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1

        25.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로 추출물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한방약술의 품질 특성과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방약술의 pH결과는 4.4로 발효 전의 대조구 3.9보다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알코올 발효과정 중 발효부산물 및 유기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한방약술의 산도는 0.55%로 발효 전의 대조구 0.09%보다 약 6배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는 유기산이 알코올 등과 결합하여 ester와 같은 향미 형성 등에 이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방약술 15%의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 저해능 5.1±0.3, 한방약술 20%는 저해능 6.5±0.5, 한방약술 25%는 7.6±0.6, 한방약술 30%는 8.4±0.2, 최대 농도인 35%에서의 저해능은 9.7±0.7로 나타내었다. 추출 농도별로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 저 해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p<0.05).
        4,000원
        2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hizandra chinensis is one of the local special crops grown in Mungyeong, more than 70% of Gyeongbuk area. Scirtothrips dorsalis(Hood) are the most damaging pests among the insects that occur in the Schizandra chinensis, mainly affecting fruit quality, yield and 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reduce the damages by establishing efficient forecasting method and pesticide control system for the Scirtothrips dorsalis(Hood) occurring in Schizandra chinensis. Scirtothrips dorsalis(Hood) was surveyed with yellow sticky traps from April to September in the Mungyeong area. Scirtothrips dorsalis(Hood) has the highest density in July, beginning in early May, and then again in September. Therefore, the suitable time to control the Scirtothrips dorsalis(Hood) is in late May, early July, and mid August. Three species of pesticides(Spinetoram WG, Emamectin benzoate EC, Chlorfenapyr EC) registered in Scirtothrips dorsalis(Hood) were treated three times at the suitable time,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a high effect of 92% more.
        27.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ophagy is recently receiving the spotlight as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promising anticancer drugs.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anticancer drugs originating from natural products are known to induce autophagy. Saururus chinensis has been used for treating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extract of Saururus chinensis possess cytotoxicity for various types of human cancer cells. However, the exact action mechanism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for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has not been studied yet. Therefore, the authors of this research aim to study the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S. chinensis (MESC) on OSCC cells. To observe the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 of MESC on HSC3 cells, the authors conducted the trypan blue exclusion assay. Also, the action mechanism of MESC was studied by conducting the cell cycle analysis, acidic vesicular organelle (AVO) staining and flow cytometry analysis, monodansylcadaverine (MDC) staining, propidium iodide 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on MESC-treated HSC3 cells. When HSC3 cells were treated in MESC, the cell proliferation was suppressed in time-dependent and dose-dependent manners. Also, the number of sub-G1 arrested cell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MDC punctate and AVO puncta significantly increased respectively.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e expression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increased, but apoptotic proteins were not observed. Also, the pAkt protein was reduced, while the p-p38 protein and pERK protein increased. According to our results, MESC induced autophagy and accompanied changes in the cell cycle in HSC3 cells. Also, the alteration in Akt, ERK, and p38 pathways were confirmed. This resul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MESC as the new promising adjuvant for treating OSCC patients.
        4,000원
        2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오래 전부터 오미자와 칠해목은 약용식물로 이용해져 왔다. 오미자의 경우 생리활성 물질인 lignan을 통하여 여러가지 효능들이 연구를 통하여 알려졌으나, 칠해목의 경우 항염증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칠해목의 추출혼합물을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로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된 SH-SY5Y 신경세포에서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산화수소의 처리 농도의 경우, 신경세포 독성 실험을 통하여 100 μM의 농도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한, 오미자와 칠해목 추출물은 SH-SY5Y 신경세포에서 세포 독성이 없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30% 에탄올 추출물 5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의 최적 효능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의 추출물을 다양한 수율로써 6:4, 7:3, 8:2의 비율로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확인한 결과, 오미자와 칠해목 7:3의 비율과 50 μ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나왔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의 최적의 비율과 처리 농도로 사용하였다. Annexin V와 PI를 이용한 SH-SY5Y 신경 세포의 세포사멸을 확인해 본 결과에서도 오지마․칠해목 추출혼합물은 SH-SY5Y 신경세포의 세포사멸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이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SH- SY5Y 신경세포에서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에 대한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정확한 기전을 파악하기 위하여 In vitro와 In-vivo에서의 후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2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xya chinensis sinuosa Mistshenko(Orthoptera:Acrididae) was lived in clean and non polluted area. grasshopper was approved as a general food ingredient by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eneral component contents was 67~75% crude protein, 5~11% crude fat in a dried state. grasshopper is a high protein food. amino acids is high.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amino acids, which consists of the protein is the hightes alanine, glycine(soft and sweet) and arginine, histidine(essential amino acid of children) consequently, we developed a snack for children added with grasshopper powder. general composition of snack is 8~11% crude protein, 0.2~0.75% crude fat. The protein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ratio. 3% grasshopper powder was the best in general preference.
