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1.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asal cavity encounters various irritants during inha¬lation such as dust and pathogens. To detect and remove these irritants, it has been postulated that the nasal mucosa epithelium has a specialized sensing system. The oral cavity, on the other hand, is known to have bitter taste receptors (T2Rs) that can detect harmful substances to prevent ingestion. Recently, solitary chemosensory cells expressing T2R subtypes have been found in the respiratory epithelium of rodents. In addition, T2R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human airway epithelia. However, it is not clear which T2Rs are expressed in the human nasal mucosa epithelium and whether they mediate the removal of foreign materials through increased cilia movement. In our current study, we show that human T2R receptors indeed function also in the nasal mucosa epithelium. Our RT-PCR data indicate that the T2R subtypes (T2R3, T2R4, T2R5, T2R10, T2R13, T2R14, T2R39, T2R43, T2R44, T2R 45, T2R46, T2R47, T2R48, T2R49, and T2R50) are expressed in human nasal mucosa. Furthermore, we have found that T2R receptor activators such as bitter chemicals augments the ciliary beating frequency. Our results thus demonstrate that T2Rs are likely to function in the cleanup of inhaled dust and pathogens by increasing ciliary movement. This would suggest that T2Rs are feasible molecular targets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for nasal infection and inflammation.
        4,000원
        2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도에서 봉지 종류, 봉지 처리시기 및 식물성 오일처리에 따른 열과와 병 발생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봉지 종류별 열과 및 탄저병 경감효과는 '캠벨얼리'에서 열과 발생은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으나, 탄저병 발생은 무대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조생 캠벨얼리'에서 열과 및 탄저병 발생은 무대처리를 제외한 관행봉지, 창문봉지, 칼슘함유봉지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캠벨얼리'에서 모두 7월 5일 이전의 봉지처리에서, '거봉'에서는 각각 6월 29일과 7월 6일이전의 봉지처리 모두에서 현저하게 줄었다. 식물성오일 처리는 '조생 캠벨얼리'에서 열과 및 탄저병 발생률을 현저히 줄 일수 있었고 '캠벨얼리'에서는 과피의 칼슘함량을 증가시켰다. 봉지종류별 과실품질 중 가용성고형물은 창문봉지 처리에서 많이 감소되었으며 칼슘함유봉지 처리에서는 Hunter b값이 떨어졌다. 따라서 칼슘함유봉지 및 식물성오일 처리는 열과 경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4.
        197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과피원판저지대법"으로 사과 탄달병 방제약제의 지속성, 전착제 및 살충제혼용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2. 살균제를 뿌린 후 시일이 경과할 수록 살균력은 줄었다. 공시 약제 중에서 Difolatan의 약효가 가장 컸으며 15일 후에도 의 살균력이 있었고 그 다음은 Tuzet, Phaltan, 보르도액 , Delan의 순위였다. 3. 인공강우량이 많을수록 Tozet의 약효는 줄었으나 전착제를 첨가함으로색 약제의 유실을 경감할 수 있었다. 시판 상품인 리노 1,2호 및 Tween 20 보다도 탈지분유 및 콩추출액의 효과가 현저히 좋았다. 4. Phaltan을 단용하는 것보다 EPN, Folithion, Parathion 및 Lebaycid 를 섞어서 실온에 12일간 두어도 어느 것이나 살균핵과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5.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ntetnts of phenolic acid and isoflavon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oy sauce were compared the soy sauce added bitter melon powder (BMPs). After the fermentation, pHs were decreased from 5.83 (0% BMP), 5.47 (5% BMP), and 5.32 (10% BMP) to 5.28, 5.36, and 5.16 at 90 days, whereas the acidities of soy sauce were increased from 0.06%, 0.07%, and 0.09% to 0.30%, 0.28%, and 0.36% at 90 day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alinities of soy sauce were decreased, while viable cell numbers including Bacillus and yeast were in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isoflavone-aglycone, and phenolic acid and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90 days, while the isoflavone-glycoside contents were decreased. In Particular, soy sauce with 10% BMP at 90 days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glutamic acid (GA, 9,876.09 mg/100 mL)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325.02 mg/100 mL) contents than among other samples. Additionally,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ABTS, ⦁OH, and FRAP)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soy sauce with 10% BMP at 90 days were shown to be high 96.07%, 97.27%, 59.47%, 1.98%, and 79.96%, respectively.
        2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ublished article “Bitter melon extract does not alter photoperiodic effects on reproduction of male golden hamsters. Dev. Reprod. 2017; 21(2):215-221. https://doi.org/10.12717/DR.2017.21.2.215,” the corresponding author’s name is given incorrectly. The Editorial Office of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would like to correct the corresponding author’s name. The Editorial Office apologizes for any inconvenience that it may have caused.
