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y and the emergence of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after the 1990s. For this purpose, the paper deals with the education and work of two important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s, Kim Seung Hoy and Choi Wook. Kim and Choi were part of a group of young architects that went abroad in the 1980s to study at the centers of architectural education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ir education and work, the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history, and design practice in architecture. During their studies at Michigan University and IUAV in Venice, they were commonly influenced by Colin Rowe through their studios. In the case of Kim Seung Hoy, he was introduced to the Beaux Arts logic of the analytique and esquisse through the teaching of Steven Hurrt, a disciple of Colin Rowe. Choi Wook took studios that involved form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Palladio and Le Corbusier. The paper further analyzes their works in Korea by employing the concepts of fragments and systems, ignorance and knowledge. The paper concludes that, in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fragments and systems, ignorance and knowledge, lie in the middle of ongoing creative process that must distinguished from the West, where architectural history provides an established tradition of systematic knowledge.
        5,400원
        2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many innovative changes such as CLT and task-based teaching, ELT still continues to transmit linguistic skills mostly to prepare learners for future job market (Canagarajah, 1999; Kim, 2002; Norton & Toohey, 2004; Pennycook, 2001; Sung, 2006). Accordingly, in a way to challenge the status quo of decontextualized practices in EFL in Korea, this paper exemplifies the researcher's emic experiences of realigning ELT to critical theory(CT) and pedagogy(CP) for an MA English program over the years. More specifically, after presenting existing literature on the history of ELT in Korea and CT and CP, this study utilized a research method of bricolage (Denzin & Lincoln, 2005) in which the teacher and student interviews, the student survey, and other relevant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cross-compared and analyzed in the manner of triangulation. In doing so, this paper explains a few principles of developing an EFL graduate program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exposing students to English-only environments and external faculty from abroad played key roles in the program. However, the lack of coherent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high faculty turn-over rate posed constant threats to the enhancement of the program. Lastly, the paper calls for the urgent need of glocalizing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elements in TEFL for ‘critically conscious and conscientious’ practices by mobilizing the concept of 'criticality' in EFL contexts.
        7,000원
        2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nslation has been a key factor in the cultural transfer in the era of globalization.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role of translation which helps to represent, construct and even manipulate cultural identities between different cultures, the absence of translation pedagogy in the current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creates a rather limited perspective about the nature and function of translation. Because of the constrained view of the role of translation as well as the historical prejudice against the role, translation is mostly used as the criteria for language proficiency testing, while topics like what to teach in translation pedagogy as well as how to teach are rarely discussed.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use of translation in language teaching practice, and the limit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word-for-word translation, characterized by a decontextualized practice, which has resulted in a restricted and mechanized practice of translation. By problematizing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more constructive and diverse approaches to translation pedagogy and a rendering of the meanings in translation. For practical aspects, this study will als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related courses, currently offered at maj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USA and Europe, where translation pedagogy is considerably well established, and provide direction for on what to teach.
        5,200원
        24.
        200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26.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hort essay is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a presentation read at the annual Institute seminar held at SNU on the 5th of December to exchange views on the function of read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It begins with the discussion of a need on the paπ of policy makers of English teaching to reassess and revise the dominantly pragmatic and instrumentalist philosophy particularly working in the pedagogy of reading in English. According to the revisionist review of the present writer, the guiding spirit of the 4-skill orientation has so far tended to overvalue the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functions (or ’grammar’ as is termed here to contrast with the 'text’ that follows) at the cost of the human or readerly values carried by signifying textuality of the reading material. Language should and is fated to reflect and realize the lived experience of concrete and individualized people and society. English is a natural and cultural language that embraces a11 these cultural resourcefulness and expressiveness before it is a foreign language. Strategies of reading pedagogy ought to reflect this fundamental as well as human or value-oriented aspect of language despite the limited level of the language on the part of its leamers.
        4,300원
        27.
        200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28.
