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pare a solut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quarter polymers were synthesized from butyl acrylate(BA), 2-ethylhexylacrylate(2-EHA) as a base monomer, methyl methacrylate(MMA) as a comonomer, each of methacrylic acid(MAA), acrylic acid(AA) as a functional monomer. Acrylic solut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s(PSA's) of isocyanate derivative crosslinking PSA's were prepared by crosslinking of BEMM, BEMA with toluene-2,4-diisocyanate. The structure of adhesive was identified by FT-IR. The viscosity was measured by using Brookfield DV-III and molecular weight was measured by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film coated with BEMMT, BEMAT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concentration. As the result, BEMMT(0.6, 0.8), BEMAT(0.6) showed peel adhesion of 160~180 gf/25 mm width and shear adhesion of more than 24 hours, and tackiness of 4/32~6/32 which was relevant to commercial usage.
        4,000원
        2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on exchangers supported on silica gel containing primary, secondary, or tertiary amine groups show a behaviour that is weakly acidic, while the quaternary salts are strongly acidic. These properties change according to the hydrophilicities of the modifier functional groups. Ammonium salt derivatives supported on silica gel were prepared from silica modified with 3-Aminopropyltriethoxysiliane and N-3-(Trimethoxysilyl)propylehtylene diamine. The preparation and the ion exchange properties of two systems were discussed. Two systems have different hydrophilicities and contain ammonium chloride derivatives of 3-amminopropyltriethoxysilane and N-3-(triehtoxysilyl)propyl ethylene diamine supported on silica gel, SA+/Cl- and SA+/Cl-, respectively. The high affinity to perchlorate ion presented by the SA+/Cl- through the equilibrium studies of ion exchange led us to its application as an ion selective electrode for the perchlorate ion. The determination of the perchlorate ion in the presence of other anions and in complexes is very difficult. Few analytical methods are available and most of them are indirect. Both materials showed potential use as an ion exchanger; they are thermically stable, achieve equilibrium rapidly in the presence of suitable exchanger ions, and are easily recovered.
        4,000원
        23.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ast Sea, a semi-enclosed marginal sea with shallow straits in the northwest Pacific, is marked by the nearly geographic isolation and the low sea surface salinity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The East Sea might have the only connection to the open ocean through the Korea Strait with a sill depth of 130 m, allowing the paleo-Tsushima Water to enter the sea during the LGM. The low paleosalinity associated with abnormally light δ18O values of planktonic foraminifera is interpreted to have resulted from river discharge and precipitation. Nevertheless, two LGM features in the East Sea are disputable.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volume transport of the paleo-Tsushima Water via the Korea Strait and further examines its effect on the low sea surface salinity (SSS) during the lowest sea level of the LGM. The East Sea was not completely isolated, but partially linked to the northern East China Sea through the Korea Strait during the LGM. The volume transport of the paleo-Tsushima Water during the LGM is calculated approximately(0.5~2.1)×1012m3/yr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seismic reflection profiles along with bathymetry and current data. The annual influx of the paleo-Tsushima Water is low, compared to the 100 m-thick surface water volume (about 79.75×1012m3) in the East Sea. The paleo-Tsushima Water influx might have changed the surface water properties within a geologically short time, potentially decreasing sea surface salinity. However, the effect of volume transport on the low sea surface salinity essentially depends on freshwater amounts within the paleo-Tsushima Water and excessive evaporation during the glacial lowstands of sea level. Even though the paleo-Tsushima Water is assumed to have been entirely freshwater at that time period, it would annually reduce only about 1‰ of salinity in the surface water of the East Sea. Thus, the paleo-Tsushima Water influx itself might not be large enough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aleosalinity of about 100 m-thick surface layer during the LGM. This further suggests contribution of additional river discharges from nearby fluvial systems (e.g. the Amur River) to freshen the surface water.
