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28

        401.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stomer engagement (CE) has commonly defined as a psychological state or process that leads to customer loyalty (Brodie, Hollebeek, Juric, & Ilic, 2011). CE research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due to its critical role in luring favorable customer experience and outcomes such as brand trust, affection, and future purchase intention (Harrigan, Evers, Miles, & Daly, 2017; So, King, Sparks, & Wang, 2016). Despite scholars’ continuous efforts in advancing the CE field of study, several limitations remain unaddressed. First, empirical research focuses primaril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E that are derived from individual dispositions (Harrigan, et al., 2017); thus, customer actual behavioral outcomes of CE are generally unexplored. Second, most, if not all, empirical research investigates the nomological network of CE based on individual-level factors (Khan, Rahman, & Fatma, 2016; So, King, & Sparks, 2014). Such an individual-level approach is important as it builds the necessary foundation of the CE domain of study. Yet, the roles of organizational strategic position are largely ignored, while organizational-level situational factors are rarely considered. This research aims to bridge the aforementioned research gaps by constructing both individual-level dispositions and organizational-level situational factors into an integrated framework. In particular, this research seeks to explore the roles of two organizational strategic initiatives – service environment and brand equity – on customer engagement and its impact on customer behaviors.
        4,000원
        402.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IVET) has emerged as a relevant technology in the marketing environment, with increased use in the retail context (O’Brien, 2016). As its use increases, there is a need to better understand its impact on consumer behavior and the experience that it deliv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hat captures the key constructs in understanding consumer acceptance behavior of the innovative technology used in marketing and how it impacts the brand experi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antecedents (i.e., message fit and personal innovativeness) that may impact user’s attitude toward the IVET advertisement and self-image congruence, and 2) the transfer of positive or negative IVET advertisement attitude to behavioral intention. Survey was distributed at a large Southern university in USA. Out of 213 survey completed, 143 was usabl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ith maximum likelihood method (AMOS 23). The results showed that message fi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d attitude and self-image congruence. Personal innovativeness had positive impact on ad attitude, but not on self-image congruence. Ad attitude had no effect on self-image congruence while having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ffline store and online store visit intentions. Lastly, self-image congruence influences both offline and online store visit intentio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valuation of the virtual world brand experience (i.e., attitude toward the IVET advertisement) is a strong predictor of user behavior toward the brand. A consumer’s interactions with a brand in the virtual environment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consumer’s desire to develop a relationship with the brand in other marketing channels, and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the marketer to assist in the buying process. Further, personal characteristic such as personal innovativeness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 their attitude toward the IVET marketing which further leads to consumer’s decision to visit the online and offline store. In addition, self- image congruence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user’s intention to visit the stores, such that consumers who perceive their brand experience as more consistent with their self-image are more likely to consider purchasing the brand in the real world. The results suggest that some consumers may tend to behave in ways that are congruent with their self-identity across marketing channels.
        403.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 this research, we want to explore the role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improving patients’ satisfaction through valuable hospitality management in hospital experiences. The impact of three experiential marketing dimensions on overall Satisfaction is assessed: Physical Environment, Empowerment & Dignity and Patient-Doctor Relationship. Methods 259 structured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patients in private and public hospitals across Ital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in testing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the selected variables. Results The study shows that: • perceived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 perceived quality of Empowerment & Dignity and perceived quality of Patient-Doctor Relationship partially mediate this relationship; • educational level is the only relevant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of Patient-Doctor Relationship and overall Satisfaction. Conclusions: Physical Environment items are enablers of both Empowerment & Dignity and Patient – Doctor Relationship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offering a strong value proposition to patients. Designing a hospital, beyond technical requirements that modern medicine demands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medical departments means dealing with issues like the anxiety of the patient, the stressful working environment for the hospital staff and the need to build a sustainable and healing building.
