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1

        38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ttuce was a leaf vegetable with short growing term and cold-tolerant plant. We grew it the whole year. The price of lettuce is the most expensive from July to September. But damages by lots of insect pests appear to greenhouse grown lettuce in summer season. In this study, we observed biological controls of western flower thrips(Franklinella occidentalisi) by the predator mites, Amblyseius swirskii and Neoseiulus cucumeris in lettuce greenhouse from July 7 to September 10. Hypoaspis aculerfer larvae and adults were released 30 individuals per m2 at the first one time as lettuce was planted on the greenhouse. We checked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every 10 days on the 30 lettuce leaves. When the population of F. occidentalis reached 1~5 individuals per a leaf, A. swirskii larvae and adults were released 35 individuals per m2 at 1~3 times and Neoseiulus cucumeris larvae and adults also were released 150 individuals per m2 at 2~3 times in each lettuce greenhouse. During the high temperature season, Amblyseius swirskii was more effective biological controls of F. occidentalis than Neoseiulus cucumeris.
        38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bility of the predacious mite G. occidentalis to limit population density of T. urticae infesting roses in the greenhouse,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ullman, U.S.A. Population fluctuations of T. urticae, G. occidentalis, and Macrosiphum euphorbiae were assessed for over two years on greenhouse roses through time series data. During the first half of experiment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performed (from May 2000 to May 2001) and the presence/absence and randomized sampling method was utilized during second half (from June 2001 to September 2002). Populations of T. urticae and G. occidentalis were estimated by R-functions or discrete prey-predator equations. During 121 weeks there were six population fluctuations of T. urticae, G. occidentalis and M. euphorbiae. The variation of G .occidentali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at of T. urticae but G. occidentalis did not overexploit T.urticae. The predicted populations of both mites were explained by above equations. M. euphorbiae and T. urticae might be compete for limited resource in the greenhouse rose and the movement of G. occidentalis was inhibited by the honeydew of M. euphorbiae. Therefore, M. euphorbiae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 urticae and G. occidentalis from the results of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 urticae and G. occidentalis was negative it was unlikely to present complete biological control of T. urticae on greenhouse roses. It might be necessary an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y to control T. urticae in bent-cane greenhouse roses.
        384.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대학교 교내에 설치되어 있는 1-2W형 온실을 대상으로 전기 방열기를 이용하여 국화 재배온실의 난방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동안 최고, 평균 및 최저 외기온은 각각 -3.8~21.3℃, -5.2~16.1℃ 및 -12.5~14.4℃ 정도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온실 내외의 평균상대습도 각각 43.5~98.6% 및 35.2~100%로 나타났다. 12월 중순부터 2월 상순까지 최저 외기온은 대략 -5.0~-10.0℃ 전후로 나타나 진주기상대의 최근 자료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최저기온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야간의 경우, 방열기 직하부의 엽온이 방열기 중간 지점에서 측정한 엽온 보다 크게 2~3℃정도 높게 나타나거나 또 는 미미하지만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근권부의 경우, 직하부나 중간 지점에서의 온도 차이 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권부의 최고온도와 기타 최고 온도의 발생 시점을 보면, 약 2시간정도 의 지체현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기간동안 난방에 소요된 총 소비전력량, 공급에너지 및 총 난방비는 각각 2,800kWh, 2,408,000kcal 및 112,000won 정도였다. 화석연료인 경유로 난방할 경우, 총 난방비는 224,500won 정도였다. 방열기를 이용하여 난방할 경우, 난방비를 약 50% 정도 줄일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85.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의 환기제어시 외기온도와 풍속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온실내 온도제어성능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 퍼지제어가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제어로직이 복잡하여 대용량 메모리를 갖는 컨트롤러가 필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용량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프로그램이 가능한 단순퍼지제어 알고리즘을 개 발하여 시험하였다. 