        4,200원
        24.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안군 피서리 유적지에 노출된 후기 제4기층에서 포자·화분 분석결과,낙엽성 활엽수 화분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초본류와 침엽수 화분도 풍부하게 산출되었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고란초과, 낙우송과-측백과-주목과, 오리나무속, 서어나무속, 낙엽성 참나무속, 국화과 및 벼과 등이다. 탄소연대측정 결과, 그 생성 시기가 지난 최후 빙하기에 해당하는 43,000-18,000 yr BP 로 측정된 이 포자·화분군은 오늘날 한반도 중부의 한랭한 온대 낙엽성 활엽수림의 식생과 유사하다. 전체적인 식생 조성에 근거하여 3개의 포자·화분 분대를 설정하였다. Zone I은 고란초과, 낙우송과-측백과-주목과, 오리나무속 및 낙엽성 나무속 등으로 이루어진 한랭한 온대의 낙엽성 활엽수림을 지시하며 특징적으로 난대종이 지속적으로 산출된다. Zone II에서는 고란초과와 낙우송과-측백과-주목과 등이 뚜렷하게 감소하고 초본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당시에 한랭한 온대의 낙엽성 활엽수림과 함께 부분적으로 초지가 분포했음을 의미한다. Zone III에서는 초본류의 지속적인 산출과 함께 침엽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피서리 포자·화분군의 식생 조성은당시의 기후가 한랭한 온대였다는 것을 지시하며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한랭·건조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4,000원
        2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 삼각주 서부 지역의 시추 코아에 대한 퇴적상, 유공충 화석군집 및 AMS 14C 연대측정을 수행하고 제4기 퇴적층의 고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의 제4기 후기 퇴적층은 네 개의 퇴적단위(하부로부터 Unit I, II, III, IV)로 구성된다. Unit I은 연구지역에 최초 해침이 일어나기 전 육성 환경에서 형성된 하도 퇴적층이다. Unit Ⅱ는 연안성 규조의 출현으로부터 천해에서 형성된 해성 퇴적층으로 판명되었으며, 퇴적층 상부에는 대기 노출에 의한 건조와 산화에 의한 균열이 발달하고 있어 상위 퇴적단위와 층서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이 퇴적단위는 이전 간빙기(MIS 5)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Unit II를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Unit III은 약 9,000 yr BP 경 홀로 세 해침이 시작되면서 담수의 영향을 받는 하구의 조간대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해침이 좀 더 진행되면서 약 8,000 yr BP부터는 내대륙붕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Unit IV는 해수면이 안정된 후, 약 5,000 yr BP를 전후로 한 시기에 낙동강 삼각주의 성장에 의해 형성되었다. 먼저 삼각주의 하부삼각주평원에 해당되는 조간대 퇴적층이 형성되고, 이후 삼각주의 전진에 따라 연구지역은 현재의 삼각주 평원의 배후 지역인 범람원 환경으로 변모하였다.
        4,900원
        26.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the properties as polishing wax for automobile of O/W type microemulsion containing wax, liquid paraffine and quaternaryammonium salt was investigated. The microemulsions were prepared at 96~97℃ by the phase inversion method, and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oleate (POE(20)SMO) and distearyl dimethyl ammonium chloride(D.D.A.C) as the emulsifiers were used. The mean particle size of the rnicroemulsions was about 7±0.5nm and as the properties of polishing wax, gloss increased degree, water resistant gloss degree, initial and final contact angle after water resistance were tested. The result was that the value of water resistantance and contact angl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POE(20)SMO and D.D.A.C., while the gloss degree values did not affected. And the rnicroemulsion blended with mono ethylene glycol(MEG) of 5~15wt% showed smaller particle size and more stable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an without MEG. Finally, this microemulsion showed more excellent values of gloss degree, the water resistant gloss degree and contact angle, than two kinds of commercial polishing wax for automobile.
        4,000원
        27.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ied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O/W type microemulsion containing "wax, liquid paraffine and quaternary ammonium salt". And also it was obtained to stability of microemulsions by mono ethylene glycol(MEG) addition. The microemulsions were generally prepared at 96~97℃ by the phase inversion method. We used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oleate(POE(20)SMO) and distearyl dimethyl ammonium chloride(D.D.A.C.) as the emulsifiers at microemulsion preparation. From the results, we could get best condition for microemulsion preparation, in case of oil phase, montanic ester wax ; 1.1wt%, paraffine wax ; 1.1wt%, liquid paraffine ; 3.1wt%, propylene glycol ; 0.6wt% and 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 0.6wt%, when the ratio(wt%) of D.D.A.C. and POE(20)SMO were 2 : 3. And also we could obtained that the distributed particle size of the final microemulsions were about 8±1.5nm and the mean particle size was 7±0.5nm. We got following results from final microemulsions that the percent of transmittance; 96~98% at 700nm. And the microemulsion blended with MEG of 5~15wt% showed smaller particle size and more stable distribution than non-containing MEG.