        27.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itter melon’, a popularly used fruit in Bangladesh and several other Asian countries, on high-fat-diet-induced type 2 diabetes. To investigate the effect, ethanol extract from bitter melon (BME) as a dietary supplement with mouse chow was used. BME was found to significantly attenuate the high-fat diet (HFD) -induced body weight and total fat mass. BME also effectively reduced the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the HFD. Furthermore, dietary supplementation of BME was highly effective in increasing insulin sensitivity and reducing hepatic fat and obes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ME could be effective in attenuating type 2 diabetes and could therefore be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type 2 diabetes.
        28.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MC)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treating diabetes. In addition, some reports were emerged, showing the antifertility activities of MC in mammal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thanolic MC extract on the reproductive activity of golden hamsters whose spermatogenetic capacity is controlled by their photoperiod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long photoperiod (LP) control, short photoperiod (SP) control, and LP animals treated with MC. The animals were orally ingested with low (0.03 g/kg) or high (0.15 g/kg) concentrations of the ethanolic extracts for 8 weeks on the daily basis. The control animals received the vehicle. The animals were then mated with age-matched females, experienced pregnancy. As results, the LP control animals showed active large testes but SP control animals displayed remarkably reduced testes. The animals treated with both concentrations of MC extracts demonstrated large testes, indicating fertile activity as animals in LP. LP control animals had litters as expected, but SP controls had no litters at all. MC extract showed the same results as LP animals in generating offspr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C extract does not change the photoperiodic influence on reproductive activity of male golden hamsters.
        29.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여주 분말 첨가 된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 화합물(isoflavones과 phenolic acids) 및 생리활성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된장 발효 중 pH는 6.41-5.83에서 5.81-5.24로 감소하였고, 반면에 산도는 0.42-0.65%에서 1.28-1.48%로 증가하였다. 고초균과 효모 생균수, 염도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종기(60 일)에 증가하였다. 특히, 발효 후 10% 여주 분말 첨가 된장은 가바(GABA, 129.87 mg/100 g) 함량이 다른 된장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함량이 높았다. 발효 후 된장은 발효 전 된장 시료보다 생리활성이 높았다. 발효 후 phytochemicals 화합물 중 isoflavone-aglycones과 phenolic acids는 증가하였고, 반면에 isoflavone-glycosides는 감소하였다. 게다가, 발효 후에 총 phenolics, isoflavone-aglycones과 phenolic acids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항산화 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여주 분말 첨가로 항산화와 항당뇨 활성이 개선된 새로운 타입의 된장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is a vegetable with pantropical distribution and contains the active ingredient, such as momordicine and charantin. Moreover, bitter gourd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antidiabetic, anticancer, cardiovascular-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But, the distinctive bitter taste of bitter gourd was not suitable for food prefer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rovement effects of bitter taste of bitter gourd with natural fermentation and roasting process. Methods and Results : Bitter gourd fruits were obtained from Headeulnyeokae Co., Ltd.(Gang-Jin 59253, Repubilc Korea). Fruits of bitter gourd were prepared by natural fermentation process for 4h at 25℃. After natural fermentation, the fruits were dried in hot-air dryer for 15h at 49-55℃. The dried fruits were roasted in 500 g batches at 120℃ for 10 min in the electric rotisserie oven. After roasting, fruit piece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cold water. One of them was cool-type, and the other was hot-type bitter gourd tea. In the sensory evaluation, hot tea and cold tea showed the high scores on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Conclusion : These mean that roasted bitter gourd had less bitter, and it could be utilized widely as drink and food material.
