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1.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놀성 화합물들은 단백질이나 금속 이온들과 결합하는 성질을 지녀 식품분야에서는 영양 저해물질 혹은 갈변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또 이들물질이 상수원에 유입시 염소와 결합하여 악취나 발암물질을 형성하는 등 환경적으로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들 물질들의 항미생물 효과, 항암효과 등이 밝혀짐에 따라 유용한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들 물질들의 제거 또는 회수는 곧 유해물질의 제거 혹은 유용성분의 분리의 의미가 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연속식 고정층 흡착을 다성분계 페놀산 용액에서 행하여 실제 흡착공정에 적용시 필수적인 자료인 파과곡선 및 파과점을 nonlinoar curve fitting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흡착질의 종류가 증가할수록 파과곡선의 적합성은 점점 낮아졌으며 흡착속도에 있어서는 gallic acid가 가장 빨리 파과점을 지나고 ferulic acid, p-coumar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로부터 다성분계에서의 연속식 고정층 흡착은 흡착제와 흡착질간의 ionic strength와 흡착질간의 분자량의 차이가 흡착량과 파과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3.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웰빙이라는 자연친화적인 건강한 삶을 핵심 가치로 추구하면서 실내 공기질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친환경 도료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천연방사성 물질인 라돈 저감이 가능한 활성탄 복합 시트를 개발하고 라돈, HCHO, VOCs에 대한 저감 효과를 평가 하였다. 활성탄 복합 시트는 규산나트륨 에멀젼과 활성탄을 혼합하여 활성탄 액상 도료를 제조하고 에어스프레이 공법을 통하여 복합 시트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활성탄 복합 시트에 대한 유해물질 저감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라돈은 환경부 고시, HCHO 및 VOCs는 KCL-FIR-1085 기준에 부합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제작된 활성탄 복합 시트는 20시간에서 약 90.8%의 라돈 저감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HCHO 및 VOCs는 3시간에서 각 96.7%, 96.6%의 저감 효율이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실내 공기 질 개선을 위한 제품 개발 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alopanax pictus is one of the most popular wild vegetables in Korea. In recent years Kalopanax pictus has been developed which has no thorns that can be efficiently harvested. Kalopanax pictus, now without thorns, breeds only by root cutting. This makes the price of ineffective and invisible Kalopanax pictus high. Therefore, tissue culture is necessary for efficient mass proliferation of visibly absent Kalopanax pict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browning treatment on tissue culture of thornless Kalopanax pictus. Methods and Results : Thornless Kalopanax pictus young leaves were cut into 5 ㎜ in diameter and cultured for 1 month at 2,4-D 1 ppm + TDZ 0.1 ppm + 3% sucrose. Add 0.05%, 0.1%, 0.15% and 0.2 ㎎/ℓ of browning inhibitor such as ascorbic acid, citric acid and activated charcoal to the MS + 2,4-D 0.2 ppm + 5% sucrose medium. And cultured at 25℃ for 24 hours Light condition for 1 month.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browning agent, characteristics such as callus size,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rate and browning degre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callus size of ascorbic acid 0.05 ㎎/ℓ was the largest at 2.26 ± 0.4 ㎝ and the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rate was the highest at 16.4%. The degree of browning was 40.30 ± 4.92 in L value and 5.00 ± 2.23 in b value. Conclusion : When ascorbic acid 0.05 ㎎/ℓ is added to the secondary culture medium, the size of the callus increases and the degree of browning decreases. Us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we can establish a mass proliferation system through tissue culture of Thornless Kalopanax pictus.
        25.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charcoal concrete. Compressio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specimens with various replacement ratio (0%, 10%, 20%) of charcoal.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charcoal concrete were reduced with increasing replacement ratio of charcoal.