개발한 단순퍼지 제어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텝제어 알고리즘 을 도입한 제어프로그램으로 온실의 천창환기에 의한 온도제어를 실시하여 두 알고리즘의 성능을 직접 비 교하고, 또 PID 및 표준 퍼지제어 성능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상대적 성능을 평가하므로써 온 실의 환기냉방제어의 유리한 제어기법을 확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단순 퍼지제어에 의한 실내온도 최대 제어오차는 1.2℃, 1시간동안의 평균환기창 적산열림량과 조작회수는 각각 84%, 13회 로 나타났으며, 문헌조사에 의한 퍼지제어에서 각각 1.3℃, 75% 및 12회에 비해 동등한 제어성능을 보였 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순퍼지제어는 제어로직이 PID제어보다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스텝제어와 PID제 어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퍼지제어와 동등한 제어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8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폭설로 인한 온실의 붕괴가 빈번해져서 농가의 피해가 증가되고 있다. 히지만 폭설로 인한 온실의 붕괴를 막기 위한 정확한 구조해석에 대한 연구가 미약하여 매년 농가의 피해는 되풀이 되고 있다. 기존 온실의 구조해석 방법은 미소변위에 기초한 선형탄성해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온실의 강성은 건축 구조물의 강성에 비해 상당히 약하지만 하중은 폭설에 의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여 변형이 크게 발생하고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태가 변하므로 변형률-변위 관계가 비선형 거동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폭설에 따른 온실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농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농가 지도형 G형 단동온실과 농가보급형인 1-2W 기본형 연동온실에 대해 시간에 따른 하중단계별 기하학적 비선형 효과를 고려하여 온실의 정확한 거동분석과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대변위해석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4,000원
        38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genome project has been launched and aims to sequence total genome of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On this process, several open reading frames (ORFs) have been identifi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one and express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genes, PTP1 and PTP6. The ORFs of these two genes consist of 900 and 891 bp, respectively. PTP1 and PTP6 are genes of a group of genes that has been implicated as important regulatory components in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by certain viruses. In this work,we studied the cloning and expression patterns of these genes in Plutella xylostella, a lepidopteran host of C. plutellae.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ed the corresponding products of PTP1/6. These PCR products were cloned and expressed using an expression vector pBAD-TOPO, and then over-expressed using an inducer, L-arabinose. Then the purified proteins were confirmed using Western blotting (immunoblotting using V5 antibody) and the apparent molecular weights of both proteins were about 40 kDa. Expression of PTP genes were analyzed in the parasitized P. xylostella by realtime RT-PCR, which indicated late expression pattern of both PTPs during parasitization. We are pursuing to elucidate their physiological function in the parasitized host insect.
        388.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conomic injury level was estimated for the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on greenhouse tomato (Lycopersicon esculantum cultivar pinktop). In the greenhouse, seedling tomato transplanted at mid-April and inoculated B. tabaci at late-April with the densities of 0, 1, 3, 9, 27, 54, 108 and 216 per plant. Only 108 and 216 inoculation densities increased until mid-July. Total weight of fruits was not showed the differences by initial whitefly density; however, the total weight of marketable fruits decreased significantly among plots by higher initial whitefly density. The rates of yield loss increased with increasing whitefly density, resulting in 8.3, 14.0, 29.7, 29.7, 25.7, 40.4, and 69.4% reduction in each of the plot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whitefly densities and yield losses was well described by a linear regression, Y= 18.09X+6026.5, R2=0.8504.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 number of adults per plant which can cause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7.
