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0

        421.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ringe tree, Chionanthus retusus (Oleaceae) has been used as a natural remedy that helps a paralytic stroke, dementia, phlegm and malar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the flesh of C. retusus by reflux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nd 80℃, and pressure heating extraction at 110℃, for an increment of their practical use.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from the flesh of C. retusus was 67.94% extract by pressure heating extraction at 110℃.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compounds was the highest by 72.71 mg/g in 80℃ extract by reflux extraction.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flavonoid compounds was 7.60 mg/g at 110℃ extract. The results of soluble protein and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4.93 mg/g and 46.77 mg/g in 110℃ extract,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l extracts showed an excellent effect of 92% in 1.0 mg/mL concentration. The highest effect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88.67% at 110℃ extraction in 1.0 mg/mL concentrati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the highest as 66.16% at 110℃ extract at pH 1.2 and 1.0 mg/mL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SOD-like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effect of 14.95% and 59.45% at 110℃ extract in 1.0 mg/mL,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for whitening effect was the highest of 35.31% at 85℃ in 1.0 mg/mL. In the analysis of anti-aging effect,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showed the highest effects of 37.78% at 110℃ and 20.39% at 80℃, respectively. All results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ging effects increased along with the concentration increas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tracts extracted from the flesh of C. retusus at 80℃ and 110℃ have a large amount of useful ingredients, an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like a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aging effects to develop functional products than those of 25℃.
        422.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by extraction methods. The yield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was 15.23% and 17.45%, respectively.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ethanol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LEE) were 17.17±4.38 mg/g, 35.06±6.69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SOD like activity, and ABTS radical ability of all Ligularia fischeri extracts wer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those was the highest in LE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higher in pH 1.2 than that in pH 3.0, and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ability in pH 1.2 and 3.0. The xanthine oxidase and inhibition effect of all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tyrosinase were dose-dependently increased, and those was the highest in ethanol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Reducing power was 1.2 at extract concentration 1,000 μg/mL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and the highest in water extract of Ligularia fischeri at concentration of 62.5-500 μg/mL.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with Ligularia fischeri.
        42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surfactant to extract higher phenolic compound,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artary buckwheat and evaluate the potentiality of surfactant as a screening agent for breeding purpose. Primarily, we employed two types of surfactant (Hydrophilic: Tween 20 and Lipophilic: Span 80) to select the suitable surfactant agent for the extraction of optimum bioactive compounds. Between two surfactants, Tween 20 showed highest efficiency at 4 mM concentration to extract total phenolic content (TP), total flavonoid (TF) and antioxidant activity (AA). Tween 20 at 4 mM concentration was fixed for further analysis along with hot water (90℃) treatment as a control. In our findings, highest TP (118 ㎎/g), TF (38 ㎎/g) and AA (76%) was achieved in KW21 and KW22 among the fifteen accessions of Tartary buckwheat. In other way, TP, TF and AA was 200%, 120% and 110% higher in surfactant formulation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respectively.
        42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접 탄산화(indirect method) 및 양이온 공급원으로 사문암(serpentinite)을 이용하여 광물탄산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와 사문암 내 알칼리 토금속(칼슘과 마그네슘)의 탄산화 반응을 통해 고 순도의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을 합성할 수 있었다. 마그네슘 추출을 위해 황산암모늄을 사용하였고 Mg 추출률 향상을 위해 황산암모늄 농도, 반응온도 및 사문암과 추출 용매의 비(고액비) 등 여러 반응 변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2 M 황산암모늄을 사용하여 300℃ 반응온도에서 고액비(5 g/66 mL) 실험을 진행한 경우 약 80 wt% 이상의 Mg를 얻을 수 있었다. Mg 추출률은 추출 용매 농도 및 반 응온도와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사문암의 Mg 추출 과정에서 얻어진 암모니아(NH3)는 회수하여 탄산화 과정에서 필요한 pH 복원제(pH swing agent)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약 1.78 M 암모니아를 회 수할 수 있었고 지구화학 모델링을 통해 사문암의 Mg 추출 과정의 핵심 단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425.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새싹보리를 이용하여 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생리활성물질의 최적 추출구간을 설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에탄올 농도(0-100%),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60-300 W), 추출시간(4-20분)을 종속 변수로 설정한 후, 빠르고 추출 수율이 좋은 마이크로웨이브추출법을 이용하여 16구의 다른 추출 조건을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설정 하여 새싹보리를 추출하였다. 이 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을 측정하였다. 모든 회귀식의 R2는 0.9 이상으로 5% 수준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폴리페놀의 최적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58.94%,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209.04 W, 추출시간은 18.17분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의 최적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52.7%,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73.03 W, 추출시간은 5분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의 경우, 에탄올 농도 75.84%,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210.79 W, 추출시간 은 6.5분으로 나타났다. 조건에 따른 TPC, TFC 그리고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의 예측값 은 각각 3.84 mg GAE/g, 3.00 mg RE/g 그리고 35.43%의 수치를 나타냈다. 최적 범위 내 임의의 점, 즉 에탄올 농도 40%, 마이크로웨이브 전력 120 W, 추출시간은 18분에서 실험값은 3.38 mg GAE/g, 2.64 mg RE/g, 그리고 37.94%를 나타냈으며 예측값과 실제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다.