        4,000원
        28.
        200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Namyang Bay of western Korea, macrotidal-flat deposits are divisible into three late Quaternary units: Unit M1 of upper marine mud, Unit T1 of middle siderite-bearing terrestrial clay, and Unit M2 of lower marine mud. Unit M1 represents typical Holocene intertidal mudflat deposits, showing a coarsening-upward textural trend. It probably resulted from the continual retrogradation of tidal flat during the mid-to-late Holocene sea-level rise. Reddish brown-color Unit T1 consists of homogeneous clay with abundant freshwater siderite grains and plant remains. Unit T1 is clearly separated from the overlying Unit M1 by a sharp lithologic boundary. Radiocarbon age, siderite grains and lithologic features indicate that Unit T1 is originated from freshwater bog or swamp deposition infilling the localized topographic lows during the early Holocene age. Overlain unconformably by early Holocene swamp clay, Unit M2 is orange to yellow in color and mottled, suggesting significant degree of weathering during the sea-level lowstand. Such subaerial oxidation is confirmed in the vertical profiles of geotechnical properties, clay mineral assemblages and magnetic susceptibility. Unit M2 appears to be correl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ate Pleistocene tidal deposits developed along the western Korean coast. The sedimentary succession of the Namyang-Bay tidal-flat deposit provides stratigraphic information for the Holocene-late Pleistocene unconformity and also permits an assessment of the preservation potential of the late Pleistocene marginal marine deposit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
        4,800원
        29.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극 드레이크해협 남부에서 채취한 코아퇴적물(GC 98-06)로부터 32개의 시료를 얻어 고생물학적으로 연구한 결과 총 23속 64종의 규조 미화석이 감정되었다. 산출된 규조 미화석의 군집 조성 중 Actinocyclus actinochilus, Coscinodiscus asteromphalus, Eucampia antarctica, Fragilariopsis kerguelensis, Thalassiosira lentiginosa, T. ritscheri와 T. anguste-lineata 등이 우점종으로 전체 군집의 73%를 차지한다. 공해환경을 지시해 주는 종들이 Bransfield Strait Water에 의해 유입된 해빙종들에 비해서 다량 산출되며, 제 4기 지시종과 제 3기의 마이오세와 플라이오세를 지시해주는 종들이 혼합되어 산출되는 것은, 퇴적물의 퇴적 당시 고환경이 주로 남극 순환수에 의해 운반된 남극저층수(Circumpolar deep water)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주변의 고기 퇴적물로부터 규조 화석들이 재이동 되었음을 의미한다.
        4,300원
        3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운반체(감응물질)로 제 4급 인산염을 사용하여 PVC를 지지체로 하여 과염소산이온의 농도 10-6 M까지 선형적인 이온선택성 전극을 제작하였다. 운반체의 화학적구조와 함량 가소제의 종류 및 막 두께에 따른 전극의 기울기 선형응답범위 및 한계측정농도 등 전극전위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과염소산 이온선택성 PVC막 전극을 제조한 다음 측정 가능한 pH 범위 선택계수 및 전극의 교류임피던스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운반체로 tetraoctyl-phosphonium perchlorate(TOPP) tetraphenylphosphonium perchlorate(TPPP) 및 tetrabutylphosponium perchlorate (TBPP) 등의 제 4급 인산염의 과염소산 이온 치환체를 사용하였다 알킬기의 탄소고리 수가 증가할수록 전극특성은 TBPP, 선형응답범위 10-1×10-6 M 및 한계측정농도는 9.66×10-7 M 이었으며 시판되고 있는 Orion 전극특성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극전위는 pH3~11범위에서 ph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CIO4 에 대한 방해이온의 선택계수 서열은 SO24 < F < Br < I 이었다 임피던스 측정결과 TOPP의 경우 등가회로는 용액저항 이중층용량과 벌크저항의 병렬 및 Warburg 임피던스의 직렬이었다 이 경우 용액저항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확산에 의한 Warburg 임피던스는 크게 나타났으며 Warburg 계수는 1.32×1074 Ω cdot cm2/s1/2이었다.
