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21.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넙치를 인공사육 시설에서 육성할 때 나타나는 무안측 흑화(착색증)의 스트레스 관련 성을 확인하기 위해, 무안측에 체색이 없는 것(정상 그룹)와 체색이 있는 것(흑화 그룹)들 사이 스트레스 인자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어는 평균 전장 21.5±0.42 cm, 평균 무게 87.5±6.1 g였으며, 실험어의 무안측 착색면적률은 정상 그룹 0.63±0.12%, 착색증 그룹 16.7±4.7%였다. 분석한 스트레스 관련 인자는 혈중 GLU 및 TP, 코티졸 및 갑상선호르몬(FT3 & FT4) 농도 및 어체 성분(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이었다. 실험 결과, 정상과 무안측 착색 넙 치에 있어 혈중 GLU 및 TP의 농도는 정상 형질보다 착색증 형질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혈 중 호르몬 농도에 있어 갑상선호르몬의 경우 정상과 착색증 그룹 사이에는 유의차를 찾아볼 수 없지만, 코티졸은 착색증 그룹이 정상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어체 중 영양 성분의 경우, 수분과 회분은 그룹 간 유의차가 없었지만, 조단백은 착색증 그룹이 정상보다 다소 낮으며, 조지방은 정상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스트레스 인자를 통한 정상과 착색증 그룹 간 비교 를 통해 알 수 있듯, 양식산 넙치의 착색증은 만성적이 약한 스트레스에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2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일련의 개인정보보호법령의 강화는 불가피하게 정부의 활동, 특 히 정보수집을 핵심 기능으로 하는 정보기관에 의한 사이버안보 활동에 제약을 가하게 된다. 결국 개인정보보호를 통한 개인의 권리의 보장과 국가안보를 위한 사이버안보활동의 보장이라는 두 가지 법익의 충돌을 적절히 조화할 필요가 생겨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 는 과거 및 현행 개인정보보호법령에서 사이버안보 활동에 대하여 어떻 게 규율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후 주요 국가에서는 어떻게 이를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개인정보보호법 령의 규율태도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개인정보보호와 사 이버안보는 서로 긴장관계에 있으면서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사이버 안보를 꾀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가피하지만, 개인정보보호 를 함으로써 사이버안보도 도모할 수 있으며, 사이버안보가 확보되면 개 인정보보호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긴밀한 관계이다. 또한 사이버안보 는 국가안전보장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안보를 위한 개인정보의 처리는 적절한 범위에서 허용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개인정보보호와 사이버안보는 적절한 균형관계를 꾀하여야 한다. 즉, 사이버안보를 위한 개인정보처리의 근거는 현재처럼 유지하면서도, 사이버안보 활동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부당하게 침해된 경우에 적절한 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 다. 이런 관점에서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상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에 의한 개인정보분쟁해결 규정을 적용제외한 것을 재고하거나 아니면 다른 적절한 구제절차를 마련토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 대통령 정 책 지침에서와 같이 정보기관 내부적으로 자율적인 통제가 이루어지기 위한 법적 기반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런 관점에서 현행 「국가정보보안 기본지침(국가정보원)」, 「보안업 무규정」,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의 제정 및 운영은 하나의 중요한 법적 기반이 될 수 있다.