        426.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상 처리에서 전경 이미지 추출은 움직이는 대상이나 객체를 인식하려는 경우에 주로 응용 된다. 게임에서 전경 이미지에 포함되는 객체들은 주로 캐릭터와 NPC(Non Player Character), 아이템 등이 될 수 있다. 이 객체들은 플레이어들의 이동, 공격, 방어, 수집의 대상이 되는 객체 들로 플레이어들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플레이어들의 관 심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첫째, 전경 이미지를 추출한다. 둘째, 추출한 전 경 이미지를 일정시간 누적시켜서 히트맵(Heat Map) 이미지를 결과 이미지로 보여준다. 마지막 으로 마우스 트랙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우스 이동 영역을 검출하고 히트맵 이미지와 비교 함으로써 플레이어의 관심 영역을 유도할 수 있다.
        427.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extracts from Hizikia fusiforme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hot water extraction, autoclave extraction and high pressure extraction) were investigated. The amounts of substances related to poly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autoclave extract (30.51 mg/g and 4.78 mg/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autoclave extract (81.80%) at the 5 mg/mL. Autoclave extract exhibited the strong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mong the three extraction methods. However, ferrous ion chelating, TBA reactive substanc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y of high pressure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Additionally, th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ies of high pressure extract with a concentration of 1 mg/mL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of Hizikia fusiforme have a potential to act as functional materials, and autoclave and high pressure extractions are superior to hot water extraction for enhancement of the biological activity.
        428.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unctional compounds including flavonoids, anthocyanins, polyphneols and antioxidants were extracted from blue honeysuckle (Lonicera caerulea L.) using highly effici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And extraction process was modeled and optimized according to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independent variables (Xn) were ethanol concentration (X1: 0, 25, 50, 75, 100%), irradiation time (X2: 1, 3, 5, 7, 9 min), and microwave power (X3: 60, 120, 180, 240, 300 W). Dependent variables (Yn) were total flavonoid contents (Y1), total anthocyanin contents (Y2), total polyphenol contents (Y3) and antioxidant activity (Y4). Four-dimensional response surface plot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fitted second-order polynomial models to get optimal conditions. Estimated optimal conditions for 4 responses were ethanol concentration of 54-72%, irradiation time of 7.1-7.6 min, and microwave power of 243-251 W. Ridge analysis predicted the maximal responses of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anthocyanin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38.00 mg RE/g, 6.80 mg CGE/g, 14.90 mg GAE/g, 89.10%, respectively. Verific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predicted optimal conditions and experimental values for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anthocyanin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38.10 mg RE/g, 6.72 mg CGE/g, 14.91 mg GAE/g and 89.13%,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predicted and experimental values, indicating good fitness of fitted model and successful application of RSM.