        4,000원
        31.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수성 고분자재료인 PSf와 양이온성화된 AMPS막을 제조하여 이의 투과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AMPS분리막은 소수성인 PSf막에 비하여 fouling이 감소하였다. 특히, AMPS막은 양이온성을 띠고 있어 염기성 염료, 단백질, 아미노산과 같이 막표면과 동일한 전하를 가지고 있는 용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4,000원
        32.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이온성의 quaternary ammonium polysulfone인 AMPS는 2단계 과정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먼저, 폴리술폰을 chloromethyl methyl ether와 촉매로 ZnO를 사용하여 chloromethylation반응으로 CMPS를 제조하는 단계와 준비된 CMPS에 triethylamine을 반응시켜 quaternary ammonium기를 도입시키는 amination 단계로 이루어 진다.
        4,000원
        33.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heoretical optimum quaternary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thermal stability of Al-Ti alloy was recently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suggestion, quaternary Al-Ti-V-Zr alloy powders corresponding to the optimum compositions, one of which belongs to the region of the smallest lattice misfit between the matrix and the precipitates and the other belongs to the region of the smallest rate constant of coarsening, were prepared by mechanical alloying and the powders were vacuum-hot-pressed at under the pressure of 800 MPa.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specimens was evaluated by hardness testing after isothermal aging up to 400 hrs at various temperatures. The decrease of hardness of Al-Ti-V-Zr alloys was smaller than that of Al-Ti alloys. It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formation of type and type quaternary precipitates having smaller lattice misfit than and the increase of volume fraction of All0v during the isothermal aging. The quaternary Al-Ti-V-Zr alloys corresponding to the smallest lattice misfit showed the most improved thermal stablilty and it was mainly considered to be due to the formation of All0v.
        4,000원
        34.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do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DTAC), 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DTAB), do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DDBAC), polyoxyethylene(2) dodecylbenzylammonium chloride(PDBAC), and 1-(2-hydroxyethyl)-1-benzyl-2-undecylimidazolinium chloride(AEUIC), were synthesized. As a result of weight loss treatment of th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with NaOH to PET fiber, the increase of weight loss was the order of PDBAC > DDBAC > DTAC > DTAB > AEUIC. Among th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AEUIC hardly showed weight loss effect, and it was separated into two layer in the NaOH solution at the treatment concentration above 6g/L, but POBAC showed good weight loss effect of 21% that approach almost to a theoretical weight loss, 21.6%, at the concentration above 8g/L.
        4,000원
        35.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DABM and MDAEW, as a accelerating weight loss agents, were prepared by adding water to myristyldimethylbenzylammonium bromide(MDAB) and myristyldimethylethylammonium ethyl sulfate (MDAE) synthesized. As a result of weight loss finishing of the MDABW and MDAEW with NaOH on PET fiber, the ratio of weight loss of MDABW was very larger than that of MDAEW. This result showed that quaternary ammonium bromide had higher weight loss effect than quaternary ammonium sulfate, and the ratio of weight loss was greatly varied with the kind of quaternary ammonium salts used. In these conditions, proper treatment concentration,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bath ratio were about 8g/l, 6O~90min, and 40:1~50:1, respectively.
        4,000원
        36.
        199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분자 전해질의 화학구조가 감습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C1~ C12의 알킬,benzy1, 2,2-diethoxy dthy1기가 치환된 메타크릴계 4차 암모늄 단량체들을 합성하였다. 이들의 감습용액을 0.15mm간격의 빗살 모양의 금전극이 인쇄된 알루미나 기판에 마이크로 주사기로 도포하여 광중합 후 상대습도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포된 막의 두께가 증가하면 임피던스는 감소하고, 치환기의 탄소 길이가 증가할수록 임피던스는 증가하였다. C6~ C8의 알킬기를 가지는 고분자 전해질의 감습특성은 30-90% RH 범위에서 18MΩ-5KΩ의 직선적인 임피던스 변화를 보였다. 또한 임피던스는 온도 의존성을 보여주며 온도가 증가하면 임피던스가 감소하며 온도 의존성 계수는 -0,45% RH/˚C이다. 히스테리시스는 ±2%RH이내이며, 33%-85% RH 사이에서의 응답 속도는 약 35sec이었다.