        5,200원
        404.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acism has changed its form over the decades and has become more subtle and indirect than the blatant forms in the past (Gaertner & Dovidio, 2005; Sue et al., 2007; Sue, 2010; Tropp & Molina, 2012). As a result,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for minority groups to identify and call them out (Sue et al., 2007). Subtle racism can be detrimental to minority groups in that they can deteriorate performances and when accumulated, they can have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Sue et al., 2007; Sue, 2010; Ong et al., 2013). Recognizing the issues regarding subtle racis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he following: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indirect discrimination in a retail context between racial minorities and majorities?; (2) Do minorities use different strategies to solve these situations and why?; and (3)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subtle discrimination in the retail environment?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 total of 599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Amazon Mechanical Turk.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ad either a racial microaggression scenario or a control scenario (a scanner unable to read a discount coupon) and they were asked to select why the incident happened to them. Further, they were asked to answer how they felt after reading the scenario and then respond to the outcome variables repatronage intention, word of mouth, and complaint int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Asians tend to attribute their racial identity as to why retail employees maltreated them. While Caucasians would simply state that an employee was busy or would not put much thought as to why a service failure occurred, Asians were more burdened by the thought that their race was an issue. After an employee showed subtle discriminations, Asians experienced less positive emotions than Caucasians, which resulted in them deciding to avoid the retail store. This may be due to their belief that they have less control over the situation and would rather not confront the employee or a manager on the issu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405.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ternet represents an increasingly relevant marketing channel for reaching foreign countries (Sinkovics, Sinkovics, & Jean, 201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ow Western firms can exploit digital platforms to enter and sell their products in the contradictory market of China: more advanced than the Western one but also with many restrictions. Drawing from a literature about Internet as communications (Bilby, Reid, & Brennan, 2016) and sales channel (Bai, McColl, & Moore, 2017; Deng & Wang, 2016; Petersen, Welch, & Liesch, 2002), we develop three propositions to be tested in China. We carry out a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interviews with seven key informants operating in the Chinese market. Findings discuss the peculiarities of the Chinese digital environment. We confirm that dealing with Internet in China is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therefore even if companies already have competences related to web marketing, they need to (re)learn how to use it and adapt their marketing strategies. Moreover, despite the growing role of the Internet as retailing channel in the Chinese market, we find that digital platforms do not substitute local distributors because of their primary in guanxi established. Internet has not substituted existing channel intermediaries but it has been rather added to them in a omnichannel strategy
        406.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cial media-based brand community becomes an important information channel strategy for marketing firms. Despite the growing academic interest in the issue, little knowledge exists on how social media-based brand community (hereafter SMBBC) could influence consumer brand evalu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remedy the literature gap by integrating the community integration model, engagement in the OBC or SMBBC, and consumer brand evaluation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MBBC environment on consumer brand evalu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402 respondents experienced in using SMBBC. The result revealed that SMBBC identification and company identific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engagement; whereas brand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MBBC engagement, peer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mpany identification. In addition, both brand engagement and SMBBC engagement are found to benefit corporate brand equity and corporate reputation, respectively.
        407.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economy and information technology, customers through the internet platform to participate in product development and innovation, dominant the spread of value proposition engagement spread, etc.,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creation of customer assets, as well as a profound change in brand management. This paper constructs a model of how the brand experience affects customer assets in the virtual branding community under the perspective of value co-creation, analysis the impact of value co-creation of customer participation (sponsored value co-creation and autonomous value co-creation), the motivation of value co-creation on brand experience, and then on customer assets. This paper also explores the regulatory effect of value proposition engagement in brand experience and customer asset. This study will use the involvement theory and the theory of stimulus-response for empirical research, an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consumers, using SPSS20.0 and AMOS20.0 statistical software on the relevance of relevant variables to grasp, and carries on the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of this paper will enrich the exposition and explanation of building a brand experience better through value co-creation in virtual brand community, and provide theoretical support and practical advice for the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customer assets.
        40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 is one of the important contents of marketing research in recent years. With the rise of internet economy in the world, more and more enterprises' marketing practices are involved in the marketing process of SNS based on social networks. The interaction between medium and audiences has broken through the non-face-to-face one-way communication mode and forms a twoway communication mode of the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 in the SNS environment. Based on the signaling theory and the social exchange theory, this dissertation clarifies the driving factors and mechanism between Fashion web celebrity and attributes and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 the South China, Middle and North China, there were N audiences who used SNS experience as survey target to conduct a survey. And analyzed these data with SEM software. The research found that between Fashion web Fashion web celebrity and attributes and SNS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identification,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identifica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customer equity. E-WOM on customer asset-driven process has a clear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 This not only enriches and develops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 but also provides guidance for enterprises to manage relationship of parasocial interactions. In addition, it also provides valuable theoretical guidance for enterprises to promote SNS marketing management practices.
