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2

        21.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e-living nematodes feed on bacteria, algae, fungi, dead organisms, and living tissues. They release nutrients for plant use and improve soil structure and water holding capacity. They are usually the most abundant type of nematodes in soil and marine environment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urvey the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 nematodes from rhizosphere soil of plant for investigation of indigenous species according to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ree species of free-living nematodes belonging to the order of Dorylaimida were found from paddy soil and soybean fields, Miryang, Gyeongsangnam-do and one species was found from soil, Dokdo island, Gyeongsangbuk-do, Korea. Aporcelaimellus obtusicaudatus, Eudorylaimus arcus and Mesodorylaimus spengelii are newly collected from Korea. A. obtusicaudatus can be recognized by its large body, short odontostyle being much thicker than cuticle at the same level, well developed gonads, shape and length of the tail. E. arcus is distinctive because of the wide lateral field, tail form and supplement arrangement. M. spengelii is smaller species with short odontostylet, simple guiding ring. Female tail more or less uniformly attenuated, tip is not swollen, nor curved dorsally.
        4,000원
        2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0년 7월 하순에 전남 해남의 무화과 농장에서 Aclees속에 속하는 바구미가 발견되었다. 이 바구미는 무화과곰보바구미(신칭), Aclees taiwanensis Kôno, 1933로 동정되었다. 아마도 아열대 및 열대 아시아가 원산인 이 외래종 바구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에도 침입되어 무화과나무 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 논문이 한국에서 보고되는 Aclees속 바구미에 대한 첫 보고이다.
        3,000원
        2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9년 경남 진주시 배나무에서 석류가루이(신칭) Siphoninus phillyreae (Haliday, 1835) 가 발견되었다. 분포조사를 통하여, 부산, 창원, 진주, 광양, 순천, 고흥, 고성에서 발생을 확인하였고, 기주식물로 석류, 배, 모과, 매실, 산사, 비파, 홍가시, 피라칸타, 배롱나무, 꽃사과나무를 확인하였다. 이 해충의 피해 상황과 분류학적 특징을 기재한다.
        4,000원
        3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 지역이 원산지인 열대거세미나방(신칭; Spodoptera frugiperda (Smith, 1797))은 최근 전세계적에서 돌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농업 해충이다. 높은 비행능력을 가진 열대거세미나방은 2016년 아프리카를 시작으로 2018년 인도, 2019년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어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다. 한국에서 열대거세나방은 2019년 6월 13일 제주도 옥수수 재배 농가포장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그 후 2019년 7월 초까지 전라도, 경상남도의 여러 시/군에서 추가로 발견되었다. 한국에서 최초 침입집단을 미토콘드리아 COI유전자를 이용하여 열대거세미나방임을 유전적으로 동정하였고, 서로 다른 분기군에 속하는 2개의 haplotypes(hap-1, hap-2)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분석된31개의 COI 염기서열 중 hap-1 이 93.5%로 우점하였다.
        4,000원
        3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경기지역에 민들레 (Taraxacum spp.)에 붉은 보라색 원형 혹을 형성하는 파리목 혹파리과 Cystiphora 속 (屬)의 민들레잎혹파리 (신칭)가 발견되어 이 종의 발생지역, 피해양상 및 발육단계별 형태적 특성을 보고한다.
        36.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9년 3월 27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하는 일산호수공원에서 일광욕 중이던 외래거북 한 개체가 발견되었다. 발견된 개체의 배갑 색, 배갑 중앙의 무늬, 머리 옆면의 무늬, 등껍질의 형태를 근거로 서부비단거북 (Chrysemys picta bellii)임이 확인되었다. 근처에는 서부비단거북이 아닌 외래거북들이 일광욕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야생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서부비단거북의 관찰 사례를 보고하였다. 다양한 외래거북들이 국내 생태계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나 그 실태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외래생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조사와 보고가 있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3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horticultural crop. This study reports a new pathogen of brown leaf spot disease in kiwifruit. Brown leaf spot symptoms were observed on the leaves of cv. Redvita in Jeju, South Korea. The leaf spot diseases appeared as extensive, angular, brown, yellow, white or fused color spots on the leaves. Fungi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Fusarium tricinctum (Corda) Sacc.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tests were conducted with mycelium and the conidia inoculation. The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the artificially developed symptoms, and identified as F. tricinctum as Koch’s postulates were confirme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brown leaf spot caused by F. tricinctum on kiwifruit.
        4,000원
        4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eet armywom, Spodoptera exigua Hübner, originated from Southeast Asia is one of important agricultural pests worldwide. The moth having no diapause mechanism has highly migratory capacity which contributes to population outbreaks and geographic expansion. Although the moth was first reported in 1926 from Korea, it has been important since the late 1980s. In July 2018, the species outbreaked in Gimje, Jeonbuk Province causing serious damage to soybean in several paddy fiel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outbreaking populations using a partial sequence of mitochondrial DNA COI gene. 37 COI sequences obtained from specimens collected at the fields of Gimje, Korea were compared with 249 COI sequences from GenBank. In total, 25 haplotypes were detected from 18 countries. Three haplotypes (H1, H2, and H5) found in Korea were all shared with those in China. Haplotypes H1 and H2 were prominent in Korea as well as in invasive regions worldwide. This suggest that outbreaking populations in Korea were invaded from China. The migration source was estimated using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and found to be Zhejiang Province, China.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