        431.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rctii Radix (the dried roots of Arctium lappa L., AR) i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oxidative stress related diseases including cancer.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AR as extraction solvents. Methods and Results : To increase the extraction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AR were extracted by ethanol (ARE) and water (ARW). In order to determine active ingredient content of AR, we were carried out total polyphenolic (TPC) and flavonoid content (TFC) analyses. As a result, TPC (47.74 ± 1.02 g․GAE/㎏ extract) and TFC (19.34 ± 0.30 g․CTE/㎏ extract) of ARE were found significantly higer as compared to ARW. The IC50 values based on the DPPH (59.00 ± 3.25 ㎍/㎖), ABTS (93.20 ± 1.30 ㎍/㎖), ROS (57.78 ± 3.44 ㎍/㎖) and ONOO- (14.56 ± 1.24 ㎍/㎖) for ARE were generally stronger showing potential antioxidant properties compared to ARW. Conclusion : Data from results revealed Arctii Radix ethanol extracts act as an antioxidant agent due to i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432.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Extraction is the first and the most important step in the recovery and purific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materials. Many important factors such as solvent, solvent composition, solvent to solid ratio, pH, and temperatur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bio-active compounds. Factorial design of a limited set of variables is advantageous wh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which varies a single parameter per trial. Methods and Result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creen independent factors, namely, ethanol concentration (60 – 100%), extraction temperature (40 – 80℃), time (6 – 18 hours), and liquid to solid ratio (10 – 50 ㎖/g) on the recovery of the extract yield,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af using factorial design. Total flavonoid content of extract was determined by colorimetric method with aluminum chloride, while antioxidant activity was screened us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AC and FRAP assays. Full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above factors towards antioxidant capacity (TEAC, DPPH and FRAP), and flavonoid contents. Among, all the factors examined,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emperature are very significant (p < 0.0001), in obtaining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otal flavonoid contents. Conclusion : Two level full factorial design screening was successfully employ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are ethanol concentration, temperature, time and liquid to solid ratio in contributing to high antioxidant capacity (TEAC, DPPH and FRAP), and flavonoid content determination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af. From the results obtained, ethano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was very significant (p < 0.0001), in obtaining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Further work on optimization using these significant factors are in progress.
        433.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tevia extracts were reported to contain steviol glycosides like stevioside and rebaudioside A, as well as various polyphenol compounds.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 in researchers with extract methods, considering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optimum extraction method based on reported methods by measuring the natural sweeteners contents, analyzing antioxidant materials and activity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Method and Results : Stevia leaves were extracted through vacuum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soxhlet extractio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to identify the high extraction efficiency. Extraction yield was high in order of hot water extraction, soxhlet extractio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except for vacuum extraction and contents of rebauduoside A and stevioside in stevia leaves was highest i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extraction followed by vacuum extraction, soxhlet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Also,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high pressure extraction and vacuum extraction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Bu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ultrasonic extraction and tended to be rather low i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 hot water extraction > high pressure extraction > soxlet extraction > vacuum extraction) and there wa no difference i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extraction methods. Conclusion :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extraction is considered to be a suitable method for extracting stevia leaves because it showed high extraction yield and had high contents of rebaudioside A, steviosid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lavonoid contents.
        434.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Purple potato contain sufficient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which has high antioxidant capacity. Due to poor water solubility of phenolic compounds and quick oxidation of anthocyanin, we could not get maximum health benefits from purple potato. Therefore, we developed surfactant based aqueous nano suspension to enhance the solubility of phenolic compounds and protect the oxidation of anthocyanin from purple potato. Methods and Results: Two types of surfactant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based on hydrophilic-lycophilic balance viz. Brij and Span. In our study, lycophilic surfactant showed highest efficiency in TP extraction compared to water and lipophilic surfactant below 10 mM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lipophilic surfactant showed highest efficiency in extracting flavonoid content.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hydrophilic surfacta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henolic compounds five times, and lipophilic surfactant increased flavonoid two times, and anthocyanin three times compared to control. Therefore, total antioxidant capacity was increases two times compared to control.