        3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hizandra chinensis(Turcz.) Bail is one of the local special crops grown in Mungyeong, more than 70% of Gyeo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and various pests are emerging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nd intensive cultivation. Scirtothrips dorsalis(Hood) are the most damaging pests among the insects that occur in the Schizandra chinensis(Turcz.), mainly affecting fruit quality, yield and qua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7 to September 2018 in three locations in Mungyeong area. Blue and yellow trap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s and the degree of damage. As a result of the survey, Scirtothrips dorsalis(Hood) occurred first in flowering period in May, and then occurred in fruits. The occurrence density was highest in Ju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ttractiveness of each trap color was blue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and yellow in the late st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e.
        3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메뚜기는 분류학적으로 메뚜기목(Orthoptera), 메뚜기과(Acrid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예로부터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채집하여 튀기거나 볶음요리 로 이용해 왔다. 벼메뚜기는 갈색거저리, 쌍별귀뚜라미 등과 함께 식품공전에 등록되어 있으나 1년 1세대로 가을철에 채집하여 이용하는 실정으로 공급확대에 한계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벼메뚜기를 사육하고자 하는 농가와 다양한 용도로 가공을 통해 이용하려는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연중사육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대량사육하는 농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벼메뚜기의 연중대량사육기술 뿐만 아니라 인공사료 및 자동화 사육시설 개발에 따른 생산비 절감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벼메뚜기의 먹이로는 여름작물로 옥수수, 수단그래스, 겨울작물로 밀, 보리 등의 볏과작물이 있으며 많은 양의 생엽과 발육에 적합한 작물의 선발 및 볏과작물의 통곡실 가루를 이용한 인공사료의 개발로 먹이공급 부족 시 15~20일 급여 가능하며, 벼메뚜기 사육시설로 단독형, 연결형, 절충형 등의 사육시설을 개발하여 연결형 사육시설의 수확량과 생존율이 가장 높았으며, 예취 급이 노동력이 단독형의 16% 소요되었다.
        3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과육색이 노란 국내 육성 키위 ‘Jecy Gold’ 품종의 수확 적기 판정과 후숙 후 당도 예측 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과실 생육 단계 중 과실 비대기는 BBCH 70~78(DAA 10~110), 과실 성숙 단계는 BBCH 80(DDA 140), 당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는 BBCH 83(DDA 160), 과육이 부드러워지는 시기는 BBCH 87(DAA 190), 과실이 노화되는 시기는 BBCH 90(DDA 210)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BBCH 83(DAA 160일)에서 수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후숙 전 과실 건물률과 후숙 후 당도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후숙 전 건물률을 이용하여 후숙 후 당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후숙 후 당도(y)=1.1841ⅹ건물율(x)-3.5244(r²=0.9338)으로 나타났으며, 실측 값과 예측 값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관계수 R² 값이 0.86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확 시기의 건물률을 이용하면 후숙 후 당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락하늘소(Anoplophora chinensis)와 유리알락하늘소(A. glabripennis)는 전 세계적으로 검역상 중요한 하늘소과 해충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들은 자연 기주목과 분재에서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재에서 phosphine의 이들 두 하늘소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Phosphine은 솔수염하늘소 유충과 알에 대해 높은 훈증효과를 보였다. 2 g/m3 농도의 phosphine을 24시간 훈증처리 시 유리알락하늘소와 알락하늘소 난은 부화하지 못하였고, 알락하늘소 유충은 동일농도에 168시간 훈증처리 시 100% 치사되었다. 분재 생육기(2월)나 휴면기(1월) 모두에서 phosphine 훈증제는 2 g/m3 농도에서 두 알락하늘소를 100% 치사시켰다. 그러나 2월에 각 분재목[단풍나무(Acer palmatum)와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을 대상으로 훈증처리 시, 세 수종 모두에서 잎과 꽃잎의 크기가 작아지고, 꽃의 개화가 지연되는 약해가 발생되었다.
        4,000원
        3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chujang following the addi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product extract powder.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total level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the activities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nd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Our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unmodified Kochujang were 4.06 mg TAE/g and 2.87 mg TAE/g, respectively, and that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Kochujang with added Omija by-product extract powder were 3.89~5.19 mg TAE/g and 3.11~5.35 mg TAE/g, respectively. As more Omija by-product extract powder was added, the more the total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increased. This study found tha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unmodified Kochujang was 25.8% and that in Kochujang with added Omija by-product extract powder was 27.1~39.7% eac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mija by-product extract powder has possibility not only in Kochujang products but also as a functional food with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also indicate that adding Omija by-product extract powder to Kochuja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acceptability. Thus, the addition of 5 or 10% of Omija by-product extract powder is desirable for making Kochujang.
