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2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생태계교란식물인 단풍잎돼지풀의 성공적인 생물학적 방제를 위하여 단풍잎돼지풀을 섭식하는 돼지풀잎벌레의 섭식식물조사를 통해 기주특이성과 돼지풀잎벌레의 섭식에 따른 단풍잎돼지풀의 생태학적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2017년 9월 초에 돼지풀잎벌레 처리에 따른 단풍잎돼지풀의 생리 및 번식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돼지풀잎벌레가 없는 곳(대조구)과 있는 곳(처리구)에서 엽록소함량(umolg-1s-1), 최소엽록소형광(Fo), 최대엽록소형광(Fm), 광계 Ⅱ의 광화학적 효율(Fv/Fm)을 측정하였다. 또한, 2018년 6월 말에 돼지풀잎벌레에 따른 단풍잎돼지풀의 활력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돼지풀잎벌레가 있는 단풍잎돼지풀군락에서 단풍잎돼지풀 식피율(10%(방형구 A), 50%(방형구 B), 90%(방형구 C))에 따라 방형구(1m2)를 설치하였다. 각 방형구 내 모든 개체의 지상부 길이(cm), 줄기직경(cm), 잎 수(ea), 잎 피해율(%), 잎 폭과 잎몸 길이(cm)를 측정하였고, 잎 피해율은 1등급(~20%), 2등급(21%-40%), 3등급(41%-60%), 4등급(61%-80%), 5등급(81%~)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각 방형구 내 단풍잎돼지풀의 고사율(%)은 6월말과 7월 중순 그리고 9월 중순에 3회 측정하였다. 2018년 7월 말에 돼지풀잎벌레의 기주특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공주대학교 온실과 온실주변 그리고 묵논에 총 6곳을 선정하여 각각 돼지풀잎벌레 10마리를 방사하여 섭식식물조사를 조사하였다. 엽록소함량, Fo, Fm, Fv/Fm 그리고 개체당 꽃 수는 모두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높았다. 6월 말과 7월 초에 2주 동안 방형구 A에서 고사율은 58.2%에서 72.5%로 14.3% 증가하였고, 방형구 B에서 고사율은 48.5%에서 61.8%로 13.2% 증가하였다. 방형구 C에서 고사율은 각각 0%로 변화가 없었다. 7월 초와 9월 중순 2달 동안 방형구 A에서 고사율은 72.5%에서 97.8%로 25.3% 증가하였고, 방형구 B에서 고사율은 61.8%에서 91.2%로 29.4% 증가하였다. 방형구 C에서 고사율은 각각 0%로 변화가 없었다. 9월 중순 전체 방형구의 살아있는 개체 수는 총 38개체이며, 잎 피해율 등급별 개체수의 경우 1등급은 3개체, 2등급은 5개체, 3등급은 9개체, 4등급은 4개체 그리고 5등급은 2개체였다. 잎의 피해율이 증가할수록 지상부 길이, 줄기 직경, 잎 수, 잎 폭 길이 그리고 잎몸 길이는 짧아졌고, 5등급에서 가장 활력도가 낮은 개체의 지상부 길이는 52.5cm 이였고, 줄기 직경은 0.3cm, 잎 수는 8개였다. 온실과 온실주변 그리고 묵논에서 출현한 식물상(74과 152속 207분류군)에서 멸종위기식물은 9과 10속 10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3과 5속 6분류군 그리고 식용식물은 36과 54속 71분류군 이였다. 돼지풀잎벌레가 섭식한 식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단풍잎돼지풀, 돼지풀 그리고 뚱딴지였다. 멸종위기식물은 모두 섭식하지 않았고, 생태계교란식물은 단풍잎돼지풀과 돼지풀을 제외하고는 섭식하지 않았다. 또한, 식용식물은 뚱딴지를 제외하고는 섭식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단풍잎돼지풀은 돼지풀잎벌레가 섭식함으로써 활력도가 낮아지고, 고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돼지풀잎벌레는 단풍잎돼지풀의 생육초기단계인 지상부 길이가 50cm 미만일 때 도입해야하며, 고유식물, 멸종위기식물 그리고 식용식물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돼지풀잎벌레의 섭식식물조사를 통해 기주특이성에 대한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2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ea aphid, Acyrthosiphon pisum, requires the nutritional endosymbiont, Buchnera, for the production of essential amino acids. However, it is unclear if host plant diet that varies in essential amino acids influences aphid regulation of its nutritional symbioses. We hypothesized that aphid genes respond to host plant diet when aphids feed on their specialized (alfalfa) compared to universal host plant diet (fava), which vary in essential amino acid concentrations. Using RNA-Seq and whole genome bisulfite sequencing, we compared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and DNA methylation distributions of specialized aphid cells that harbor Buchnera (bacteriocytes) when aphids feed on their specialized compared to their universal host plant diets. Our results show that bacteriocyte transcription and methylation patterns differ between host plant diets. When aphids feed on their specialized host plant, they significantly up-regulate and/or hypo-methylate key aphid genes in bacteriocytes related to the amino acid metabolism, including glutamine synthetase (GS) and the glutamine transporter ApGLNT1. Moreover, regardless of which host plant aphids feed on, we observed significant up-regulation and differential methylation of the key genes in the amino acid metabolism and the glycine/serine metabolism in aphid bacteriocytes. We suggest that the regulatory response of key symbiosis genes in bacteriocytes allows aphids to feed on a specialized host plant diet with suboptimal nitrogen concentrations.