        38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출권거래제도는 경제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즉, 비용경제적인 방법으로 오염배출량을 감소하게 된다. 배출권거래제도하에서 오염원인자는 ① 부여된(할당받은) 배출권량 수준의 준수, ② 부여된 배출권량 수준이하의 배출 및 이에 따라 발생한 잉여분의 타 오염원인자에게의 판매, ③부여받은 배출권량 수준 이상으로의 초과배출을 위한 매수 등의 방안을 선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배출권거래제도는 오염원으로 하여금 가능한 한 적은 비용을 들이면서 오염배출량을 감소토록 하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잉여분을 타에 판매토록 유인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배출권거래제도는 오염물질의 총배출한도 및 이에 따른 배출권 점진적인 감소는 배출권의 취득가격을 상승시키고, 일정 시점에서는 배출권의 구입비용보다 배출을 줄이는 비용이 적게 되어, 급기야 개별오염원으로 하여금 오염배출의 감소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배출권거래제도는 정부에 의하여 시장에 부여된 오염총량을 가장 비용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제도이다. 아울러, 배출권거래제도는 전통적인 명령규제방식보다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배출권거래제도는 오염배출량을 감소하는 기술혁신을 끊임없이 조장한다. 잉여분을 타에 판매하는 것은 기업의 이익을 의미하는바, 그 판매는 오염배출량을 저감시키는 연구개발, 기술 및 자본투자를 촉진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하여 대기오염이 심각한 수도권지역의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3년 12월 31일 제정된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관한특별법이 있으며, 2010년 1월 13일 제정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이 있다. 특히,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관한특별법에 있어서는 배출허용총량의 이전이 금지되는 오염물질 등의 확대, 배출허용총량의 할당 및 배출권거래의 이전 절차와 방법 등에 있어서 경매를 통한 배출허용총량의 할당 및 이전, 자발적인 사업자의 참여 조장 등의 거래시장의 활성화 확대가 요구된다. 그리고,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서는 적용대상 오염물질, 적용대상 사업장 또는 적용 대상지역, 탄소거래소 설치 등에 대한 제도(규정화)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 다음 배출권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질수 있도록 거래시장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제시장과의 연계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과학적인 조사·연구, 회수·재사용 및 대체물질의 개발 등의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90.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닐하우스 아치구조에 고정햄머 및 이동가속도계 형식을 취한 충격진동실험을 수행하여 획득한 일련의 진동기록으로 부터 고유진동수, 감쇠율 및 모드형태 등과 같은 모달계수를 추출하기 위하여 최신 고급 주파수영역 시스템판별법인 PolyMAX 및 FDD를 적용하였다. 전자는 입력-출력 데이터 모두를 사용하며, 후자는 출력 데이터 만 을 사용한다. 본 연구의 비닐하우스 강재 파이프 아치와 같이 매우 세장한 구조물에 진동계측 등과 같은 비파괴 실험기법을 적용하여 정적좌굴 하중을 결정할 수 있는 지 여부 및 손상을 감지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체로 추출한 모달계수는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획득한 결과와 좋은 일치를 나타냈으며, 지속적으로 수행 할 후속연구에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39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 내 PPFD는 오전에는 남북동이, 오후에는 동서동이 높았다. 일평균 PPFD는 동서동이 높았는데, 이는 태양광의 입사각이 작아질 때 동서동의 수광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랑위 60cm 높이의 PPFD는 전 고랑에서 남북동이 동서동보다 높았으나 수량과는 관련이 없었다. 평균 기온은 동서동이 높았으나 2월중순 이후로는 태양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지온은 동서동이 다소 높았고 이랑 간에 차이가 없었다. 과실수량은 동서동이 8% 많았는데, 이는 남쪽이랑의 과실이 수확기가 빨라서 초기수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동계 단동형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토마토 촉성재배는 반촉성재배와는 달리, 동서동 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4,000원
        39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착색단고추가 재배되고 있는 유리 온실과 플라스틱 필름 온실을 대상으로 내부 온 습도 변화 및 식물체 생육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재배 기간 동안 일평균 내부온도는 두 온실 간 차 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변화폭은 플라스틱필름 온실에서 심하였다. 그리고 온실 내 수분부족분은 유리 온실에서 4.3g·m-2, 플라스틱필름 온실에서 5.6g·m-2로 플라스틱 필름 온실에서 더 많았다. 외부 광 1w에 대한 내부 온도 변화는 유리온실보다 플라스틱필름 온실에서 2배 정도 빨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이러한 차이에는 일몰 전 후보다 일출 후 초기의 온도 차이가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 온실보다 유리 온실에서 잎의 생육 및 광합성산물 생산율이 더 높았고, 생산성도 80% 정도 더 높았다. 이로 보아 유리 온실 대비 플라스틱필름 온실의 생산성을 다소 높이기 위해서는 일출 직후에 내부 환경의 집중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9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logical-control-based-integrated-pest-management of major pests occurring on sweet pepper in greenhouse during summer season was tried. As many as 2.1 Orius laevigatus per ㎡ were released in two times on June 6 and 19, and the population of thrips was kept under control and accordingly the damage was negligible throughout the season. To control aphids, a total of 0.8 Aphidius colemani per ㎡ were released in four times, 0.2 of them at a time, flonicamid on May 14 and July 18 and pymetrozine on June 14 and September 4 were sprayed on the spots of high aphid occurrence to reduce the release of the wasp, and the density of aphids was kept under control. Whitefly was controlled successfully by releasing a total of 343.4 Amblyseius swirski per ㎡ in nine times, 38.1 of them at a time, from May 9 until November 12 and dinotefuran was sprayed on November 12 when the density of whitefly increased up to 200 per trap. Tetranichus kanzawai was controlled by both Phytoseiulus persimilis which was released a total of 44.4 per ㎡ in five times 8.9 of them at a time from May 23 to September 10, and the A. swirski which was released for the control of whitefly.