        2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비작물로서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환원하고, 토양개량제로서 charcoal을 시용하여 생강연작 재배지에서 생강을 재배한 결과, 토양 pH가 시험 전 6.9~8.1에서 수확 후 6.8~7.6로 감소하였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는 한 시험 전 0.45~1.25dS m-1에서 수확 후 0.30~0.61dS m-1로 감소하였다. 토양유기물(soil organic matter, SOM) 함량과 토양 중 총질소(total-nitrogen, T-N)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효인산 함량과 치환성 K, Ca, Mg 함량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pH를 중성화시키고, EC 경감, SOM과 T-N 함량의 증가는 토양 화학성 변화에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생강양분의 함량적 차이를 정상근과 이병근의 함량 차이, 토양의 점토함량 별 양분 함량 차이로 조사한 결과,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으며, 처리구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망간(manganese, Mn)의 경우, 이병근의 지하부에서 3~4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망간(Mn)은 식물 뿌리에 대한 독성 작용으로 뿌리를 갈변시키고 균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된바, 뿌리썩음병의 발생으로 Mn이 작용하여 이병근의 M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뿌리썩음병과 Mn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강 수확 후 생강 생육 상태와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녹비보리, 헤어리베치, 녹비보리+charcoal, 헤어리베치+charcoal을 처리한 시험구(Plot 2, Plot 3, Plot 4, Plot 5)에서 생강의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생산량이 높아 병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Plot 4(헤어리베치+charcoal)-LCC에서는 100%의 생산량을 보였다. 녹비작물과 charcoal의 처리가 생강 생육과 생산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점토함량이 낮은 처리구가 점토함량이 높은 처리구보다 생육 상태와 생산량에서 우세하였는데, 모래와 점토 함량 차이에 따른 배수와 토양의 수분보유력이 생강생육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27.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mission characteristics of gaseous odor compounds emitted from the charcoal manufacturing process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odor removal efficiency of odor control devices. It was found that the measured odor dilution ratio of emission gases ranged from 10,000 to 44,814, which exceed largely the emission standard in the stack. Methylmercaptan, trimethylamine, hydrogen sulfide, acetaldehyde were turned out as major odor compounds of the charcoal manufacturing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the odor removal ratio of odor control devices were very low due to the its improper maintenance and wrong design.
        2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mprove the soil properties of physical and microbial community rice bran and wood charcoal were applied in the continuously cultivated plastic 꺼1m house soil.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improved by application of rice bran and charcoal compared to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control) by 8-14% in bulk density and 5-9% in soil porosity. Changes in the biological ratio indexes of fatty acids in the soils were detected depending on the inputted materials. Especially in application of rice bran including mixture with charcoal, much more fungi and less bacteria were detected and the ratio of fungi to bacteria was increased, suggesting the more organic carbon metabolically active in these treatments. The high ratio of aerobe to anaerobe suggested the better aerobic conditions were in the soil inputted wood charcoal. From these results, it is important and possible to select some materials for the organic pepper cultivation, which may improve the poor condition soil.
        30.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숯은 제조 및 활용과정에서 연소를 통해 함유된 성분들을 방출한다. 연소는 숯의 화학조성뿐만 아니라 숯의 표면 물성변화를 초래하고 다른 성분을 흡착하기 쉬운 상태로 변형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4종 숯에 대하여 화학적, 열적안정성과 중금속 및 유기유해물질의 거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온에서 400℃까지 열중량분석(TGA)과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한 연소에 따른 중량변화와 관련된 물질거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TGA 분석결과 대부분 시료에서 200℃ 이전 약 10% 중량이 감소하였으며, 200℃ 이전에 잔류유기물과 가스상 물질이 소실되는 것을 알려준다. 열분석에 의한 질량 감소는 천연숯과 인공숯에서 다르게 측정되었다. 천연숯 K1, C1 에서는 400℃까지의 가열 반응결과 약 15% 중량 감소가 있었으며, 인공숯 K2, C2의 경우 약 20%의 중량 감소가 있는 것으로 검출되었다. 가열에 의한 400℃ 이하 중량감소는 주요 유기물과 VOC의 소설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조성분석에 근거한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첨가제인 Ba이 Ba(NO3)2 및 BaCO3 등의 형태로 NaNO3와 함께 숯에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2.
        200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tivate charcoal (AC) can be utilized as a soil conditioner in agricultural crop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 on growth and yield of Zingiber mioga ROSC as affected by different amounts of AC.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ere the highest when activated charcoal added with 10-30%, suggesting that optimum amount of activated charcoal was ranged from 10 to 30%. Growth and enlargement of the root were improved by 10% AC with higher rhizome length and weight.
        33.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AC) for stimulating growth and productivity of Curcuma longa Linne as affected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C.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ere the highest with the optimum amount of activated charcoal ranged from 10 to 30%. Root growth was elongated by the addition of 30% AC with the highest rhizome length and weight.