        2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완전 기생성 침입종인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의 기주선호도와 기생부위를 야외현장과 기생유도 실험 통하여 확인하여 이들 식물의 기주다양성을 알아보고 잠재적인 위해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미국실새삼의 기생은 구상나무와 신갈나무와 같은 목본성 식물종(12.1%)의 목질화가 되지 않은 소지나 잎에서도 관찰되었다. 미국실 새삼의 기주식물종은 국화과에 속하는 종이 가장 많았고, 과내 차지하는 기주식물종의 비율은 사초과, 마디풀과 그리고 콩과 등의 것에서 높았다. 기생 유도 실험을 통해 미국실새삼은 1종을 제외한 모든 식물에 기생할 수 있음이 확인됨으로 써 이 침입식물의 분포의 제한 요인은 분산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주식물의 감염된 부위는 줄기와 잎 두 곳에서 대부분 나타났고, 드물게 잎이나 줄기에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 연구로 12개 과의 기숙식물 45종(12개 과의 초본식물 33종과 목본식물 12종)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그 중에는 조와 같은 농작물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야생식물 6종에도 기생하였고,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미국실새삼의 기생으로 식물체가 고사까지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미국실새삼이 잠재적으로 야생식물에게도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2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laphidinae is one of the most species rich group in Aphididae. However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 is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reconstructe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Calaphidinae and closely related groups to confirm the taxon boundary and ingroup relationship such as tribe and genera. In addition, evolutionary hypothesis of ancestral host-plant relationship was tested. We performed Bayesian inference and maximum likelihood analyses of combined 4 mitochondrial (ATP6, COI, COII, CytB) and 1 nuclear (EF1α) sequences. Phylogenetic results suggested that Calaphidinae is not a monophyletic and Saltusaphidinae is nested in Calaphidinae. Phyllaphidinae forms a basal clade as the most primitive group of Calaphidinae. Reconstruction of ancestral host plant of Calaphidinae indicated that Calaphidinae might have evolved on members of Fagales plants.
        2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eafhopper subfamily, Typhlocybinae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ellidae), caused direct damage by sap-sucking or indirect damage by transmission of viruses or diseases to the host plants, so Typhlocybin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s in agriculture, urban ecology, forest, etc. in the world. However, their identifications are very difficult due to small size and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their exact biological information such as host plants and life cycle are not reported yet for most species. So, we construct an integrated biological database that presents accurate diagnostic methods (illustrated key characters, DNA barcoding data), patterns and seasons of occurrences, and some ecological photographs such as dorsal habitus of specimens and plant damages
        2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syllids have shifted lately into general awareness as vectors of pathogens causing serious plant diseases, as pest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or as potential control agents of alien invasive weeds. These small insects are plant sap feeders which are generally very host specific. In addition, related psyllid species tend to develop on related plant species. This makes them an ideal group for studies on insect–plant cospeciation. A sound taxonomic and phylogenetic base is a prerequisite for successful pest control and meaningful research on insect–plant interactions. Currently almost 4000 named species of Psylloidea exist worldwide of which half was described in the last three decades. Despite this tremendous progress there are at least another 4000 species which remain undescribed particularly in Africa, South America and tropical Asia. Since White and Hodkinson’s seminal paper in 1985 a series of studies tested their classification with additional taxa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echniques. In 2012 Burckhardt and Ouvrard proposed a new classification. Five of their families (Calophyidae, Carsidaridae, Homotomidae, Phacopteronidae and Triozidae) are identical with or similar to those of White and Hodkinson but three differ fundamentally from previous classifications (Aphalaridae, Liviidae and Psyllidae). Many of the recognised families and subfamilies are restricted more or less exclusively to a single plant taxon, e.g. Calophyidae, Phacopteronidae and Rhinocolinae to Sapindales, Carsidaridae to Malvaceae, Homotomidae to Moraceae, Spondyliaspidinae to Myrtaceae, and many Psyllidae to Fabaceae. The 1000 described species of Triozidae, in contrast, have colonised many families of dicots and, a few, even monocots and conifers. Several analyses suggest that cospeciation may be less important than geographical vicariance to explain the observed species richness in psyllids, and that shifts to new host taxa are frequent.