        23.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much evidence in literature supporting the advantageous benefits resulted fro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itiatives (Luo and Bhattacharya, 2006). Among others, consumers’ favorable reactions (e.g., enhanced produce evaluation, purchase intention, brand attitude and relationship) (Brown and Dacin 1997; Klein and Dawar 2004) were widely documented. Importantly, consumers tend to use their perceptions on a company’s CSR performance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relevant persons (e.g., self and other consumers) due to the meaning-transferring mechanism (Currás-Pérez et al., 2009; Yoon et al., 2006). Although literature suggests that people do good things in order to feel themselves in a positive light, there is a lack of explicit discussion on the impact of consumers’ participation in CSR programs on their perceptions of self. This is an important issue for designing effective CSR programs which can enhance consumer feelings as well. To bridge the academic gap, this research is aimed to address this question. As brands can be viewed as extended self and brand associations can be transferred into self-definition, good associations related with CSR practices will enhance consumers’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once they engage in CSR-related consumptions. However, many company-specific factors (e.g., product quality) and individual specific factors (e.g., CSR support and beliefs) will vary consumers’ responses to CSR efforts (Sen and Bhattacharya 2001). Similarly, CSR’s impact on self-perceptions may be moderated by significant factor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underlying differential customer response to CSR is consumers’ attribution of corporate motives. Consumers may attribute a company’s motivation for engaging in CSR simply as self-serving (e.g., high profit) or other-serving (e.g., engagement in social causes) (Becker-Olsen et al. 2006; Yoon et al. 2006), or further differentiate self-serving motives into strategic and egoistic ones and other-serving motives into value-driven and stakeholders-driven ones (Ellen et al., 2006). We examine the effect of self-serving motive vs. other-serving motive on the linkage of CSR and consumers’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in this research. Further we predict that the relevance of a CSR program with an individual consumer (i.e., self-CSR relevance) interacts with specific corporate motives in enhancing the CSR’s effect on consumers’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A pilot study was first conducted to examine how CSR performance influences consumers’ perceptions (as well as consumers’ believes on their reference group’s perceptions) on a company’s typical customers’ image and then their purchase intention. In this study, we let respondents play judgers’ role and ask them about the relation of CSR and others’ image. A paper-and-pencil survey on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hree hundred and twenty one copies of questionnaires are sent out and collected in total. After deleting the incomplete ones, 302 valid data points constitute the final sample. The number of female and male respondents is comparable (Male: 49%) with average age of 21.4 year-old. We tested the hypothesized relations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following Anderson and Gerbing’s (1988) two-step approach. The measurement model has good convergent and discrimiant validity. The structural model testing results indicate that CSR has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eople’s perceptions on the image of a company’s typical customers (r=.227, P<.001) and on beliefs of reference group’s perceptions on the image of a company’s typical customers (r=.234, P<.001), which subsequently enhance purchase intention (r=.607, P<.001; r=.149, P<.01). As such, the hypothesized relations are supported. Although consumers’ perceptions on others rather than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indings provide preliminary support on the notion that a company’s CSR behaviors will be used as significant information to evaluate relevant persons (here are typical customers). In the main experiment study, we ask subjects play actors’ role and further examine the connection of CSR and self-perceptions.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between corporate motive and self-relevance. High self-relevance enlarges the difference of self-evaluations after participation in self-entered CSR programs vs. participation in other-centered CSR programs. This study explicitl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er participation in CSR-related program on consumer self-perceptions and self-esteem. The findings deepen our understanding on the impact of corporate CSR initiatives on consumer responses, particularly the impact on consumer self-perceptions. It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agement to provide more effective CSR programs with consumers’ welfare considered.
        3,000원
        24.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examine a multidimensional model of almost all relevant social media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on brand perception and brand behavior. In order to incorporate social media’s high complexity we introduce our concept of SMURF and its related outcomes. Therefore we follow the original idea of Muniz and O’Guinn (2001) that define a brand community as a customer-customer-brand triad. Furthermore, we suggest an extension of their model that includes four dimensions covering all SMURF of a social media brand presence (SMBP), namely (1) customer-brand relation, (2) customer-customer relation, (3) customer-community relation and (4) customer-channel relation. For our defined core constituents of brand perception as well as for the essential elements of brand behavior already existing and tested reflective measures were used. Regarding the multidimensional construct of SMURF, the measurement instrument by Wiedmann, et al. (2013) was used. In detail, any SMURF core element was captured with one global item. Furthermore, any reflective and formative measures were specified to those brand and Facebook fan page which has been tracked most frequently by the respondent. The first contribution is to provide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of value-based drivers of SMURF with special focus on an overall brand presence context. Second, the findings contribute to explain the consequences of social media attractiveness such as unique relevance features which provide a great brand appeal. In this study, customers who are strongly attracted to a brand fan page experience a high positive brand perception as well as a high positive brand behavior. Third,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applied PLS-SEM approach indicate that customers have a specific motivation of being attracted and connected to a brand in a social media context.
        2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서지능 수준의 차이와 타인이 표현하는 정서가 가지는 목표관련성의 차이에 따라서 권력이 타인정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참가 자들의 정서지능을 측정한 후, 권력을 조작하여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가 가지고 있는 목표관련성을 조작 한 후, 실험 1과 동일하게 권력을 조작하고 정서판 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권력을 가진 집단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권력을 갖지 못한 집단보다 타인의 정서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정서지능이 높은 경우에는 권력이 타인 정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았으나 중간 정도의 정서지능을 가진 참가자들은 권력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사진 속 정서의 목표관련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권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서 판단의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능력으로써 정서지능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권력을 가졌다 할지라도 타인의 정보에 대한 동기수준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다.
