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22.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genre-based in-class L2 writing instruction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change toward L2 writi 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595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hird grade from two co-ed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 Five sessions of writing instruction using a dialY genre over five weeks were provid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no explicit writing instruction was provided 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13 writing sample texts, analyzed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 stics of the target genre, and then constructed a diaty text in collaboration with their peers. Following the treatment, both groups were required to write a diaty ently in 40 minutes atld the students' writings were rated o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explicit genre-based L2 writing instl·u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each categOlY in the post-test. In addition, a set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L2 writing were positively affected.
        8,100원
        23.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 s study investigated, using think-aloud protocol, what L2 learners focus on, notice and uptake in a series of English writing task and how this cognitive process is affected by their English proficiency. Nin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ngaged in a three-stage writing task, which consisted of the compos ing stage, the stage of comparing their own text with a reformulated version, and the revising stage. During the first two stages, the students were asked to think out loud in Korean.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composing stage the high level students tended to focus on grammatical forms while the low level groups more concentrated on lexical items. When reformulations were provided, the students well noticed the diffe rences between their original texts and the reformulated ones but a majority of their noticing remained simple noticing without a proper reason or ended up with wrong inferences. Thi s overall shallow and incorrect process at the comparing stage resulted in re latively little changes in the revising stage. These fi ndings suggest that not only the quantity but also the quality of noticing is important for acquisition and more guidance and he lp should be provided for low level learners to benefit from writing and feedback.
        6,000원
        24.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식물종과 그 종자의 특성을 밝히고자, 2011년 4월부터 9월까지 개화와 결실, 열매 수집, diaspore 특성, 관련된 개미종을 조사하였다.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엘라이오솜을 종자에 부착한) 24종의 식물을 확인하였다. 종자에 부착된 엘라이오솜의 형태는 종마다 형태나 크기가 매우 다양하였다. Diaspore를 물어가는 개미종은 곰개미, 누운털개미, 주름개미, 긴호리가슴개미, 고동털개미 등 5종이었으며, 일본왕개미나 몸집이 작은 사쿠라개미 등은 diaspore를 물어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에도 개미와 식물 간의 엘라이오솜을 매개로 하는 상리공생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개미와 식물의 상리공생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미가 종자를 퍼뜨리는 식물종과 개미에 대한 조사와 급여시험 등의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25.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는 한문과의 교육목표에서 제시한 한문의 독해와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요소이다. 또한 한자어는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말로써 1음절, 2음절, 3음절, 4음절, 5음절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어휘를 말하지만, 2음절의 어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자어는 한문교육의 내용 체계상 한자와 한문의 중간단계로 한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문을 독해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한자어가 한문과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漢字나 漢文 못지않게 중요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지금까지 한자어에 관한 연구는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연구, 한자어 학습을 통한 어휘력 신장 및 언어생활 활용 연구, 한자어 학습이 타 교과 학습에 기초가 되는 도구 교과적 성격을 확인하는 연구 등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 연구는 매우 소략하여,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한문 교과서가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을 얼마나 많이 고려하여 집필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한문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가 신습한자와 함께 제시된 한자의 대표 字義와 얼마나 많은 의미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역대 한문전적에서 활용된 용례를 찾아 상관성을 검증하여,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한문 교과서에 수록할 한자어의 선택과 의미의 제시 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중학교 현장에서 쓰이는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반드시 수용하여 교과서를 집필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한문 교과서는 본문에서 수용하지 못한 한자를 수용하려는 차원에서 한자어를 만들어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신습 한자로 제시한 한자의 字義도 一字一義의 원칙에 따라 대표적인 字義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字義도 原義, 派生義, 假借義를 혼합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자어에서 활용한 의미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생기며, 한자어의 풀이도 국어사전의 풀이를 따르고 있어서 한자의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것이 종종 있다. 