        3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lucose-regulated protein 78 (GRP78) is a member of the heat shock protein 70 (HSP70) family that is specific to endoplasmic reticulum (ER). It is known as chaperones and signaling regulators that respond to ER stresses in vertebrates. However, its function in invertebrates, including insects, is uncertain. Here we determined a full cDNA sequence and the expression patterns of grp78 of Aphis gossypii, which is a major pest of numerous crop plants worldwide. Its cDNA had highly conserved motifs of the HSP70 family and the C-terminal motif of KDEL characteristic of ER-specific HSPs. It showed 98.5% identity with the GRP78 of the pea aphid Acyrthosiphon pisum. Real-time RT-PCR analysis showed that the grp78 level was higher in the fourth instar nymph than in the younger instar and adult stages. Its level was not affected by thermal stress of 10 to 40°C for 1 h. The grp78 level was proportional to the ingestion of a sucrose solution ranging in concentration from 0% to 30% in a Parafilm feeding chamber. In addition, the grp78 level varied among aphids feeding on leaves from 14 different host plants for 24 h; it was higher with eggplant and pepper but lower with pigweed and tobacco than any other plant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grp78 level is regulated by nutritional condition of A. gossypii.
        31.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실의 낙과 피해를 일으키는 복숭아씨살이좀벌은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지역의 매실과 살구, 그리고 중국산 복숭아 종자에서 확인되었다. 복숭아씨살이좀벌은 땅에 떨어진 핵과류의 핵 속에서 유충 상태로 월동하고, 노숙유충은 4월 중순까지, 번데기는 3월 하순에서 4월 하순까지 관찰되었으며, 성충은 4월 하순~5월 상순 사이에 90% 이상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암컷 성충은 핵이 경화되기 이전 씨앗이 액 상일 때 과실 씨앗의 외피 바로 밑에 산란하였으며, 산란관의 길이가 5 mm를 넘지 않아 산란이 가능한 매실의 크기는 직경이 2 cm를 넘지 않았 다. 하나의 과실에 최대 5개의 알이 관찰되었으며, 알 기간은 2일을 넘지 않았다. 부화한 유충은 먼저 고형화되는 배로 이동하여 이를 섭식하면서 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유충들 사이의 경쟁으로 인해 한 마리의 유충만 생존하였다. 6월 상순경 피해를 받은 과실의 대부분이 부패증상을 보이 며 낙과하였다. 땅에 떨어진 과실의 핵 속에서 이듬해 봄까지 노숙유충으로 월동하였다.
        4,000원
        3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eratovacuna aphids are one of the major gall-forming aphids. Four Ceratovacuna aphids have been reported from East Asia including Taiwan, Korea, and Japan. In Korea, only one species, Ceratovacuna nekoashi (Sasaki), has been confirmed amongst the four species, and yet their colonies have been found only from the banana bundle or cats-paw shaped galls on the primary hosts, Styrax trees (Styraceae). Colonies on the secondary hosts (Gramineae) have not been seen from Korea nor confirmed from Taiwan, although they are usually seen from Japan limitedly on stiltgrass Microstegium vimineum. Recently in Korea, a colony consisting of an emigrant and first instar soldiers were found from a grass species, Seteria sp. that have not been reported as a secondary host of C. nekoashi. Identity of C. nekoashi is definite based on morphology of the first instar soldier. Genetic identity is being explored for confirmation.
        3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adopholus similis belong to the plant parasitic nematode family, Pratylenchidae and was recognized that injure the plant. R. similis was generally identified from bananas and plantain in the tropics. However, the occurrence of infection of R. similis on new host plant was confirmed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determination of new host plant for R. similis on Staurogyne sp. The species identification was evaluated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nine R. similis. Molecular assay was designed fro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ITS) of ribosomal DNA to distinguish species. Nematodes from Staurogyne sp. showed almost similar morphological and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in general R. similis, but some variation in tail shape was confirmed. Also, male was not detectable. Molecular assay showed a high level (97%) of similarity in the TW81-AB28 and 18S-28S sequences (ITS region) with corresponding NCBI sequence. The quarantine should be more intensely to detect the prohibited nematode.