        4,300원
        2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틀유형(긍정틀 vs. 부정틀)과 자기관련성 수준(저 vs. 고)의 조합에 따른 의사결정 틀효과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을 긍정틀 조건과 부정틀 조건에 할당한 후, 참가자 자신의 개인적 사안이나 혹은 사회 일반적 사안으로 자기관련성 수준이 조작된 여섯 가지의 의사결정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추구와 위험회피의 틀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틀 조건보다는 부정틀 조건에서의 틀효과가 더 작은 경향이 있었으나, 자기관련성 저수준 조건과 자기관련성 고수준 조건 사이에서는 틀효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자기관련성 수준과 틀유형 조건 사이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즉, 긍정틀 조건에서는 자기관련성 수준에 따른 틀효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던 반면, 부정틀 조건에서는 자기관련성 저수준 조건의 경우보다 자기관련성 고수준 조건의 경우 틀효과가 유의하게 더 작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자기관련성은 틀효과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 오지만, 이러한 효과는 부정틀 조건과 같이 특정 조건에서만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4,000원
        2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FACI 회원국들의 농업은 아프리카 지역의 특성상 농업유형이 매우 다양하며, 회원국들간의 농업 생산성, 기술, 잠재력 등의 편차도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KAFACI 사업을 대상으로 DAC가 제시한 개발(원조)사업 평가항목 중 적절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이 사업의 적절성 평가결과 및 제고방안는 다음과 같다. 첫째,KAFACI 사업의 목표는 적절하게 수립되었으나, 비전 설정은재검토 될 필요성이 있다. 즉, 국격 제고는 이 사업의 간접적인 효과이므로 이 자체가 비전으로 설정되는 것 보다는 개도국의 기아 및 빈곤 퇴치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목표로서 다자간 농업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립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이 사업의 대상은 아프리카 지역 국가의 농식품 기술 발전을 선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도로 구축하는KAFACI에 참여의사를 밝힌 국가 중심으로 적합하게 선정되었다. 셋째, 이 사업은 본질적으로 아프리카 빈곤 해결을 위한농업기술 지원이라는 차원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노력은 매우 높이 평가된다. 또한 이사업은 아프리카 대륙 전체적으로 그리고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각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목표하고 있는 식량문제 해결에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사업 대상국들의 개발 정책과 매우부합하다. 넷째, G20 정상회의 개최 및 DAC 가입 등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 급부상 및 ODA 확대 요구가 점증하고있는 현실에서 MDGs 등 국제지원전략과의 부합성이 매우 높다. 다섯째, 이 사업은 ‘한-아프리카 개발협력 기본 구상’ 의구체적인 실천 사례로서 우리나라 정부의 대외 개발협력정책과 매우 부합하며, 개도국에 대한 기술원조 공여국으로서의 국격 제고에 기여하였고,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산업의 국외 진출 및 시장 확대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적절성 제고 방안으로는 기존 아프리카 녹색혁명의 실패 요인을심도 있게 분석함과 동시에 새로운 아프리카 녹색혁명을 위한국제사회 노력에 부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사업의 효율성 평가결과 및 제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농업협력에 대한 중앙부처, KOTRA, ODA 사업을 검토한 결과 내역사업 단위에서 유사·중복성은 없었다. 이는그동안 농진청 중심으로 국제농업협력 사업이 추진되어 왔으며, 사업 추진을 위한 실질적인 전문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한-아프리카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사업의 추진주체는 농촌진흥청으로 명확하며, KAFACI 총회, 아프리카형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사업, 회원국 확대 및 다자간 사업 확대 등 주요 추진사업 주체 또한 명확하기 때문에 관련 추진주체간의 협의·조정 여부도 효율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과 외에 2008년 국외농업팀의신설로 국제업무를 2개과에서 수행하고 있지만 실제 집행하는예산과 전문인력에 한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KAFACI)의 2011 세부업무 추진계획을 보면, 1) 조직기반 구축, 2) 총회 개최, 3) 국제기구와 공동 워크숍 개최, 4) 고위급 훈련과정 개최, 5) 개별 연수(OJT) 실시 6) 국가 프로젝트 협약 체결, 7) 신규 회원국 확보, 8) 예산 확보 등이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 역시 신규회원국 및 예산 확보를 제외한 모든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효율성 제고 방안으로는 서로를 알고 시작하는 ‘지피지기’전략 추진체계를 구축, 성과평가에 의한 지원시스템 구축, 타 개발협력기관과의 네트워크 강화 등에 주력해야 한다. 이와 함께 사업 평가를 위한 세부지표 및측정 방법론의 개발과 아울러 수원국의 주민, 전문가, 관련 공무원 등의 광범위한 설문조사 등의 필요성도 큰 것으로 제언되고 있다(Lee et al., 2010). 또한 단계별로 국제협력 조직·인력과 예산의 확대를 통한 지원체계 구축과 아울러 사업의안정성과 지속성 확보를 위한 법제화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4,000원