        410.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sical smothering in a long time and toxic components due to the oil spill and oil slick disasters can not only affect directly, very seriously marine creatures, plants and life of other animals but also they pollute the air environment and reduce the health of human. Some activities such as the waterway accidents, the tanker or bilge discharges, and the acts of wanton vandalism are the main causes that pollute the ocean environment. The regulations of many countries such as the prevention of oil spill, reducing maximally the effects of the oil spill, and speeding up the oil spill degradation are to aim at treating and recovering fast, efficiently oil spills and oil slicks. The selection of suitable techniques for oil spill recovery and treatment depends on many factors such as the spilled oil volume, oil type, weather conditions (wind velocity), sea conditions (current velocity and wave height), cost and the fact situations of each country. In this paper, four methods used for oil spill recovery including physical-, chemical-, thermal-, and biodegradation method are introduced. The structure of mechanical devices including booms, skimmers and absorbent materials, the properties of chemicals such as dispersants and solidifies, the methods based on the thermal technologies, the major microorganisms for oil degradation for oil spill recovery, treatment and cleanup are analyzed. Each mentioned method also show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s well as its applicability. The selection of suitable method for oil spill recovery purpose on the basis of the available equipment and techniques must be ensure that the collected oil spill volume is the largest, the period of time for recovery process is the shortest, aiming at minimizing the negative effects on the human, marine ecosystem, social economy.
        4,800원
        41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IS는 상대선박의 식별 및 정보 등의 전송을 담당하는 주요 항해통신설비이지만, 최근 AIS 활용도의 증가로 과부하 문제 등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SMART-Navigation 사업 추진의 일환으로 연안 100 km에 무선 LTE망을 도입하는 계획을 수립 중에 있고 해양사고예방 및 환경보호 등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Platform 위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발·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개발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통신기술(WAVE)을 해상에 적용하고자 실선 해상실험을 통 해 WAVE 환경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도로교통에서는 최대 1 km 내로 서비스가 제한되었지만 해상에서는 약 5마일 정 도의 통신범위에서 신뢰성 높은 Data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충돌 회피 및 선박간 해양안전정보 전송 등 해양사고 예방에 WAVE 통신기술이 다양하게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1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현대적 국가는 UN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을 비준하여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세계해사기구에서 1996년에 노인 및 장애인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여객선의 설계 및 운영에 관한 권고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 시행되어 선박, 차량, 항공기, 철도 및 여객시설에 장애인편의시설이 신속하게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해상교통환경은 안전에 관한 관심에 비하여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에 대한 해상교통환경을 개선하는 기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안여객운송의 상당부분을 담당하는 유선과 도선 및 소규모 항구는 관련 법규의 적용이 제외되어 있었다. 또한 선박과 터미널에 장애인 교통편의시설의 설치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낙후된 장비를 고려하고 있었다. 따라서 법령의 보완과 향상된 장애인 교통편의 시설을 신속하게 구축하여 인류보편적 가치인 장애인에 대한 인권을 보호해야 한다.
        4,000원
