용산구에서 측정한 SO2와 기타대기오염물질, 기상자료들의 경향성을 비교해보았다. SO2은 온도 및 기타물질들에 대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O2은 다른 대기오염물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200원
        3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rban-Hanok emerged as a result of urbanization of Hanok in the modern period. In particular, Urban-Hanok has been mass-produced from the early 1920s, when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cities, until the middle. Large-scale development by the professional developer has been developed in large-scale land rather than individual client because housing shortage was serious problem. 11 Gahoe-dong was made in 1935-36 is representative Urban-hanok area of Bukchon. It was formed through division of large-scale Land in 1930’s. In the 1930’s, the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of Urban-Hanok was triggered by the two events. One is Land Investigation Project perform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capitalization of property, another is the pro-japanese bought the large scale-land in Gahoe-dong at bargain price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Each lot has still a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and-dividing quality, the way of development, characteristic quality of urban-tissue. 11 Gahoe-dong, Urban-hanok area was developed two ways. First, development have been adapted to the topography. The lots have reflected top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land cutting area, a retaining wall, land-diving was maintaining the original topography almost. Second, it was street oriented development. The lots have developed sequentially along the street. So, the lots's shape and size is different each. For this reason, this area distribute various type of Hanok.
        4,600원
        40.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lo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hanok tissues that were formed in the downtown since 1920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s and lots, the developing process and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hrough dividing the large and medium lots of the aristocratic families and on the hilly area near the Seoul City Wall, various shapes of urban hanok tissue were evolved. The urban hanok tissues developed before 1936 locate on the downtown sites, while those developed after 1936 locate on the hilly sites. The location of the tissues were identified in the upper area of Jong-no street. The former is composed of small size lots divided into average area 104.4㎡ with the narrow alleys of about 2.0m width, while the latter is composed of medium size lots divided into average area 131.54㎡ with the alleys of about 4.0m width. Moreover the structures of the tissues were evolved based on the developing period and the site condition. Moreover the structures of the tissues were evolved based on the developing period and the site conditio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efined as the four patterns categorized with the bilateral concepts of alley’s form and of alley’s spacial feature.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