        2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보 검색 과제별 주요 적합성 판단 기준을 실제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 구현해 보고 사용자 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들을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적합성을 결정하는 검색 랭킹 모델의 랭킹 요소들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정보 검색 과제별 차이가 있는 동적 검색 랭킹 모델과 차이가 없는 정적 검색 랭킹 모델을 시스템으로 구현하였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여 비교해 보았다. 총 45명의 참가자가 실험에 참여하였고, 정보 검색 과제별 차이가 있는 동적 검색 랭킹 모델과 차이가 없는 정적 검색 랭킹 모델이 적용된 각각의 검색 시스템에서 3개의 검색 과제를 수행하였다. 3개의 정보 검색 과제로는 사실 검색 과제, 문제 해결 검색 과제, 의사 결정 검색 과제가 사용되었다. 각 참가자는 검색 결과 첫 페이지 상위 5 개의 검색 결과에 대해 적합성 정도를 7 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전반적으로 모든 검색어에 동일하게 반응하는 정적 검색 랭킹 모델을 적용한 시스템보다 정보 검색 과제별로 사용자 적합성 판단기준의 변화에 따라 랭킹 요소 가중치를 달리한 동적 검색 랭킹 모델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정보 검색 과제를 고려한 정보 검색 시스템 디자인의 필요성과 함께,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 연구 결과를 실제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평가함으로써 사용자 중심 적합성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는 점, 그리고 사용자 연구 접목을 통한 시스템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4,600원
        2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호흡과 동작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무용전공 20세 이상의 대학생, 대학원생, 안무가 및 무용 지도자 총 184명이 응답하였으 며 총 1,630개의 반응이 도출되었다. 원자료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의 결과, 무용동작 발현과정 에서 경험된 호흡의 무용동작 외적측면은 동작의 연결성(49.8%), 동작의 범위(31.6%), 동작의 정확성(18.6%)의 3개의 일반영역이 도출되었고,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경험된 호흡의 무용동작 내적측면은 표현력(55.5%), 동작의 질적 변화(36.6%), 메시지 전달(7.9%)의 3개의 일반영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무용동작 발현과정에서 경험된 호흡의 자기 신체적 측면은 무용동작의 수행지속력(51.38%), 집중력상승(41.2%), 신체의 변화(7.5%)의 3개의 일반영역으로 도출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호흡이 우리 몸속의 에너지를 분출해 내는 원천적인 요소이며, 외형적인 움직임 뿐만 아니라, 무용수의 내재된 감정을 표현해 내는 원리로서 기존에 핵심개념으로 강조되어온 사 실에 경험적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무용동작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호흡의 사용법과 호흡훈련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5,100원
        30.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래동화는 전통사회의 질서와 종교적 세계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통사상과 문화가 언어를 매개로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승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전래동화는 학령기전에 성인과 아동이 음성이나 몸짓, 표정 등을 통해 즐거움을 함께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숨겨진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계기가 된다. 또한, 아동의 언어교육을 위해 전래동화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아동기는 언어발달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기로서 개인차가 크므로 언어발달에 적합한 교재의 선택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전래동화를 0-3세아, 4세-8세아 등으로 폭넓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 시기의 언어발달은 양과 질에 있어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성이 있어, 어휘력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연령별 단계가 세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어휘발달에 기초하여 전래동화의 어휘 구성이 아동의 연령 발달 변화에 적합한가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어휘력 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6,300원
        3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보검색의 핵심 개념인 적합성을 사용자 중심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이다. 적합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적합성 판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기준들을 정의해 왔다. 본 연구는 적합성 유형별로 사용자가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과 적합성 유형 간의 관계를 정보 검색 과제별로 연구함으로써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7개의 사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주제성, 신선성, 신뢰성, 이해가능성, 특수 성, 구체성, 흥미성-과 3가지의 사용자 적합성 유형-인지 적합성, 상황 적합성, 정서 적합성-을 고려하였다. 이를 대학생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검색 과제 수행 후 설문에 답하는 반 제어(semi-controlled) 설문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성, 신뢰성은 모든 검색 과제에 중요한 적합성 판단 기준이었고, 과제 유형별로 볼 때 사실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신선성, 구체성, 흥미성이, 문제 해결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이해가능성, 특수성이, 의사 결정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신선성, 이해가능성, 구체성, 특수성, 흥미성이 적합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적합성 유형들 간의 관계도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적합성 판단 기준과 적합성 유형 간의 관계를 정보 검색 과제별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 중심의 적합성 판단 모형을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4,300원