        435.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은 22.1 MPa의 압력하에 100℃ - 374℃의 온도범위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며, 이를 아임계수라 한다. 아임계수 조건에서 물은 분자간 수소결합이 약해지면서 유전상수, 점성, 표면장력이 감소되어 유기용매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게 된다. 원유오염토양은 전남 여수지역 공단 내에 있는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이용하였으며, 오염기간은 약 1년이며 저분자성 휘발유류성분 및 고분자성 유류로 오염되어 있었다. 초기 오염된 TPH농도는 16,895 mg/kg였다. 원유오염토양은 고분자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존정화방법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아임계수 특성을 이용하여 원유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친유성 용매인 등유를 이용하여 토양으로부터 원유 일부를 탈착(전처리)시킨 후, 아임계수로 토양 내에 잔류되어 있는 유류성분을 제거하는 실험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아임계수 추출만을 적용하였을 경우와 등유 전처리가 추가된 경우의 제거율과 정화공정상 효율을 비교하였다. 아임계수 추출 시 275℃에서 2시간 추출을 5회 반복 진행하였을 때, 토양 내의 잔류 유류 농도가 498 mg/kg(제거율 97%)로 나타났다. 등유 전처리(토양 : 등유=1 : 0.5 wt%)후 아임계수 적용시 250℃에서 1시간동안 추출 시, 토양 내 잔류 유류 농도는 223 mg/kg로 나타났다. 적용된 두가지 공정 모두 토양1지역 우려기준(500mg/kg)이하로 정화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등유전처리가 포함된 공정이 아임계수 기술만을 적용하여 추출을 진행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또한 등유 전처리가 추가된 아임계 공정이 추출시간, 공정수, 투입에너지(가열)에 있어 경제적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원유 오염토양의 아임계수 정화공정에서는 등유전처리 도입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36.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은의 노출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수은협약이 2013년도에 채택되었다. Article 9에서는 토양, 수계 및 폐기물로 배출되는 수은의 관리를 요구하고 있으며, 수은 오염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 폐기물은 용출시험기준치 만족 여부에 따라 지정폐기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매립처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안정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수은화합물은 용매의 pH조건에 따라 용출되며, 매립지 환경으로 유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용출시험기준은 폐기물에 함유된 불안정한 형태의 수은화합물을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시설 배출 폐기물을 대상으로 폐기물용 출시험법(KSLT)과 TCLP 및 단계별 용출법(SEP)을 적용하여, 용매의 pH와 시험방법에 따른 수은화합물 용출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산업시설부산물(폐슬러지 (S1), 폐토사 (S2), 비산재 (S3))을 대상으로 3가지 시험법을 적용하였다. 5단계로 구성된 SEP를 적용하였으며, 각각 증류수(1단계), 0.1M CH3COOH+0.01M HCl(2단계), 1M KOH(3단계), 12M HNO3(4단계) 및 Aqua regia(5단계)를 용출용매로 사용한다. EPA Method 7470A를 적용하여 용출시험액의 수은 농도를 분석하였다. 1,2 단계에서 용출되는 수은화합물은 불안정한 형태로써 환경으로 쉽게 유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1의 경우, KSLT 및 TCLP 용출액 수은농도는 각각 0.012 mg-Hg/L 및 0.194 mg-Hg/L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SEP 1단계 0.013 mg-Hg/L, 2단계 0.167 mg-Hg/L로 분석되었다. SEP 1단계와 KSLT(pH 5-6) 그리고, 2단계와 TCLP(pH 2)의 결과값의 비교를 통해 pH가 용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해당시료는 KSLT의 기준치를 초과하여 지정폐기물로 분류되나, TCLP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용출시간, 교반방법 및 고액비 등의 시험인자가 수은화합물의 용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두 시험법의 직접적인 비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437.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제수은협약(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의 채택에 합의함에 따라 회원국들은 수은사용 및 배출 저감에 대한 관리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지정폐기물은 시료특성에 따라 적정처리하며, 일부는 매립하여 최종 처분한다. 용출시험기준을 만족하더라도 매립된 폐기물에 불안정한 형태로 함유된 수은화합물은 최종 매립 후 환경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 및 처리 후 발생하는 부산물을 대상으로 수은에 대한 안정도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UV램프 폐형광체를 대상으로 500℃ 및 600℃에서 열적처리를 진행하였다. 발생하는 잔류물을 대상으로 총 5단계로 구성된 단계별 용출법(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SEP)을 적용하여 시료에 함유된 수은 화합물의 안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단계별 용매로써 증류수(1단계), 0.1M CH3COOH+0.01M HCl(2단계), 1M KOH(3단계), 2M HNO3(4단계) 및 Aqua regia(5단계)를 사용하였다. 