        416.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loride-based deicing material is excellent to dissolve ice and snow in economical but they accelerate deterioration of concrete or corrosion steel reinforced concrete. Chlorine ions contained in the chloride-based deicing material currently used act as catalysts for accelerating corrosion when the air-void level is above a concentration level, even if the airvoid retain the proper alkali level. Environment-friendly CMA based deicing material has been difficult to use due to high unit prices in the past, but recently prices have stabilized. As an environment-friendly deicing material agent citric acid, which is a typical organic acid in citrus fruits, plays a role of controlling pH and preventing oxidation. This is effective against reducing steel corrosion and concrete deterioration. In the long term, environment-friendly deicing material is economical considering the damages of structures due to existing chloride-based deicing material. Although environmnet-friendly deicing material has these various advantages, they are inferior in performance to existing chloride-based deicing material. This study suggests proper utilization methods through analyzing the effects of existing chloride-based and environmentfriendly deicing materia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om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 similar level of ice-melting effects of existing chloride, but the effect of chloride-based deicing material is relatively good. This suggests that the performance of ice-melting is inferior only with the use of the environment-friendly deicing materi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deicing methods using with environment-friendly deicing material such as sand and other friction material. Further, it is considered that if the frozen area is predicted in advance and spraying is possible, the environment-friendly deicing material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41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education on undergraduate student’s health,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A total of 54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n undergraduate student in Seoul. We conductive quantitative analysi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s recorded by photovoi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food behavior in the field of health (p<0.001). In the field of health, photovoice data were categorized as ‘health care practice’, ‘Korean dietary lifestyles’, or ‘awareness of importance of health’ (p<0.001). In the field of environment, photovoice data were categorized a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lifestyle’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minimization’(p<0.001). In the field of consideration, photovoice data were categorized as ‘gratitude for others’, ‘joy of cooking’or ‘eating meals together’(p<0.01). In conclusion, we found that dietary education about health,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may affect healthy dietary lifestyl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ur findings may warrant further studies to develop significantly effective dietary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4,000원