        4,000원
        3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inegar is a widely used acidic seasoning and can be manufactured using a variety of methods and basic materials such as grains, wheat, and fruits. It was produced through an acetic acid fermentation process carried out by acetic acid bacteria. These bacteria not only produce a variety of metabolic compounds but also alter the acidity and flavor of the product. Some vinegar also contains antioxidants, antineoplastic compounds, and other bio-metabolites, which can have a beneficial effect on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fermentation black rice vinegar produced by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 extract for improving vinegar’s preferenc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vinegar created with fermented Omija extract were 317.5 ㎍/㎖ and 84.6%, respectively. But, the vinegar without Omija extract was 239.3 ㎍/㎖ and 72.5%, respectively. Glucose content of the vinegar added with the extract was 3.55∼4.17%, fructose content was 2.23∼2.71%, citric acid content was 4.23∼5.38% and malic acid content was 0.27∼0.62%. Glucose, fructose, citric acid and malic acid contents of the black rice vinegar added with the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vinegar without the Omija extract. The content of essential free amino acids in the vinegar added with the extract was 32.8∼42.7 mg% and GABA content was 0.45∼1.72 mg%. The vinegar with the fermented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and Pseudomonas aeruginosa.
        3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메뚜기의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일본의 Konno식 먹이를 대조구로 하고, 28개의 배합비율별 인공사료를 제작하여 급이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 Konno식 보다 6주 후 1마리당 체중은 22개 처리에서 높았고 우화성공율은 23개 처리에서 높았다. 폐사율은 부화입식 후 45일까지 Konno식 대비 24개 처리에서 높았다. 1마리당 체중, 우화성공율, 폐사율을 종합해 볼 때 탄수화물원으로는 옥수수 건조잎 분말 또는 통밀가루와 단백질원으로는 2~5%의 탈지대두분 또는 어분의 배합비율이 벼메뚜기의 인공사료로서 가능성이 높았다.
        3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미자를 가해하는 여러 해충 중 과피를 가해하는 볼록총채벌레를 대상으로 황색등에 대한 기피반응과 유인제에 대한 유인반응을 2017년 5월부터 8월까지 경북 문경시 동로면 소재 유기전환, 무농약, GAP 및 유기농 재배지에서 조사하였다. 황색등을 처리한 평지 및 경사지 모두에서 볼록총채벌레의 기피반응을 확인할 수 없었고 꽃노랑총채벌레 의 유인제로 사용하고 있는 p-anisic acid methyl ester에 대한 유인반응 또한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효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Derksen et al. (2016)이 언급한 것처럼 볼록총채벌레가 주행성(diurnal) 해충임을 의미하며 p-anisic acid methyl ester가 아닌 오미자가 발산하는 다른 향기물질(plant violates)을 이용한 유인제나 수컷이 방출하는 집합페로몬을 활용한 트랩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트랩 개발은 볼록총채벌레의 효과적인 예찰 및 대량포획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3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zuki bean beetle (ABB), Callosobruchus chinensis (L.) is a field-to-storage pest of legumes. It is ideal to estimate its field population before it invades the stored legume stuffs. The seasonal occurrence was monitored with rocket traps supplied with synthetic female sex pheromone and with sweep netting during 2015-2016. Harvest damage was evaluated by taking purposive samples of the pods at harvest. Over-wintering stage was identified from the pod samples of left over plants. The results ascertained that October was the peak season of ABB in the azuki bean field. Grain damage and weight loss of the harvested azuki bean were 2.7% and 2.4% respectively, which could be the inoculum for storage loss. The adult emergence only from live pupae collected from pods revealed for its most probable over-wintering stage. In all,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some field ecological parameters of ABB that could be helpful in adopting its management strategies.
        39.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다래(Actinidia chinensis)의 연화과 발생은 재배 환경과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경작년에 따라 발생 정도에 차이가 있다. 수확전 키토산 살포는 황육계 및 적육계 참다래 과실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것 으로 확인되었지만 수확후 침지처리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수확전 키토산 살포는 과실 성숙을 균일하게 만들어 주어 적육계 참다래의 수확기 연화과 발생율을 감소시켰다. 과실내부 조직의 CO2 농도 는 대조구에 비하여 45% 증가하였는데 이는 과피에 키토산 피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이었다. 수확전 처리 한 키토산에 의하여 과실 건물중과 전분함량이 증가하였고 가용성고형물과 산함량이 높아져 과실 성숙이 늦어졌으며 저장 중에도 과실 경도 및 전분 감소가 지연되었다. 수확전 키토산 처리는 적육계 참다래의 과피 반점 형성을 감소시켜주었다. 결론적으로 수확전 키토산 살포는 참다래 과실의 과피장해 억제, 경 도 저하 지연을 통하여 저장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4,200원
        4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the grasshopper Oxya chinensis sinuosa has long been used as a food in Korea, there is little data on itsfunctional effects. Thus we prepared and analyzed total RNA from the whole body of adult Escherichia coli non-immunizedand immunized Oxya chinensis sinuosa strains. Using an Illumina Hiseq sequencer, we generated a total of 66,555 pooledtranscriptome and singletons with and without Escherichia coli immunization, respectively. Then, we performed in silicoanalysis of the Oxya chinensis sinuosa transcriptome, using bioinformatics tools for screening putative antimicrobial peptides(AMPs) and 38 AMPs were finally selected and test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m positive, Gram negative bacteriaand antifungal activity with radial diffusion assay. As a result, 5 out of 38 AMPs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icrobes and it also evidenced with no hemolytic activity.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