본고는 개정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1, 2, 3학년 한문교과서 가운데 1, 2, 3학년이 모두 검정에 통과한 8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의 설계를 하여야 하나, 중학교 3학년 교과서가 아직 시중에 나와 있지 않으며, 그 범위도 너무 방대하여 부득이하게 연구자가 대표 저자인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漢文』1, 2, 3 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는 2음절의 한자어가 442개, 3음절의 한자어가 26개, 4음절의 한자어가 26개 등 모두 494개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2음절의 한자어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대부분의 한자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음절의 한자어 442개 가운데 ‘中國, 百濟, 新羅, 高麗, 朝鮮’ 등 국명과 ‘史記, 遺事’ 등 서책명, 지명인 ‘獨島, 漢陽, 漢城, 京城’ 등 12개를 제외하면 430개가 순수하게 2음절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430개의 한자어 가운데, ‘日出’ 등이 360개로 약 8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자의 派生義나 假借義의 이해를 前提로 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한자어가 15%, 典故가 있어야 이해가 되는 한자어가 1%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 활용된 한자어 가운데 84%의 한자어가 한자의 대표 字義로도 의미 파악이 되므로, 한자어와 한자의 대표 字義와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고 한 자의 한자가 同義나 類似義를 가진 한자어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한자어는 매우 드물다. 교과서에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360개 가운데에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와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를 한국고전국역원에서 운용하는 인터넷 싸이트 국학관련 종합 DB의 ‘한국문집총간’에서 해당 한자어를 검색하여 사용된 용례를 검토해 보았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나, 同義와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 가운데 6개를 제외한 44개가 우리의 한문전적과 상관을 맺고 있었다. 전장제도와 서구문명의 유산으로 인식되는 민주주의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한자어,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 가운데 14개가 우리 한문전적에 활용된 용례가 매우 적거나 없는 한자어로 한문전적과의 상관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360개 가운데 20개를 제외한 340개로 이는 전체 442개의 한자어 가운데 76%로 많은 한자어가 한문전적과 상관성을 맺고 있다. 따라서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 삽입된 한자어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매우 높은 연관성 갖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한문 전적과 많은 상관성을 갖고 있었다. 이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한자의 대표 字義가 우리나라의 고전문헌을 참고하여 만든 대표 字義를 따라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제시한 한자어가 오늘날 언어의 활용과 한문 독해에 얼마나 유의미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가령 한자어로 제시한 ‘一里’는 국어사전식 풀이가 ‘한마을’인데, 오늘날 ‘一里’라는 표현은 이미 死語가 되고, 이의 풀이말인 ‘한마을’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자어를 바라보는 시각이 오늘날의 언어생활과 서구의 학문에 영향을 많이 받은 과학 등의 용어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한자의 대표 字義를 현재의 의미에 맞게 고쳐야 한다. 그러나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라는 측면에서는 기존에 이미 제정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는 현재의 대표 字義도 한자의 이해가 한문을 번역하는데 필요한 전제라면 일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자어의 교육에 대해 언어생활용과 한문교육용으로 분리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언어의 학습은 일관성이 우선이므로 한문 고전 어휘와 현대 한자어의 의미의 연관성을 밝혀서 통합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국어사전식 풀이에서 한자어의 本義와 차이가 나는 한자어, 典故의 이해 없이는 의미 파악이 되지 않는 한자어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교과서의 날개, 하단, 부록 등의 공간에 附記하여 설명하여야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3,000원
        26.
        201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hadowing, the oral repetition of what is said right after the language spoken, on L2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t also examines whether shadow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ffective aspects in terms of self-confidence, preference, and percep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08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istening only, shadowing only, and listening plus shadowing, and received six weeks of treatment. The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the result of listening tests, speaking test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listening plus shadowing had a positive effect on L2 listening abilities compared to listening only techniqu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as no positive effect of shadowing on L2 speaking abil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hadowing increased students’ self-confidence in using English, their shadowing preferences, and th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efficacy of shadowing on English speaking skills improvement. This paper therefore argues that shadowing techniques need to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supplementary technique for practicing English listening skills in EFL middle school context.