        41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조선후기는 전통사회의 마지막 부흥기로 전통시대 문화의 발전이 성숙되었으며, 정원 조영 또한 상류문화의 하나로 절정을 이루었다. 당시의 지식층이었던 사대부들은 정원을 통해 자신만의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록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작된 의원기는 당시 사대부들의 정원문화 속에서 파생된 결과물 중 하나이며, 의원은 그들이 누리고자 했던 정원문화가 반영된 상상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의원기에 나타난 의원의 모습은 작자의 실제 원림 소유의 유무와 관계없이 가상 공간속에서 그들이 이상 적이라 여기는 자연의 발견과 재구성으로 이어졌으며, 저작 이라는 실천적 행위를 통해 이상향을 완성해가는 문화적 면모를 지니고 있다. 일례로 구곡유거기 말미에 ‘서씨와 염씨가 사는 곳을 보니 완연히 내 마음속에 그려보았던 곳이 다’는 내용은 의원기에 나타난 이상적 생태공간이 실제 실현 가능한 범주 내에서 형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 서 의원기를 살펴보는 과정은 당시 사대부들이 희구했던 생태적 상상 환경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저작된 사대부들의 의원기의 내용 분석을 토대로 의원의 입지, 공간구성 및 구성요소들을 살 펴봄으로써 당시 정원에 구현하고자 했던 생태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의원의 입지는 대부분 풍수지리 사상을 토대로 조 성된 공간을 지목하고 있다. 도성 안에 외지고 조용한 곳을 터로 잡은 이용휴의 「구곡유거기(九曲幽居記)」 외 다른의 원기에서는 ‘산을 뒤에 두르고 시내를 앞에 둔 집’, ‘산봉우리가 돌아서고 산언덕이 굽이치는 곳이나 숲이 아늑하고 개울물이 여유 있게 흘러가는 곳’, ‘물을 접하고 있는 산’, ‘아름다운 산수’, ‘숲과 계곡이 울창한 곳’ 등 공히 배산임수 형국의 입지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제황상유인첩에 나타나는 의원의 입지는 복지(福地), 국세(局勢)가 맺힌 곳 등 풍수 지리적 요소가 확인된다. 이용휴의 의원 또한 깊은 산 속의 골짜기에 자리 잡고 있지 않으나, 도성안의 석벽을 담으로 삼는다는 내용은 주변의 산악지형에 둘러진 곳을 정원 으로 삼았으며, 이는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이운지 (怡雲志)」 편의 암서유사(巖棲幽事)의 기록과도 유사한 입지와도 관련이 있었다. 둘째, 의원의 공간구성은 규모면에서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집과 주변의 작은 뜰로 구성된 단순구조와 내원·외원으로 구분되는 넓은 지역에 다양한 기능과 장소성을 부여한 구조로 구분되었다. 구곡유거기와 허균의 편지에 나타나는 의원은 각각 집 주위 약간 평의 땅을 개간하고 남새밭을 일구거나 집 남쪽에 넓은 뜰을 두었다. 제황상유인첩이나 숙수념의 경우 내원과 외원으로 구분되는 대규모 정원으로 건물이나 정원시설 등에 의해 각기 다른 장소성을 지니는 공간구성이 확인되었다. 제황상유인첩의 의원은 여러 채의 건물 내에 화분을 심은 내원과 연못이나 산골짜기 물이 흐 르는 남새밭 등 수경관 중심의 외원으로 구분되는 등 담장 으로 둘러진 공간뿐만 아니라 주변의 산림 또는 계곡 일부 를 의원의 영역에 포함시켰다. 숙수념 또한 각기 다른 기능을 지닌 건조물 7개소와 6개의 별원이 내원에 포함되어 대규모 정원의 형태임을 짐작할 수 있으며, 외원에 해당하는 오로원은 이보다 더 큰 규모로 둘레가 사십리에 달하는 숲과 계곡이 울창한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이외에 임원경제지에 기록된 의원은 한가하게 독서를 하거나 농사를 짓는 등 처사의 삶을 표방하고 있으나 공간구성상 의원에서 행해 지는 향유행태에 따라 별도의 건조물을 두는 등 규모면에서 작지 않은 구성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의원에 조성된 공간구성요소는 원예나 완상 등의 향유 행태를 통해 남새밭과 대밭, 화분, 각종 화목 및 과실수를 두었으며, 정원 요소로는 연못과 정자 등을 배치했을 것으로 보인다. 소규모의 의원을 설정한 이용휴와 허균은 공 간의장요소로서 화단이나 화분, 수석 등 점경물로 이용할 수 있는 요소들이 주로 확인되었다. 이용휴는 처마 앞에 꽃 과 수석을 놓았으며, 특히 계절별 다양한 경관을 누릴 수 있도록 개화시기가 다른 꽃을 심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허균은 건축물 주변을 온갖 꽃과 대나무로 둘러진 곳으로 꾸몄으며, 전정(前庭)에는 패랭이꽃과 금선화를 심은 화분과 화단, 괴석 등을 배치하였다. 한편, 대규모의 의원을 설정한 임원경제지에서는 부용(芙蓉), 대나무, 매화, 토란, 밤나무 등의 수목을 식재하였으며, 특기사항으로 수목식재를 통한 경관구성 이후에 각 건축물들이 배치되는 과정은 일반적인 정원이 건축물의 조성 이후 이를 중심으로 경관연출이나 공간구성요소의 배치가 이루어지는 반면, 의원은 건물 중심의 공간에서 벗어나 외부 생태공간 조성에 중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제황상유인첩의 의원에는 수백 묘(畝)의 전답과 연꽃이 심겨진 연못과 호수, 남새밭, 초각(草閣)과 대나무 숲 등의 요소들이 확인되었으며, 숙수념에 나타나는 의원에는 폭포와 동굴, 대나무 숲, 강과 계류를 포함하고 주변에 정자와 대(臺)를 조성하여 정원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의원기에 나타나는 의원은 배산임수 형 국의 풍수적 입지를 지니며, 공간의 구성과 영역의 설정에 주거 목적의 건축물과 주변의 남새밭 또는 뜰이 결합된 공 간구성이 확대되어 주변의 산수를 외원으로 포함하기도 하였다. 또한 규모에 따라 건축물 주변이나 내원에는 화단이나 화분, 괴석배치 등의 공간구성요소가 확인되었으며, 외원에는 다양한 자연요소를 포함한 영역 내부에 과실수나 화목의 식재, 연못 또는 정자와 같은 정원시설의 설치 등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특성들은 작자의 태도에 따라 그 입지와 규모, 공간구성, 정원 내 요소의 다양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집터를 잡고 정원을 꾸려나가는 과정이 공히 기록되고 있어 상상 환경속의 텍스트에서 그치지 않고 당시 시대적 배경이 반영된 생태적 환경의 표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1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참억새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내 미립목지, 경작지 주변, 묘지주변등 주로 목본식물이 생육하지 않는 광량이 풍부한 각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생육하고 있다. 현재 참억 새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특성상 자연 천이에 의해 지속적 축소가 예상되며 그에 따른 빠른 쇠퇴가 진행되고 있는 중 이다. 참억새군락은 지역관광자원으로 대표적 가을 경관 중 하나로 참억새군락의 생육상태가 점차 쇠퇴해지고 있는 반면 방문객들의 관리요구는 도리어 높아지고 있다. 