        3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utritional quality of host plan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insect herbivores to maximize their fitness, but it is relatively unexplored whether the ingestion of a specific host plant will have the same effects on insects under different thermal conditions. We have used a multi-factorial experimental design to investigate how the nutritional quality of host plant and temperature interact to affect life-history traits in a generalist caterpillar Hyphantria cunea (Lepidoptera: Arctiidae) feeding on five different host plants. Caterpillars raised on Platanus occidentalis, Sophora japonica and Prunus x yedoensis exhibited substantially higher survival, faster growth and heavier mass at pupation than those on Cornus kousa and Betula platyphylla. Caterpillars developed more quickly and attained a smaller final body mass at higher temperatures, but the way that these traits responded to temperature differed by host plant. Caterpillars on P.occidentalis displayed a monotonic decrease in development tim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but the development time of those on P. x yedoensis declined with temperature in a biphasic manner. Furthermore, the rate at which pupal mass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was much greater for caterpillars on P.occidentalis than those on P. x yedoensis.
        35.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im of the study is to report Radopholus similis detected from Agathis dammara in Thailand as new host plant. Existing host of R. similis was known as coffee, pepper, sugarcane and banana etc. This nematode in this study was observed morphologic character using Carl Zeiss Axioimager M2 and Axiovision Rel. 4.8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a and b of the female was distorted toward maximum value of original description of species, and b′, c and stylet length was distorted toward minimum value of original description of species. This nematode was morphologically distinguished from originally detected R. similis, but measured value was similar in range of original description of species. For more information, molecular assay was also confirmed the R. similis with 98% homology with the sequence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ITS) of ribosomal DNA. We provided PCR-amplified ITS nucleotide sequence.
        36.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는 콩에서 중요한 난방제 해충이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두 종의 알기생벌의 계절적 발생 패턴을 기주 식물과 연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천적 상호간의 상대적 발생 패턴의 차이와 이유를 분석하고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 식물에 대한 적합도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 저항성품종의 사용, 과수의 경우 주변 작물에서 콩을 배제하는 것, 기주알 공급을 통한 보존적 생물적 방제, 살충제 사용 시기의 조절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3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가루이 등 방제용 천적으로 유망한 담배장님노린재(Nesidiocoris tenuis)의 줄알락명나방(Ephestia kuehniella) 알 섭취 전 먹은 식물성 먹이에 따라 줄알락명나방알 섭취량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포트에 재식된 참깨, 파프리카, 솜에 적신 물을 각각 하루 동안 섭식하게 한 담배장님노린재에게 냉동한 줄알락명나방의 알을 공급하고 하루 동안 섭취한 알의 개수를 비교하였다. 파프리카를 먼저 섭식한 담배장님노린재가 가장 많은 55.7±30.19개의 줄알락명나방 알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깨를 먼저 섭식한 경우에는 줄알락명나방 알을 24.2±34.70개 섭취하였고,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에는 줄알락명나방 알을 49.2±30.58개 섭취하였다. 파프리카와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 통계적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참깨를 먼저 섭식한 경우 파프리카 또는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에 비해 더 적은 수의 줄알락명나방의 알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의 수 그리고 식생이 나비의 개체수 및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09년까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지역을 4개 구간으로 나누어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비 개체수와 식물종수, 흡밀식물 그리고 먹이식물 수를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식지 면적이 클수록 개체수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순회귀 분석 시 나비의 종수와 다양도지수는 먹이식물 수 및 구간면적과 각각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보다 다양한 식생을 보이는 구간에서 나비 종수가 증가하였다. 나비의 다양성과 개체군 보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수종의 식물과 함께 나비의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이 복합적으로 분포하고, 식생은 각각의 요소들이 서로 보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300원
        39.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whether the host plant feeding have an influence to subsequent prey consumption of a zoophytophagous mirid, Nesidiocoris tenuis, with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Piece of leave of Paprika, Sesame, and cotton ball soaked with water were respectively provided to the test insects, adult mirid starved about a day, and frozen eggs of Ephestia kuehniella, were presented to them for a day and counted the number of the eggs consumed by them. The mirid fed by Sesame leave took significantly less prey than both the Paprika and the water fed one.
        4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잘피의 성장과 부착생물과의 관계, 그리고 부착생물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실시된 연구로서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에서 1998년 7월에서 1999년 7월까지 총 13개월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잘피 잎의 면적과 부착 생물의 현존량과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부착가능 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부착생물의 현존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해초의 외적인 성장이 증가할수록 부착생물
        4,2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