        4,000원
        37.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응물질로 제4급 암모늄염을 사용하여 PVC를 지지체로 과염소산이온의 농도 10-6M까지 측정가능한 이온 선택성 전극을 제작하였다. 감응물질의 화학적 구조와 함량, 가소제의 종류 및 막 두께에 따른 선형응답 범위와 Nernst의 기울기 등 전극특성을 검토하여, 최적 막조건을 구한 다음 측정가능 pH범위와 여러 방해이온에 대한 선택계수를 비교 검토하였다. 과염소산 이온선택성 전극에서 감응물질의 화학적 구조 즉, 알킬기의 탄소고리수가 증가할수록 선형응답 범위 등 전극 특성은 Aliquat 336P, TOAP, TDAP 및 TDDAP의 순서로 좋아졌다. 가소제는 DBP가 가장 좋았고, 감응물질의 양은 최적 함량 이상에서 적을수록 좋았다. 최적 막 조성은 TDDAP 9.09, PVC 30.3 및 DBP 60.61wt%이었고, 막두께 0.45mm이었다. 이 조건에서 선형응답 범위 10-1~1.2 × 10-6M, 검출한계 5.1×10-7M 및 Nernst기울기 57mV/pClO4이었다. 막전위는 pH 4~11 범위에서 pH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선택계수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 SCN->I->NO3->Br->ClO3->F->Cl->SO42-
        4,000원
        38.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입실 단층 파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단층점토가 산출된다. 이들 단층점토에 대한 X-선회절분석, 고해상도분말회절분석, 전자현미경 관찰 등을 통하여 단층점토의 광물조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입실 단층 파쇄대에서 나타나는 단층점토는 색깔에 따라 광물 조성의 차이가 나타난다. 입실단층에서 나타나는 단층점토의 특징적인 광물은 로몬타이트이며, 주변암석에서 이 광물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풍화 변질 산물인 것으로 추정된다. 입실 단층의 단층점토의 주 구성광물은 스멕타이트이다.
        3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지구물질의 조성은 여러 성분들로 구성된 다성분계이므로 자연계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성분계 지구물질의 구조를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성분계 비정질의 자세한 원자-나노 구조는 비정질 자체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고유의 무질서도 등으로 인하여 최근까지도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원 O-17 MAS와 이차원 3QMAS NMR을 이용하여, 다성분계 비정질인 Ca-Na 알루미노규산염 [(CaO)x(Na2O)1-x] (A12O3)0.5(SiO2)6. CNAS)의 자세한 원자단위의 조성에 따른 변화를 보고한다. 비정질 CNAS의 비연결 산소 (non-bridging oxygen, NBO) 중 Ca-NBO는 Na/Ca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Ca, Na)-NBO를 형성한다. 이는 비정질 CNAS 내에서 비연결산소와 Ca와 Na 간에 강한 상호작용이 있음을 지시한다. 연결산소인 경우(bridging oxygen, BO, Si-O-Si나 Si-O-Al)의 경우에도 Na/Ca 비율에 따라, 감소의 폭이 비연결 산소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화학차폐(NMR chemical shift)가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비정질 규산염의 연결산소의 결합각과 결합길이의 분포에 의해 결정되는 위상무질서도(topological disorder)는 Ca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정질 CNAS의 구조가 기존에 알려진 데로 비연결산소만이 Na와 Ca 같은 구조교란양이온(network modifying cation)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연결산소도 이들 양이온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양이온세기가 비정질의 무질서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였다.
        40.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울산단층 동쪽 지괴에 발달한 제4기 단층인 개곡1, 개곡2, 신계, 마동, 원원사, 진현단층을 대상으로 X선회절분석(XRD), 전자현미분석(EPMA), 후방산란전자영상분석(BSE), K-Ar연대측정법을 이용하여 단층비지의 광물조성과 미세조직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단층비지내 변질광물들은 단층운동에 수반된 열수변질작용으로 형성되었다. 28.9Ma~44.3Ma 범위의 연대를 나타내는 단층비지는 주로 점토광물, 석영, 장석으로 구성된다. 점토광물은 스멕타이트가 주구성 광물이고 소량으로 녹니석, 일라이트 및 카올리나이트가 산출된다. 접촉부 모암과 단층 비지대에서는 단층작용과 관련된 열수작용에 의해 광물의 변질작용의 흔적이 쉽게 인지되고, 주입비지와 절단된 방해석맥 등과 같이 단층작용이 반복된 증거를 볼 때 단층비지대는 다중변형작용의 산물임을 알 수 있다. 녹색 내지 녹회색 계통인 진현단층의 비지의 경우 적색계통의 다른 단층비지에 비해 Al2O3의 함량이 높고, MgO와 CaO의 함량은 낮다. 스멕타이트의 화학분석 결과, 단층비지의 색은 기질을 구성하는 점토광물의 종류와 화학적 조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