        7,700원
        27.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최근 검정을 마친 15종의 중학교『한문1』을 대상으로,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한문지식’영역의 내용 요소들이 적용된 양상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밝힌 것이다.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한문지식’영역의 내용 요소와 중학교 『한문1』에 제시된 내용 요소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개정 교육과정에서 품사의 종류와 허자의 쓰임에 관한 내용은 ‘어휘’의 영역별 내용에 제시되어 있으나,중학교 『한문1』에는 ‘한자’에서 ‘한자의 쓰임’과 관련된 내용 요소로 제시되어 있다.또한 개정 교육과정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은 ‘어휘의 음과 뜻’이 중학교 『한문1』에는 15종의 교과서에 모두 제시되어 있다.그리고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어휘의 활용’을 ‘어휘의 유형’과 ‘성어의 의미’와 관련시켜 익히도록 하였으나,중학교 『한문1』은 ‘어휘의 유형’과 ‘성어의 의미’와 연계시키지 않고 별도의 항목으로 제시되어 있다.개정 교육과정의 ‘한문지식’영역에 제시된 영역별 내용들은 주로 문법적 지식을 익히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중학교 『한문1』에 제시된 학습 요소는 문법적 지식보다는 어휘의 의미와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중학교 『한문1』에는 ‘단어의 짜임’과 관련된 내용은 14종의 교과서에 141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있으나,‘어휘의 음과 뜻’과 관련된 내용은 15종 모든 교과서에 627개의 단어와 성어가 수록되어 있고,‘어휘의 활용’과 관련된 내용은 15종 모든 교과서에 781개의 단어와 성어가 수록되어 있다.또한 개정 교육과정의 편제로 보아 주당 1시간으로 배정된 한문 시간에 1학년 과정에서 ‘한자’와 ‘어휘’영역에 제시된 14개의 학습 요소와 ‘문장’영역에 제시된 2개의 학습 요소를 모두 익히는 것은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차후 교육과정을 개정하거나 한문교과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11,300원
        28.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orean syllable structure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consonant clusters on the basis of the speech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8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2 females and 6 males). A total of 24 English monosyllabic words that formed 8 different quasi minimal triplets was employed and recorded. Each triplet consisted of mono-consonantal, bi-consonantal, and tri-consonantal words like pin, spin, spring or pin, pink, pinks. The three words at four triplets were differentiated by the number of consonants at the onset position and those at the other four triplets, at the coda position. Using a 5 point-scale scoring method, two native English speakers rated the speech data in terms of (i) intelligibility and (ii) the scoring of bi- and tri-consonantal words with three points being fixed on mono-syllabic words. The main finding was that the tri-consonantal words scored the lowest, bi-consonantal words were in the middle, and mono-consonantal words scored the highest. But, this general tendency held true only at the words dissimilar at the coda position. At the onset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mono-consonantal words scored the lowest. The in-depth analysis that followed the rating showed that a comparison of the words in terms of the syllabic intelligibility can be properly made only when each consonant comprising a syllable is intelligibly articulated on its own.
        4,800원
        29.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bone density and food behavior of middle-aged (〈65-years-of-age) and oldaged women (≥65-years-of-age) in the Seoul area of Korea. Average height and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and waist-hip ration (WHR) of the middle-aged participants were 158.0 cm, 58.4 kg, 23.3, 29.7%, and 0.88. Corresponding measurements for old-aged participants were 152.6 cm, 56.3 kg, 24.1, 33.1%, and 0.93. T- and Z-scores for middle-aged women were -1.20 and -0.21, and those of old-aged women were -2.02 and -0.49. Osteopenia and osteoporosis percentage of middle- and old-aged women were 41.2% and 14.7%, and 45.2% and 37.1%,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concerning between-meal, overeating, exercise, and nutritional supplementation among the two groups. Middle-aged women displayed a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bone density and the parameters of height (p〈0.05), weight (p〈0.05), exercise (p〈0.05), consumption of soybean and soybean-processed food (p〈0.05), an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bone density and the parameters of WHR (p〈0.001), consumption of meat and meatprocessed food (p〈0.05), and tea drinking (p〈0.05). In old-aged women group, positive relationships were evident for bone density and the parameters of height (p〈0.05), weight (p〈0.05), exercise (p〈0.05), nutritional supplementation (p〈0.05), and consumption of soybean and soybean-processed food (p〈0.05). The results reveal a link between healthy bones and desirable food behavior,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a practical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food behavior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and old-aged Korean women.
