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maging spectrograph concept optimized for extended far-ultraviolet emission sources is presented. Although the design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FIMS aboard the first Korean science satellite STSAT-l launched on September 27, 2003, no rigorou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pectrograph design has been published. The spectrograph design employs an off-axis parabolic cylinder mirror in front of a slit that guides lights to a diffraction grating. The concave grating provides moderate spatial resolution over a large field of view. This mapping capability is absent in most astronomical instruments but is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a variety of astrophysical phenomena. The aberration theory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extended to holographic gratings in order to improve the spatial as well as the spectral resolutions.
        4,000원
        29.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시력표 차트 프로젝터의 광학계는 조명광학계, 투사광학계로 구성된다. 프로책터 의 조명광학계는 대부분 콸러방식의 조명광학계를 사용하지만 우리는 object(ch따t reel)의 크기와 투사렌즈의 유효경올 고려하여 콸러방식올 변형하여 셜계하였다. 조명 광학계의 렌즈구성은 3매의 +굴절력의 렌즈로 하였다. 투사광학계는 색수차를 고려하여 doublet으로 셜계하였다. 투사광학계의 분해능은 5m 거 리 의 직 경 361 mm 0비ect에 대 해서 15line pairs/mm에 서 약 45% 이 상의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특성 올 보 였 다.
        4,000원
        3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투명 렌즈의 color는 투과광의 파장의 감산혼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착색 물질의 고유 광홉수 스돼트럽을 분석하고 혼합물질의 중량의 제어를 통하여 혼합 color lens를 제 작 할 수 있다. 기 본 color lens 의 광흡수 스펙 트렴 을 500nm, 600nm 파 장 위치를 point로 하여 단순화. 규격화 시줬다. 규격화된 기본 광홉수 스펙트럼으로 부터 6 개의 광흡수 스펙트럽을 설계하여. 이에 대응되는 color lens 의 염색조건을 찾 았다. 혼합색 color lens 의 광홉수의 파장 의존성 기올기 (Abs/l Onm) 개념을 도입하였 고. 가울기의 크기가 색상변화에 콘 영향을 푼다.
        4,000원
        3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쁜 현대 사회의 패키지디자인은 다른 어느 때보다 단시간 내에 경쟁 업체들과의 사이에서 소비자에게 눈에 띄기 쉬움과 동시에 차별적인 가치로 소비자에게 기억되어야 한다. 시·지각적 오류로 발생하는 착시가 적용된 패키지디자인은 눈으로 보는 것과 실재의 차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움과 유쾌함 등의 감성적 반응을 보이게 하고 이를 통해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성을 느끼게 하며 이러한 극적인 감각의 대립은 소비자가 제품을 기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지 각적 특이성인 착시가 패키지디자인의 차별적 가치를 높이는 요소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현존하는 착시 패키지디 자인을 문헌적,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이론적 토대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는 문헌적 연구과 분석적 연구로 진행되며 문헌적 연구에서는 착시의 정의 및 발생 원인 및 착시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의 작용 원리에 대해 정리했다. 분석적 연구에 서는 첫째, 수집한 착시 패키지 자료를 착시의 현상학적 분류 기준, 제품 카테고리, 패키지디자인 구조와 가공방식, 착시의 발생 원인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착시 패키지디자인의 색채 사용의 경향성을 착시 패키지의 색값 분포, Hue&Tone의 분류, 색채 이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착시 패키지디자인의 색상(Hue)은 모든 색상영역에 걸쳐 분포하였으나 색조(Tone)는 vv, S, dp, dk, bk의 사용 빈도가 높으며 명도는 N9.5~N8.5 사이와 N1~N3 사이에 대체로 분포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색은 다이나믹한, 모던한, 경쾌한, 화려한, 강인한 등의 색채 이미지를 보였고, 근접보 색배색이나 보색배색, 반대색조배색을 사용한 분리배색, 강조배색을 사용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우주물체는 출현 시간이 비교적 짧고 운동 특성이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관측으로 측광 및 분광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공우주물체의 측광 및 분광 동시 관측을 위해서 경희대학교 인공위성 추적 및 관측시스템에 다중 광학계를 탑재할 수 있는 가대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조해석을 통해 다중 광학계 탑재 시에 개조된 가대의 변형을 계산하고 인공우주물체 추적 및 관측 시 발생할 수 있는 가대의 지향오차를 추론하여 관측시야에서 인공우주물체를 안정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등가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가대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35.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quick and automatic detection with no harm to the goods is very important task for improving quality control, process control and labour reduction. In real fields of industry, defect detection is mostly accomplished by skillful workers. A narrow band eliminating spatial filter having characteristics of removing the specified spatial frequency is developed by the author, and it is proved that the filter has an excellent ability for on-line and real time detection of surface defect. By the way,. this spatial filter shows a ripple phenominum in filtering characteristics. So,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ripple component for the improvement of filter gain, moreover efficiency of defect detection. The spatial filtering method has a remarkable feature which means that it is able to set up weighting function for its own sake, and which can to obtain the best signal relating to the purpose of the measurement. Hence, having an eye on such feature, theoretical analysis is carried out at first for optimal design of narrow band eliminating spatial filter, and secondly,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spatial filter is manufactured, and finally advanced effectiveness of spatial filter is evaluated experimentall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