        4,000원
        39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출과채류 시설원예 재배농가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보온자재의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으며 본 보에서는 시설 온실에 사용되어지는 단일 보온자재와 조합형 다겹보온자재에 대해 보온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해석의 경우, 실험모듈을 통해 내부 열원의 보온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내 외부의 온도는 K형 열전대와 데이터 획득 장치로 측정하였고, 측정된 온도를 통해 보온자재의 보온특성을 구명하였다. 수치해석은 상용코드인 CFX-11을 이용하였고 다겹보온자재의 내부 공기층은 고려하지 않고 해석하였으며 해석에서 필요한 다겹보온자재의 물성치인 열전도도는 과도 열선법에 의해 측정되는 QTM-500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조합형 보온자재가 단겹 보온자재에 비해 약 45~55%까지 보온율이 높았고, 조합조건에 따라 보온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보온성이 우수한 조합 조건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치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와의 보온율을 비교해 보면 수치해석의 결과가 실험 결과의 보온율에 비해 다소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다겹보온자재 내부의 공기층을 무시하여 나타난 오차로서 향후 보온자재 내부의 공기층을 고려할 경우 보다 정확한 수치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98.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ey field slug, Deroceras reticulatum Muller, is one of the major pest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To determine the economic thresholds of grey field slug on chinese cabbage, the slugs were inoculated after planting 1 week into chinese cabbages with a density of 0, 2, 4, 8, 16 slugs per 16 chinese cabbages(1㎡) at the plastic house in the spring and autumn of 2008. The rates of damaged cabbages by slug inoculation were 10.7% at 2 slugs and 42.7% at 16 slugs in the spring, and 20.3% at 2 slugs and 59.2% at 16 slugs in the autumn. Th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the initial slugs density and yield reduction of chinese cabbage were as following ; Y = 286.07x + 548.62, R2=0.9524(in the spring cultivation), Y = 318.91x + 998.05, R2=0.9323(in the autumn cul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economic threshold of grey field slug per 16 chinese cabbages(1㎡) was 2.52 slugs in the spring and 0.86 slugs in the autumn.
        399.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bee-vectoring method has been recently developed against greenhouse insect pests. In this study, we conducted experiments to determine if bumble bees, bombus terrestris L. could vector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from hives equipped with a pathogen dispenser to leaf and flower of sweet pepper. First, in laboratory, insecticidal activity of B. t. subsp. aizawai NT0423 WP (Tobagi, Dongbu Hitek Co.) against 2nd instar larva of Spodoptera litura Fabricius was evaluated to determine if the amount of B. thuringiensis deposited on the leaf and flower would be sufficient to control the tobacco cutworm. The B. t concentration of the product in this experiment was estimated as 2.8-3.1 x 109 CFU/ml. The B. t. concentration on the body of bumble bees that was captured as they exited hives with filled pathogen dispensers was 4.6 x 109 cfu/ml. At the laboratory bioassay, the mortality of tobacco cutworm was serially measured depending on the pathogen concentrations. At the cage trials, the B. t. delivered by bumble bees was detected in bees, flowers and leaves. Through the several trials, the control effect on the tobacco cutworm has been investigating. The side effect on bumble bee from the first trial was not found in this experiment.
        400.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vastating insect pests of the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were surveyed in environmentally friendly (no-pesticide and organic) greenhouses located in the provinces of Gyeonggi, Gyeongsang, Gangwon, Chungcheong and Jeju. Whitefly, leaf miner, aphid and moth were recorded as the major pests in these surveys. Among them, whitefly was the most serious pest of greenhouse cultivated tomato and major species was Trialeurodes vaporariorum. The population densities of T. vaporariorum was 0~36 nymph per leaf. Population of moths Spodoptera litura were the highest in summer season. Population of the whitefly wa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previous cultural methods. Farmers in organic cultivation, used insect natural enemy, commercial EFAM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 yellow sticky trap or home made pesticides. Commercial microbial pesticides were applied to evaluate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whitefly. The results revealed that microbial pesticides exhibited 65.3 to 100% whitefly nymph mortality. Further, pesticidal activities of Cooking Oil and Yolk (COY), plant extracts and neem oil were evaluated against other tomato pests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