        31.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밝혀져 있는 여주 분말을 첨가 하여 쌀누룩을 제조하고 이 누룩을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 하였다. 여주 분말-쌀누룩(BMP-RN)은 BMP를 0, 0.5, 1.0 및 2.0%로 쌀에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막걸리 발효가 진행 되는 동안 발효 특성, 미생물 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확인하 였다. 막걸리 발효 중 pH는 담금 직후(발효 0일째) 각각 4.52(0% BMP-RN), 4.93(0.5%), 4.80(1.0%) 및 4.88(2.0%)에 서 발효 7일째 4.15, 4.30, 4.57 및 4.77로 감소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총산은 0.60~0.78%에서 1.18-1.42%로 증가하였 다. 가용성 고형분은 발효 초기(0일째) 2.2~4.4 oBrix에서 발효 종기(7일째)8.6~9.3 oBrix로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 은 발효 종기 13.0%로 증가하였다. 한편, 수용성 phenolics 함량은 발효 0일째 각각 0.92~1.41 mg/mL에서 발효 종기(7 일째) 1.85~2.48 mg/mL로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DPPH 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은 각각 발효 0일째 46.95~70.04%, 55.33~74.13% 및 0.629~1.243에서 발 효 7일째 54.98~83.4%, 70.34~92.39% 및 0.964~1.455로 증 가하였다. 여주 분말 첨가 막걸리가 여주 분말 무첨가 막걸 리(일반 막걸리)보다 수용성 phenolics 및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 여주-쌀누룩을 이용하여 기능성 막걸리 제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2.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여주 분말(bitter melon powder, BMP) 첨 가 청국장 발효 중 β-glucosidase 활성 변화, 총 phenolics와 isoflavone 함량, 항산화 활성 변화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 다. 청국장 발효 중 β-glucosidase 활성은 48 hr까지는 증가 한 후 72 hr에는 감소하였으며, 총 phenolics, isoflavonemalonylglycoside 및 isoflavone-aglycone 함량은 증가하였 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 역시 증가하였으나, 총 isoflavone 및 isoflavone-glycoside 함량은 감소하였다. 한편, 발효종기 5% BMP 첨가 청국장은 또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 여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 72 hr 후 5% BMP 첨가 청국장의 총 phenolics와 daidzein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은 각각 13.5 mg/g, 390.57 μg/g, 90.74%, 99.79% 및 1.705(OD593 nm) 있었다. 부가적으로 여주 분말이 첨가될수 록 청국장의 이취도는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여주 분말 첨가로 기호성과 항산화 활성이 개선된 새로운 타입의 청국장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주는 몇몇 열대지역에서 중요한 채소 작물이다. 여주 과 실이 의학적으로 효능이 있는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주로 장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 여주의 미숙과실에 있는 항당뇨성분 때문에 여주에 대한 관 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재배법과 기능성성분에 대한 연 구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항 당뇨성분인 카란틴 성분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카란틴 성분을 분석하였다. 여주 과실의 카란틴 성분 분석은 31자원 의 인공교배된 착과 후 15일 경과한 과실을 이용하였다. 카란틴 함량은 15.1∼161.4 μg·g -1이었으며, 건물중은 221 ∼2,097 g이었다. ‘K169998’, ‘K042800’, ‘K170002’, ‘Hwanock’ 그리고 ‘Nockwoo’ 5개 계통의 카란틴 함량은 각각 143.7, 104.6, 103.5, 161.4, 101.1 μg·g -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 당뇨 성분인 카란틴 함량이 높은 여주자원 선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품질 여주 자원 선발에 기초자료로 이용 될 것이다. 향후 여주의 수확시기가 어떻게 카란틴 함량 변화 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기작 규명 연구가 필요하다.
        34.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울금에 들어 있는 curcumin성분의 추출조건 확립 및 HPLC에 의한 최적 분석조건과 쓴맛성분 제거방법 등을 검토한 결과, 메탄올에서 흡수파장은 424 nm 부근에서 최대흡광도를 보였으며, HPLC의 최적 분석조건은 UV 424nm에서 Zorbax eclipse column을 사용하여 분석할 경우, 이동상은 75% MeOH, 유속 0.8 mL/min에서 가장 좋은 분리 결과를 보였다. Curcumin 성분은 메탄올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유량을
        35.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을울금과 봄울금의 채취시기에 따른 유기산, 무기질, 색도, curcumin 및 쓴맛성분 등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주요 유기산 중에 oxalic acid와 lactic acid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나 malic acid, malonic acid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기산 총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점차 증가하다가 다음해인 1월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기질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함량이 증가하다가 이듬해에
        36.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is a tropical and subtropical vine of the family Cucurbitaceae, widely grown for edible fruit, which is among the most bitter of all vegetables. Bitter melon contains an array of biologically active plant chemicals including triterpenes, proteins, and steroids. The fruit is useful in gout, rheumatism and subacute cases of the spleen and liver diseases. It is supposed to purify blood and dissipate melancholia. It has also been shown to have hypoglycaemic properties (anti-diabetic) in animal as well as human studies. Raw materials of used in pharmaceuticals, health food, cosmetics, food, perfumery and other industries. However, bitter melon is not popular in Korea.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bitter melon in Korea, we collected 13 varieties of bitter melon from domestic andabroad. We study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bitter melon. In general frui tsize and weight of Philippines and Japanese varieties was larger than that of Chinese and Korean. We are studying chemical analysis of useful compound (diosgenin and GABA) from bitter melon.
        38.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자의 부위별 narinign 및 hesperidin의 함량은 과피가 95.54 mg%, 103.99 mg%, 과육이 65.77 mg%, 77.18 mg%, 씨에는 16.49 mg%, 15.88 mg% 순으로 검출되었다 유자에서 고미의 원인 물질인 naringin을 제거하기 위한 naringinase 최적 첨가량을 검토한 결과, naringinase 20 units 첨가구의 경우 90분 경과후 대부분 분해되었다. 표준시약으로 naringin 10
        39.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자 착즙액에 naringiase와 탁주용 당화 효소 3% 처리 결과 naringin과 hesperidin의 함량이 61.94 mg%, 9.98 mg%에서 각각 8.43 mg%, 0.06 mg%와 6.58 mg%, 1.11 mg% 감소하였다. Hunter value를 측정한 결과 적색도/녹색도(a값)는 효소처리구 모두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황색도(b값)와 명도(L값)는 탁주용 당화 효소가 가장 높았다. 복합 효소 처리후 실제 관능적으로 고미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