유명한 참억 새군락이 있는 지자체들은 참억새군락 보전관리유지에 많 은 고민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참억새군락을 자연에 맡겨 경관의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지, 아니면 참억새군락 경관 유지를 위해 참억새군락을 집 중적으로 관리하여 방해극상의 개념으로 참억새군락 경관을 유지해야 할 것인지가 해결해야 할 딜레마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참억새군락의 보전유지관리 여부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참억새군락 생육환경과 생육상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참억새군락 경관보전가치를 추정하였다. 먼저 참억새군락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 료 활용 모색으로, 부산 도심지에 위치한 대규모 참억새군 락으로 유명한 승학산을 대상지로, 참억새군락의 생육환경과 생육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더불어 화왕산과 재약산의 참억새군락의 생육환경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첫째, 산림지역의 참억새군락은 참억새군락의 생육을 방 해하는 수목들의 생장이 좋지 않은 유효토심이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둘째, 현존식생 현황은 화재 등 교란이후 숲의 천이가 진행되는 과정에 있는 지역으로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식물군집구조현황은 참억새군락의 피도에 따라 관목의 유입정도, 초본식물별 피도 등을 고려하여 조사하였는데, 산불발생이후 유기물의 축척에 따라 토양환경이 변화되고 있으며, 천이의 과정상 자연스럽게 목본식물이 이입되고 있어 참억새군락의 쇠퇴가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현재의 승학산은 부영양화 된 토양으로 다른 습윤지성 목본식물군락으로의 천이가 예상되고 있어 참억새군락의 생육을 오랜 시간 지속유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비용효율적인 참억새군락 관리를 위해 전체적인 참억새군 락의 유지보다는 탐방로에서의 가시권과 조망점에서의 가 시권과 같은 시각경관을 분석하여 관찰이 용이한 지역의 집중적 관리가 효과적인 참억새군락 경관관리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연구로 문화서비스(cultural services) 측면에서 참 억새군락의 지속가능한 자연자산자원으로서의 경관보전가치 평가를 위해, 대규모 참억새군락으로 유명한 승학산, 화 왕산, 재약산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3개 대상지의 탐방객 들을 대상으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으로부터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해 참억새군락 경관의 공익적 가치를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있어서는 공통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대상지를 많이 방문하였고, 그 중 화왕산은 남성 방문객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은 승학산과 화왕산의 경우는 적극적이다가 약 60% 내외로 탐방객들은 생활에서 환경을 위한 작은 실천들을 하고 있다고 답변을 하였으나, 재약산의 경우 응답자들이 보통 이하의 답변이 높게 나왔다. 셋째, 이중경계 로짓모델에서의 t-값의 유의확률을 보면 승학산의 경우, 수입과 환경보전 노력에 관한 변수들이 ‘예’ 라고 응답할 확률이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수입이 높을수록 환경보전노력을 많이 하는 탐방객일수록 제시액에 ‘예’라고 응답할 확률이 높아 짐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투입된 변수로 추출된 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한 이중경계에서의 로짓모델의 1인당 참억새군락 경관가치에 대한 평가는 승학산(38,277원), 화왕산(38,648원), 재약산 (48,891원)으로 전체 평균은 38,679원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참억새군락 경관가치는 영화 1회 관람비나 놀이 공원 입장료등의 현 시세 물가와 비교하였을 때 탐방객들의 지불의사가 높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탐방객들이 참억새군 락 경관을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자연자산가치로서 인식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2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되면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주로 상업분야(미디어, 레크리에이션, 농업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인공위성 및 항공영상에 비해 적은 운용비용과 효과적인 자료 취득이 가능하여 공공(감시·관리, 기상·관측 등), 연구(환경, 지리정보, 해양관측, 원격탐사 등)분야에서의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술의 잠재성과 사회적 관심에 비해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환경·생태 분야에서의 활용은 시작단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UAV와 관련한 공간정보의 발전 추이와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UAV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관련 연구동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세부적인 연구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 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최근 환경·생태 연구 분야에서 UAV와 관련하여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연구 주제들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 자료의 검색은 UAV를 제목으로 하는 1997~2017년 사이의 논문으로 하였다. 자료의 검색은 Thomson Reuters사의 Web of science에 등재된 연구논문 중 KCI, SCI, SCIE에 한하였으며 등재후보지 및 기타 문헌은 제외하였다. 