1~3단계에서 용출되는 수은화합물은 안정도가 약해 환경으로 쉽게 유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5단계의 것은 강한 화학적 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동성이 낮아 안정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1~3단계를 S1, 4~5단계를 S2로 분류하여 수은 화합물의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처리 전 시료의 수은 함량은 108.7 mg-Hg/kg이며, S1단계에서 62%, S2단계에서 37.5%가 용출되었다. 500℃, 600℃ 열적처리 후 발생된 잔류물의 수은 함유 농도는 각각 17.3 mg-Hg/kg, 11.6 mg-Hg/kg으로 분석되었다. S1단계에서 각각 25%, 20%가 용출되었으며, S2단계에는 각각 75%, 80% 용출되었다. 열적처리 과정에서 안정도가 약한 수은화합물이 제거되었다. 처리 후 잔류물에 함유된 안정한 형태의 수은화합물의 처분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3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르마늄은 주로 광섬유, 반도체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고가의 희소금속이므로 게르마늄에 대한 회수 및 재활용 기술 개발은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게르마늄에 대한 재활용 실적이 전무하며, 전량을 수입해서 사용하는 희소금속이므로 게르마늄에 대한 재활용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특히, 광케이블에 사용되는 광섬유에는 1km당 약 0.54g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를 게르마늄 추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게르마늄은 1kg당 150만원의 고가 희소 금속이므로 관련 기술 개발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개발 기술은 광섬유에서 실리카(Si)와 합금형태로 존재하는 게르마늄을 추출하기 위하여 Na 화합물과 염산을 이용한 선택적 추출을 적용하였으며, 게르마늄의 추출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액에 대한 ICP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Na 화합물은 광섬유의 주성분인 실리카 성분을 석출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추출 용매인 염산은 질산, 황산과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여 최종 추출 용매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439.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아로니아의 착즙수율 향상을 목적으로 Rapidase Press L, Rapidase C80 MAX, 그리고 Plantase TCL 3종류의 효소를 사용하여 농도,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착즙수율을 측정하고 각 효소별 최대 착즙수율 조건을 설정하여 최적 효소처리 후 아로니아 과즙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효소별 최적 농도는 0.1%(v/w) 사용 시 최대 수율을 보였으며, 최적 효소반응 온도는 50℃였으며, 최적 효소반응 시간은 120분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효소들 중 pectinase와 hemicellulase로 구성된 복합효소 Rapidase PRESS L은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18.1% 높은 69.1%의 착즙수율을 보였다. 효소처리를 후 아로니아 과즙의 당도, 환원당, pH, 총산, 총 안토시아닌, 총 페놀성 화합물, 그리고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착즙수율 증대를 위한 효소처리 결과, 당도, 환원당, 그리고 총산은 처리전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pH는 효소처리에 따른 큰 변화는 없었다.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성 화합물은 효소처리 후 대구조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다. 효소 처리 전후의 아로니아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3종류의 효소 모두 대조구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아로니아 과즙의 착즙수율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예상하며, 착즙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대량 생산 시 수익성도 증가하여 경제적으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40.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저온추출 뿐만 아니라 효소처리를 이용하여 생과형 블루베리 과일음료생산을 위한 최적의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생리학적 기능성물질 추출 시 열에 의한 영양손실을 막기 위해 저온을 사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효소처리를 이용하여 혼탁 방지 및 추출수율 향상을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블루베리를 cellulase, pectinase 및 cellulase:pectinase(1:1) 혼합 효소와 효소 처리량, 추출온도, 추출시간, 추출 교반속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조건으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cellulase로 처리할 경우, 추출률이 85.72-86.55%, pectinase 처리구는 87.06-87.93%, cellulase:pectinase(1:1) 혼합 처리할 경우, 86.84-88.14%의 추출률을 나타냈다. 추출 온도는 45℃에서 87.91±0.05%, 3시간 추출 하였을 경우 87.88±0.10%, 교반속도는 90 rpm에서 가장 높은 추출결과를 보였다. 블루베리 추출액의 당도 및 pH는 추출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은 pectinase 처리구에서 18.62 mg/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과당과 포도당 두 가지 당류만 검출되었으며 cellulase 효소 0.10%를 처리한 블루베리 추출액의 유리당 함량이 포도당 0.51%, 과당 0.49%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블루베리를 이용하여 생과일형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 조건은 cellulase: pectinase(1:1) 혼합효소 0.1%를 첨가하여 45℃ 온도에서 90 rpm의 교반속도로 조사되었다.