        3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행정은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가 아니라, 조력자나 감독자 (monitor of service provider)의 역할로 전환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민영교도소를 설치ㆍ운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교정행정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민영교도소의 출범을 앞두고 있다. 교정정책은 정책산출보다는 정책 성과나 정책영향을 강조하는 분야이다. 여기서는 민영교도소 도입의 이론적 배경, 형사정책수립과 관련된 이론, 외국의 사례를 통한 한국 민영교도소의 올바른 전망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민영교도소에 사용될 수 있는 이론으로는 Kingdon의 정책의 창(policy windows)이론, Sabatier와 Smith의 옹호연합(advocacy coalitions)이론, Rock의 하위정부(sub-governments)이론, Lindblom의 분할적 점증주의(disjointed incrementalism)이론 등이 있다. 한국의 실정을 고려할 때 정책 창 이론이나 하위정부 이론이 적실성이 높다고 하겠다. 민영교도소의 장점으로는 교정업무의 충실화, 국가의 재정적자 감축과 경영기 법의 도입, 교정업무의 효율성 제고 등이다. 반대로 단점으로는 수형자들의 인권침해 가능성, 효율적 통제 및 법적 책임의 회피문제, 재범률 저하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민영교도소의 장ㆍ단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있다. 첫째, 민영교도소의 존재이유나 목적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고, 둘째, 정부 의 책임회피 가능성, 셋째, 공공재의 성격이 강한 국가업무를 민간 위탁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9,000원
        3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석(우리나라, 미국 캘리포리아주, 영국, 일본), 우리나라와 일본 교과서의 지구과학 내용 분석과 초 중등학생, 교사, 교수, 교과서 저자에 대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내용은 과학과 4개 영역의 균등 분배, 단원의 세분화로 인한 내용구성과 연계성 부족, 그리고 나선형 교육과정의 과도한 적용, 지나친 탐구활동 중심의 교과서 내용구성으로 인한 학습량 증가와 체계적 개념 지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적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 지구과학 영역 내용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내용 구성 및 연계 측면에서 볼 때, 각 학년에서 다루게 되는 내용을 과학 4개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지 말고, 단원의 크기를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학습량 측면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을 탈피하여 학년 수준에 맞는 내용은 해당 학년에서 종료되도록 하여 학년간에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필수 탐구활동의 수를 줄이고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내용의 수준과 흥미 측면에서,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도록 자연재해, 안전, 우주 관련 분야, 자원 등을 강조해야 한다. 아울러 교육 내용 적정성의 평가 준거 중의 하나가 실현 가능성임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주변 여건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37.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the relevance between GMFM and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wenty-one children ( months)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GMFM was performed and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were measured by foot print gait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GMFM scores and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how much each gait spatiotemporal parameters could be predicted from GMFM scores. The total GMFM scor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lking speed, cadence, and stride length. Dimensions D (standing) and E (walking, running, and jumping) were mo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spatiotemporal parameters than dimensions A (lying and rolling), B (sitting), and C (crawling and kneeling). The GMFM scores were useful for predicting spatiotemporal paramet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status of gait development using GMFM scores because GMFM scores and gait spatiotemporal parameters are only measured as quantities not qualities. In the field, it is easily found that many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e unable to walk in any way. Consequently, gait analysis cannot be performed in many cases. Therefore, it is more reasonabl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MFM on spatiotemporal parameters, rather than vice versa.
        4,800원
        3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40.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