        4,000원
        30.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ethod to improve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examining preferences and perceptions.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were surveyed from 29 November to 6 December 2007.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83.9% students ate Korean food as breakfast. The reasons for the success of Korean food were 'Nation's traditional food' (29.2%), 'fit in taste' (27.4%), and 'suitable match of nutrients' (24.8%). Students responded that the following needed to be changed in order to improve Korean food: 'alleviation of strong taste' (30.3%), 'various cooking methods' (23.9%), and 'convenience of eating the food' (22.1%). Meal preferences in this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Korean food' (4.09), 'Western food' (4.08), 'Japanese food' (4.00), 'Chinese food' (3.91) and 'Fast food' (3.55). Perceptions in the taste of Korean food were 'spicy taste' (3.28), 'hot taste' (3.22), and 'salty taste' (3.15). Male students (3.23) perceived a higher salty taste than female students (3.05). Expectations for the taste of Korean food included 'spicy taste' (3.16) and hot taste (3.03). Male students (3.25) anticipated the spicier taste more than female students (3.05).
        4,000원
        3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파의 재배 지역 확대 및 재포 기간을 단축하고자 동절기 플러그 육묘를 통한 춘파재배를 위한 품종별 생육 특성과 수량, 저장성을 검토하였다. 중부지방의 평지에서 양파를 춘파재배한 결과 품종별로 육묘시의 생육차이가 수확시의 생육이나 수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수량은 도복시기가 관련 있어 구비대가 6월 말 정도로 다소 늦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충분한 구비대로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품종에 따른 도복시기는 '천주대고(Cheonjudaego)' 등의 품종들은 6월 말이 지나도 도복이 이루어지지 않아 중부지방 평지에서 춘파 양파 재배 시 도복시기에 따른 품종선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구중은 '센슈추쿠키(Senshuchukooki)', '아톰(Atom)', '하이볼EX(Hiball EX)'등이 컸으나 '와세소닉(Wase sonic)' 같은 품종과는 차이가 컸다. 그러나 수량은 구중 이외에 상품성에 의해서 수량이 결정되어, 비교적 구중이 무겁고 상품성이 좋았던 '아톰(Atom)', '에이스(Ace)', '럭키(Lucky)', 'OP' 등이 경우가 전체적인 상품수량에서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춘파재배한 양파를 3개월간 처장한 경우 상품률이 '에이스(Ace)'의 93%에서 '와세 소닉(Wase sonic)'의 13%까지 품종에 따른 차이가 컸는데, 도복시기가 빠른 품종들이 저장성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양파 평지 춘파재배를 할 경우 도복이 빠른 품종을 피해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나 계절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도복이 너무 늦게 되는 품종도 피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대부분의 양파는 바로 창고에 입고하여 저장되어 이용되나, 평지의 춘파 양과는 재배목적을 뚜렷이 하여 수확과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33.
        200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36.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anish has been introduced and taught in Korean middle schools since 2001,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basic directions of teaching Spanish culture in Korean middle schools by using statistic analysis about students’ perception on Spanish culture.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current trends of teaching cultur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the previous studies on Spanish culture, and purpose of this study. Statistic research method and data collection information are mentioned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are described with SPSS cross tab tables, focusing on school, grade and gender. As a conclusion, the fourth chapter summarizes this study and shows that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panish culture and Spanish culture teaching is positively related to Spanish learning interest and elective courses should be chosen by students, not by schools.
        5,200원
        3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writing instruction using comic strips on Korean students' English writing skills and learning attitudes. Using both narrative and descriptive writing task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with 120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writing activities with comic strips, whereas the control group studied writing using the textbook or free wri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English writing skills more, and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than the control group. Lower-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arked improvement in narrative writing, while upper-level students demonstrat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attitudes. Through surveys, interview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students' writing, it wa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a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type of comic strips, and activity types. Comic strips that dealt with everyday life and were drawn humorously induced more interest, while those demanding cultural understanding diminished the students' motivation. Student participation increased when drawing their own strips and sorting cuts of comic strips into order.
        8,000원
        38.
        200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