분석 방법은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텍스트 마이닝과 동시출현 단어 분석을 통해 시계열적인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 분야 분류를 통해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논문 수와 발행 시기를 고려하여 두 개의 시기 (97-13, 14-17)로 구분하였으며 세부연구 분야의 비중을 비율로 살펴보았다. UAV 관련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록에 사용된 단어 및 단어구의 동시출현 빈도 분석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기준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첫째,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는 제외하거나 동일한 단어로 치환하여 분석하였으며(ex. UAV, UAS, Smart UAV, Unmaned Aerial Vehicle 등) 20회 이상 출현된 단어 및 단어구만 한하였다. 둘째,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에 출현한 단어를 선정하였다. 셋째,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 중 주제어로 판단되기 어려운 일반적인 단어, 조사 등은 주제단어의 적정점수(relevance score)의 상위 60%에 해당하는 단어에 한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국내논문은 745편, 국외는 3,858편이며 연도별 논문 발행 수는 매년 30편 이내였지만 14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5~17년에 발행된 논문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집된 논문을 기반으로 추출된 단어 및 단어구는 국내의 경우 13,359개, 국외는 73,628개로 나타났다. 분석은 2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1단계에서 공출현 행렬 값을 기반으로 카테고리들 사이의 유사성을 Association Strength(관계강도) 산출식으로 계산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계산된 유사성을 기초로 2차원 맵을 생성하였으며 유사성이 높을수록 단어의 위치가 근접하며 낮을수록 먼 거리에 배치된다. 맵의 가독성과 관련하여 발생 빈도 따라 단어의 크기 및 연결강도에 따른 연결선의 수를 설정하였다. 주제 단어로서의 적정점수 이상을 획득한 단어를 최종적으로 추출한 결과 국내는 173개, 국외는 477개가 나타났다. 유사도에 따라 연구영역을 클러스터링 한 결과 국내 UAV 관련 연구는 7개, 국외는 8개의 주요 분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연구 영역별로 출현빈도와 관계강도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외부터 살펴보면 Cluster1은 “원격탐사 기술/자료 활용(분류, NDVI, LAI, 산림, 온도 등)”, Cluster2 “항법기술(회피, 추적, 편대비행, 자율, 협조 등)” Cluster3 “비행기술(안정, 조종, 궤적, 추적 등)”, Cluster4 “원격탐사 기술/자료 활용(분류, NDVI, 온도 등 )”, Cluster5 “비행 성능(연료, 모터, 형태 등)”, Cluster6은 “무인항공 기술/산업 동향”, Cluster7 항법관련 알고리즘/센서(정찰, 회피, 인식 등)”, Cluster8 UAV SAR(대형 무인기, 레이더 등)로 나눌 수 있다. 2013년 이전에는 Cluster2, 5, 7, 8 영역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기체개발 및 항법기술과 관련한 기초 연구가 이에 해당된다. 14년부터 현재 까지는 Cluster1, 3, 4, 6에 해당 되는 연구로서 원격탐사 기술, 자료 처리 및 활용에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내의 결과를 살펴보면 Cluster1은 “무인항공 기술/산업 동향”, Cluster2는 “원격탐사 기술/자료처리 (RGB, DEM, DSM 등)분석”, Cluster3 “비행성능(조종, 비행, 엔진 등)”, Cluster4 “기체 성능(연료, 모터, 형태 등)”, Cluster5 “원격탐사 기술/자 료 활용(분류, NDVI, 온도 등 )”, Cluster6 “항법기술(알고리즘, 회피, 객체 등)”, Cluster7 “원격 조종(안테나, 지상조정, 항로 등)” 로 분류되었다. 국외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영역으로 클러스터링 되었지만 연구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핵심 단어의 출현 시기와 단어들 간의 관계강도, 다양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국내는 UAV 기술 현황, 활용성을 주제로 한 기초연구 의 비중이 높았지만 국외의 경우 UAV 원격탐사 기술 통한 자료 수집 및 분석에 관한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경·생태 분야와 관련한 연구 영역은 국외는 Cluster1, 국내는 Cluster5에 해당되며 출현 단어를 살펴보면 Canopy, Classification, Forest, LAI(Leaf Area Index),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Temperature, Tree, Atmosphere 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단어는 최근 주목 받은 연구 주제로서 UAV 광학센서 기술의 고도화와 영상처리기술 의 발전으로 기존의 공간정보에서 얻을 수 없었던 자료 획득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연구 동향에 따라 국내 에서도 최근 관련 논문이 증가하는 것은 향후 연구되어야 할 주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환경·생태 분야에 있어 효과적인 UAV 이용 방안과 한계점 제시를 위한 1단계 연구로서 국내·외 UAV 관련 연구동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환경·생태 분야에 활용도가 높은 기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향후 다양한 UAV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한 데이터 수집·분석·검증 과정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