        34.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활성탄을 토양개량제로 활용하기위한 기초시험으로서 시호의 포트시험을 실시한 결과 시호의 생장은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 10∼30%가 첨가되었을 때 경장과 경태가 크고 분얼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다. 근의 생장과 비대는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 10-30% 첨가되 었을때 주근장과 근직경이 크고, 근중이 무거워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활성탄 시용에 의한 토양의 보수력과 보비력이 양호하여 물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더 낮은 농도나 높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시호를 재배할 경우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효과가 인정되어 약초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5.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구황작물인 토란을 활성탄(Activate Charcoal)을 시용하여 재배할 경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성탄시용에 따른 토란의 생장은 활성탄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엽장이 크고, 엽병속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특히 활성탄 10%∼20%가 첨가되었을 때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지하부의 생장에서도 활성탄10%∼20%처리가 주당 괴경수가 많고 괴경중이 무거워 양호한 경향이었다. 한편 괴경(槐莖)의 수량과 부산물인 엽병(葉柄)의 수량은 활성탄 10%∼20%처리가 생육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토란을 재배할 경우 활성탄의 효과가 인정되어 앞으로 작물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7.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작물인 한약재로 수요가 많고 식용으로 이용 가능한 더덕과 도라지를 폐 활성탄을 사용하여 재배할 경우 생산성 을 높이고 고품질을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의 생장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경장과 경직경이 커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특히 활성탄 20%가 첨가되었을 때 효과가 인정 되었다. 2. 더덕과 도라지의 개화는 각 처리 공히 90%이상이 개화되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활성탄(Activated Charcoal)10%와 20%처리가 각각 95%가 개화되어 개화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근의 생장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이 20%첨가되었을 때 주근장과 주근폭이 크고 근의 무게가 더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더덕과 도라지를 재배할 경우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효과가 인정되어 약초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8.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약재로 수요가 많고 꽃이 아름다워 화훼용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황금을 활성탄을 사용하여 분화재배를 실시할 경우 꽃의 수명이 오래가고 수확시 품질이 양호한 한약재를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시험을 수행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금의 생장은 활성 탄(Activated Charcoal) 30%가 첨가되었을때 경장과 경태가 크고 가지수가 많아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2. 황금의 개화는 각 처리 공히 90%이상이 개화되었다. 3. 수량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이 30%첨가되었을 때 생육이 양호하여 근경과 근장이 크고 근중이 무거워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활성탄 시용에 의한 토양의 보수력과 보비력이 양호하여 물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더 낮은 농도나 높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황금을 재배할 경우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효과가 인정되어 약초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 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9.
        199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산약(山藥) 경절편(莖節片)의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을 위해서 적정배지(適正培地)가 선발(選拔)됨에 따라 이에 적합시(適合時) 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활성탄(活性炭)의 처리농도(處理濃度)를 구명(究明)함으로서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에 의(依)한 증식율(增殖率)를 높이코져 무기강기성(無機강基性)이 낮은 1/8MS, White에 IAA와 NAA를 1~4mg / l 로 하고 활성탄(活性炭)을 0, 1, 3, 6g / l 수준(水準)으로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8MS 배지(培地)의 경우 1~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3g / l 첨가(添加) 하므로서 Shoot 유기(誘起)와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률(再分化率)이 모두 100%에 달하는 효과(效果)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效果)는 NAA처리시(處理時)에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6g / l 첨가처리(添加處理)와 NAA 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 만이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율(再分化率)이 l00%에 달하였으나 그 외(外) 처리(處理)에서는 대부분(大部分) 저조(低調)하였다. 3. 발육상태(發育狀態)를 보면 1/8M /S 배지(培地)의 경우 IAA 2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油處理)와 NAA 4mg / l, Kinetin 2mg / l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 하므로서 모두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2.7개(個)이고 발육상태(發育狀態)도 활성탄(活性炭)0g / l, 3g / l, 6g / l 처리(處理)보다 양호(良好)하였다. 4. 그러나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4mg / l, NAA 1~mg / l 그리고 Kinetin 2mg / 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 / l+Kinetin 2mg / l+활성탄(活性炭) 1g / l 이였으며, White+NAA 4mg / l+Kinetin 2mg / l+활성탄(活性炭)1g / 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