        199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9.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의 아이디어에 기반하여 현행 수업 방법의 문제점을 비판해보고 학교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과 수업 방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Bruner의 Folk pedagogy의 아이디어에 들어있는 의미와 특성은 무엇이며, 현행 수업 방법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둘째, Bruner의 Folk pedagogy의 기본 입장은 무엇이며 수업 방법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셋째, Bruner의 Folk pedagogy에 기반한 수업 방법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으며 그것은 실제의 학교 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논의에 의하면,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는 마음이 여기에서 지금 어떻게 작용하는지, 아동의 마음이 어떻게 학습하는지, 무엇이 마음을 성장시키는지에 관심을 가지는 일상심리(folk psychology)에 기반하고 있다. 인간의 신념에는 문화가 반영되어 있고 그러한 신념을 갖고 있는 인간의 의도적인 언어나 행위로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는 일상심리(folk psychology)를 교육에 적용한 것이 일상교수(folk pedagogy)이다. 교사의 교수 방법이나 교육적 성향은 교사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학습자에 대해 가지고 있는 교사의 생각이나 신념의 영향을 받고 교수·학습상황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들이 어떻게 생각하여 그 지식을 획득하게 되었는지를 파악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아이들을 도울 수 있는 수업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30.
        2019.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문법 중심의 교육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외국어 교육에서 중요하고 기초가 되어야 할 어휘 교육에 대해 서는 소홀히 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의 동사를 중심으로 다의어를 설명하고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수법을 모색하려고 한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지금 어휘 학습의 방법 중에 학습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또한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암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많이 부족한 편이다. 학습자들이 다의어의 의미에 대한 인지가 아직 부족하다. 다의어의 다양하고 복잡한 의미 확장에 대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학습자들이 쉽게 사용하고 접할 수 있는 의미를 중심으로 어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의어의 교수법을 크게 의미 확장 원리에 근거한 교수법, 연어 관계를 활용한 교수법, 교실 활동을 통한 교수법으로 나누어 제시하겠다.
        31.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을 구성하는 요소가 대표적인 교육철학자인 존 듀이의 주요 교육학적 개념과 유사함을 밝힘으로써 게임의 속성이 일면 교육의 속성과 닮아있음을 제시하려고 한다. 게이미피 케이션 개념을 이루는 몇 가지 요소를 다음 5가지 속성으로 연결지어 분석해 보았다. 지속성[연속 성](continuty), 상호작용[인터렉션](interaction), 흥미[관심](interest), 성장(growth), 교육적 경험 (educational experience)이 그것이다. 주요 개념의 이론적 분석을 토대로 게이미피케이션과 교육의 연 관성을 찾아보고 게임이 아닌 게이미피케이션의 의미를 이해해 본다.
        3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culturally relevant pedagogy)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 로 한국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문화적으 로 적합한 교수법’의 세 가지 요소 혹은 준거에 해당하는 ‘학업적 성공’, ‘문화적 역량’, ‘비판적 의 식’ 개념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을 실천하고자 할 때 유의 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한국 다문화교육의 상황과 맥락에 맞게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을 적용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3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다양한 앎의 방식과 다차원적인 삶의 측면들을 이해하는데 관심이 확대되면서 내러티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학에서도 내러티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물들의 축적되고 있지만 내러티브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론적, 개념적 탐구는 미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을 탐색해보려고 한다. 첫째,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식론적 토대가 무엇인가를 살펴볼 것이다. 둘째, Rankin(2002)의 설명을 토대로 내러티브의 개념을 이야기의 결과물, 사고양상,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는 측면에 비추어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관점이 교육현상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해볼 것이다.
        3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의는 필자가 경험한 다양한 생활 속에서, 즉, 일상, 영화, 학술적 문헌, 연구경험 등에서의 경험들을 기초자료로 하여, 다문화라는 특정 주제아래 성찰 중 형성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한국에서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 시류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탈근대주의를 제안하고 있으며, 교육적 실행으로서 비판교육학의 필요성을 주장, 강조하고 있다. 본 논의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적 텍스트(text)와 학문적 텍스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현 시류에서 다문화에 대한 관점의 학문과 실제의 괴리를 보여주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 이는 다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선행되어야할 과제로서 현장 중심 기초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적 ‘짜집기’를 통해 연구의 새로운 형식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즉, 영화 텍스트의 사용, 이야기방법론, 자기생애사이야기, 탈근대주의 등을 통해 기술한 탈형식적인 논의 방식은 기존의 문학과 같은 학문과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간학문간 글쓰기 양식으로서 정하여진 틀에 고정되어 있는 현 거대담론식의 논의 형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구성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